국문초록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근치적 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절제술 시행 후 발생하는 림프낭종의 위험인자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방법 2005년 4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단일기관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절제술을 시행받은 병력이 있는 62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림프낭종의 발생 여부는 초음파 혹은 골반 및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환자군의 나이, 체질량지수, 수술한 의사, 과거 수술력, 병기, 종양의 조직형, 획득한 림프절의 개수, 방사선치료 여부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변량 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림프낭종에 대한 위험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 기간 34.5개월(범위, 12-69개월) 동안 62명의 환자 중 20명(32%)에서 림프낭종이 있었고, 그 중 증상이 있는 경우가 8명 이었다. 단변량 분석 결과 방사선치료 병력과 획득한 림프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림프낭종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방사선치료 병력과 획득한 림프절의 개수가 림프낭종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보였다. 결론 방사선치료 병력과 획득한 림프절의 개수는 근치적 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절제술을 시행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의 림프낭종의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영문초록
Objective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lymphocele forma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ho underwent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62 patients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who underwent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including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between April 2005 and June 2010. Lymphocele was confirmed by imaging studies such as computed tomography or ultrasonography. Included risk factors were patient`s age, body mass index, surgeon`s experience, tumor histology, stage of cancer, previous surgery,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nd radiation therap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lymphocele formation. Results During median follow-up of 34.5 months (range, 12?69 months), 20 patients (32%) out of 62 had developed lymphocele. Eight patients developed symptomatic lymphocle.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e radiation therapy, and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s significant risk factors of lymphocele formation. When applying mutivariate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radiation therapy (odds ratio=5.19, P=0.010) and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 (odds ratio=4.80, P=0.021)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lymphocele formation. Conclusion Radiation therapy and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of lymphocele forma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ho underwent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추천자료
[간호학] 난소암
[의료사회사업론] 암에 대해서
파트별의학용어정리
[건강증진행위개론] 성 건강
[간호학] 소화기계
50대 남성 암재발 환자의 간호과정 PBL
간호학 외음 및 질의 종양
[간호학] 난소암
[암] 위암의 원인, 구강암의 원인, 폐암의 원인, 식도암의 원인, 대장암의 원인, 유방암의 원인, 자궁암의 원인, 전립선암의 원인, 간암의 원인 분석
[암, 암치료] 유방암의 치료, 간암의 치료, 전립선암의 치료, 자궁암의 치료, 갑상선암의 치료, 식도암의 치료, 대장암의 치료, 위암의 치료, 췌장암의 치료, 폐암의 치료, 후두암의 치료에 관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