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시계열 자료에 대하여 ARIMA모형과 전이함수 모형을 이용한 비교와 예측을 다룬다. 동일한 출생자수 자료에 대하여 두 모형은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사례분석을 통해서 연구에 사용된 출생자수 자료에 대하여 전이함수 모형의 적합도가 보다 좋음을 알 수 있다.
영문초록
This paper deals with comparison and prediction using ARIMA model and model of transfer functions for time series data. For data regarding the same number of babies, two models show different results. Through case analysis, goodness of fit in model of transfer functions was better than the other one for the researched data on the number of babies.
추천자료
[졸업][산업공학] 상수도유입량 최적 예측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
[시계열분석] 금 펀드 예금 및 인출 시기에 관한 시계열 분석
[통계학] 돼지, 소, 닭의 도축 마리 수와 물가지수의 시계열 분석
[통계학] 전이함수모형 환율변화에 따른 수출액의 변화
[산업생산][산업생산 사전조정요인][산업생산 능력][산업생산 모형][산업생산 통계][산업생산 자동차산업]산업생산의 사전조정요인, 산업생산의 능력, 산업생산의 모형, 산업생산 통계, 산업생산 자동차산업
[통계] 시계열 - 전이함수 모형
[시계열 자료분석] 전력공급량 분석을 통한 전력수요예측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
[통계학] 화장품 매출액 시계열 분석
[A+] 노령화 고령화 저출산 - 개념, 발생원인, 실태 현황, 문제점, 경제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해결방안 및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