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이 이 글은 독립운동의 철학, 곧 독립운동의 사상을 민주공화주의 이념과 연관지워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손병희, 한용운, 오세창 등 조선민족대표 33인의 명의로 발표된 기미독립선언문에는 정의와 인도주의 및 자유의 정신 등이 언급되고 있지만 아직 민주공화주의 이념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3·1운동에 대한 화답으로 그로부터 불과 몇 달 후에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에 해당하는 ``임시헌장``과 ``임시헌법``에는 민주공화주의가 명문화된다. 이는 사실상 매우 커다란 차이이며, 사상사적 관점에서 설명이 필요한 대목이다. 아마도 기미독립선언문이 천황제를 고수하던 제국주의 일본치하에 있던 국내에서 입안되고 발표된 점과 임정의 헌법들이 해외 독립운동 지역들에서 발표된 것과도 무관하지 않겠지만, 그 이상의 이유가 있다. 민주공화주의 이념이 등장한 것은 단순히 미국독립혁명이나 신해혁명, 바이마르 헌법 등의 외적 영향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당대의 국내적 상황 즉, 일제의 강점과 1910년 융희황제(隆熙皇帝: 순종)의 주권 포기 선언이라는 암울한 배경과 나아가 당시의 국제 정세와 흐름을 정확하게 읽고 있던 애국독립지사들의 매우 현명한 주체적, 능동적인 사상적 대응의 일환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독립운동이 민주공화주의 이념을 수용한 이유는 첫째, 국권회복을 위해 망명정부를 수립하려던 움직임마저 여의치 않은 가운데 국권의 계속성과 정통성을 합법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안이었고, 둘째, 3.1운동을 봉건군주제와 제국주의적 강압에 반대하는 근대적 시민혁명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했기 때문이었으며, 셋째, 국가와 민족중흥의 힘과 가능성을 국민의 내적 역량 속에서 발견하고자 하는 열망이자 노력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한국사의 진정한 근대는 시민혁명으로 발전한 3.1운동으로 완성된다.
영문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hilosoph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way of research it``s reason to adopt the western democratic republicanism. 3.1 Independence Proclamation which was pressed at Seoul by names of 33 patriotics including ByongHi Son, YongUn Han contained only the clues of democratic republicanism. B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about one month later at Shanghai, China declare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overtly. It is a big difference to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Maybe the reasons why were related that 3.1 Independence Proclamation was held in domestic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as in abroad. But, I think, it goes beyond them. The adoption of democratic republicanism by the Korean patriotics in 1919 was not a simple follow-up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likewise America, England and the Weimar Republic, or a mere reflection of Chinese Revolution in 1911 which had overthrown the last Manchu Emperor and established the first Republic in China.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played 3 keyroles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First, it was the only way to justify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circumstanc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o establis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Second, it signified to rais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s a modern civil revolution which had challenged the whole system of Korean feudal society and the imperialistic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Third, it empowered the ordinary people of Korea who was suffering severe ordeals and torments, as an active agent to make and develop new country in a modern sense. Therefore we can say through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 authentic Modern era opened in Korea.
추천자료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론
1910년대의 독립운동, 1920년대의 여성단체운동, 1930년대의 아나키즘운동, 1940년대의 통일운동, 1960년대의 노동운동, 1970년대의 민주화운동, 1980년대 노동운동, 1990년대 지역복지운동, 2000년대 환경보전운동
[독립운동]독립운동의 진행과 이념 및 역사적 의의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민족주의 무정부주의 사회주의
독립 운동의 이념과 방략
[한국근현대사]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인권][공화주의][민주주의][아시아문화]인권의 연혁, 인권의 정의, 인권의 편견, 인권의 공화주의, 인권의 민주주의, 인권의 아시아문화, 인권의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인권 관련 제언 분석
[3.1운동][5.18광주민주화운동][5.18광주민주항쟁]3.1운동, 5.18광주민주화운동(5.18광주민주항쟁), 6.10만세운동, 동학농민운동, 농민운동, 독립협회운동, 대중운동, 노조운동(노동조합운동), 교육시민운동 분석
1910년대 독립운동, 1920년대 청년운동, 1930년대 재일조선인운동, 1940년대 통일운동, 1950년대 소극장운동, 1960년대, 1970년대 노동운동, 1980년대 민주화운동, 1990년대 여성평화운동, 2000년대 정보인권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