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목적 : 태변 장폐색은 점착성의 농축된 태변이 회장 말단과 대장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일시적 장폐색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태변 장폐색의 임상소견과 예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2009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미숙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방사선 영상소견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태변 장폐색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gastrografin 관장 검사의 이상 소견 둘 다 있는 경우로 하였다. 대조군은 출생연도와 재태연령을 동일한 조건으로 맞춘 미숙아 중에서 2배수 무작위 추출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으로 합당한 태변 장폐색군 환아는 43명이었다. 주산기 임상소견 중 산모의 고혈압증과 황산마그네슘 사용 빈도는 장폐색군에서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부당 경량아의 빈도는 장폐색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았 다(14% 대 3.5%; P<0.05). 수유장애의 동반율도 장폐색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았다(86% 대 24.4%; P<0.001). 1례를 제외 한 모든 환아에서 gastrografin 관장은 1회 시행하였고, 영상소견상 소결장은 7예(16.3%)에서 동반되었다. 전례에서 관 장의 합병증 발생은 없었다. 태변 장폐색을 가진 환아에서 조영관장 후 폐색의 호전은 방사선 영상소견상 6.5±10.0일에 이루어졌고, 이는 임상증상의 호전 시기인 7.5±9.4일보다 더 빨랐다(P<0.05). 완전 장관영양의 도달 시기는 장폐색군이 25.4±14.3일로 대조군(16.4±9.3일)보다 더 느렸고, 재원기간도 장폐색군에서 더 길었다(P<0.001). 결론 : 미숙아에서 수유장애는 태변 장폐색을 시사하는 소견이 된다. 태변 장폐색은 완전 장관영양의 도달 시기를 지연 하거나 재원기간을 연장하는 요인이 된다.
영문초록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meconium intestinal obstruction (MIO) in preterm infants.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images was conducte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ver a 3-year period (2009-2011). In addition, birth year- and gestational age-matched babie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ith twice the number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 There were 43 infants with MIO who were appropriate as subjects. In perinatal factors, a maternal history of hypertension and the use of magnesium sulfate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MIO, but not significant. Feeding intolerance was more common in the MIO group than the control (86% vs. 24.4%; P < 0.001). The frequency of gastrografin enema was once in all but one of the patients, and the microcolon was detected in 7 cases (16.3%). Radiographic change after enema was seen earlier than clinical improvement (P < 0.05).The patients with MIO took longer to achieve full enteral feeding, and had a more prolonged hospital stay (P <0.001). Conclusion :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may be an early clinical finding of MIO. Meconium obstruction causes a delay of full enteral feeding and extension of hospital stay.
추천자료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의 개념(정의), 유형(분류), 정신분열증 발병요인(원인), 정신분열증의 임상적 증후, 진단과 경과 및 예후, 치료방법
[기분장애] 기분장애의 개념(정의) 및 분류(유형), 기분장애의 임상적 특징(우울상태, 조증상태)
소아비만 증가 실태, 소아비만의 특징과 원인 측정방법 임상적 문제점 현 실태와 예방 및 치료방법
틱장애(아동기의 정신장애) - 틱의 유래, 틱장애 현황과 정의 및 분류, 틱장애의 원인, 동반이화장애, 동반문제, 임상특징, 틱장애 경과와 예후 및 치료
[감염학] 비정형 폐렴의 원인 및 임상적 특징
정상신생아 간호(기도유지, 체온유지, 감염관리 - 눈간호, 제대간호 등, 영양공급)
[간호학] SGA(초저출생체중아)
[간호학][모성간호학]임부간호 임부의 생리적변화
신생아실 질병 보고서
[정신장애] 유.소아.청소년 정신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