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이 연구에서는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사용에 있어서 의사소통속도 향상을 위한 최선의 그림상징 디스플레이 구성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성인 30명, 아동 20명, 지적장애아동 22명을 대상으로 20개의 정적인 그림상징에 애니메이션효과를 가미하여 애니메이션의 유무에 따라 동작어휘 상징의 선택반응시간과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동작의 의미를 갖는 정적 상징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애니메이션 상징 간의 반응시간 및 오류율을 살펴본 결과, 반응시간은 일반 성인 및 아동, 지적장애아동 모두 정적인 상징과 애니메이션 상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애니메이션 상징이 정적 상징에 비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류율은 일반 아동의 경우에서만 정적인 상징과 애니메이션 상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목표 상징의 선택 시 애니메이션 상징의 오류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작의 의미를 갖는 상징의 경우에 애니메이션을 가미한 상징이 단순히 정적인 그림을 제시하는 상징보다 식별이 더 용이하여 선택이 빨랐음을 의미하며, 오류율에서는 대상자에 따라서 애니메이션 상징을 정적인 상징보다 더 정확하게 선택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따라서 애니메이션효과가 일반 성인과 지적장애아동에게는 목표 상징을 빠르게 선택하는 선택속도로 나타났으며, 일반 아동에게는 상징을 빠르고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동작어휘의 의미 이해를 돕고 상징을 빠르게 선택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동작어휘를 제시할 때 애니메이션으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n selecting action symbol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nimation which is one of the key strategic elements. The reaction time and the error rate measured between static symbols with action meaning and animated symbols produced based on that, the reaction time by 30adults, 20children, and 22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atic symbols and animated symbols, which showed that animated symbols were faster than static symbols. These results means that animation added symbols were easier to select quickly than static symbols in the case of action word symbols. In selecting the symbols, animation could solve the ambiguity of the symbol by showing the actions so that it improved the transparency and the speed of selecting a symbol. The error rate of adults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ppeared similar in static symbols and animated symbol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error rate of childre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atic symbols and animated symbols. When selecting target symbols, animated symbols brought more accurate resul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effective to present animated symbols for children to select symbols for action word more accurately. In conclusion, animation effect appeared as a means to quickly select target symbols for adults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t helped children to select the symbol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It showed that it could be more effective to present action word with animation in order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meaning and select the symbols quickly. To sum up the results, anim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in configuring graphic symbol display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peed in the use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for animated symbols based on movements can more accurately represent the symbols than static symb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