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지상파TV 편성 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해 지금까지 주로 `장르` 다양성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는 `하위 장르`와 `대상` 측면의 다양성도 함께 고려했다. 세 가지 다양성 지수를 병행하게 되면 편성 다양성에 관한 다면적 분석이 가능하리라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2007년 봄에서 2009년 봄 사이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고 지상파 4개 채널의 장르·하위 장르·대상 다양성지수를 산출했다. 그 결과 세 가지 지수는 똑같은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4개 채널의 장르 다양성과 대상 다양성은 2008년 가을에 모두 감소했지만 하위 장르 다양성은 증가한 경우가 많았다. 2009년 봄에는 장르 다양성에 비해 하위 장르 다양성과 대상 다양성이 채널에 따라 심한 변화를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없는 현상의 일면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 다양성 지수를 병행할 때 편성 다양성의 흐름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르 다양성과 대상 다양성은 전체적인 흐름을 통시적으로 파악하고, 하위 장르 다양성과 3분류 대상 다양성은 장르와 대상 다양성을 보완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이와 함께 이 연구는 공영성이 강한 채널일수록 세계적 경제위기와 같은 환경변화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보편적서비 스인 지상파 공영방송의 위상을 정책적으로 강화할 필요성을 환기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programming diversity of terrestrial TV had been changed between spring 2007 and spring 2009.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of 2008. It examines the weekly TV programming tables which had actually been broadcasted by using genre diversity index, sub-genre diversity index, and target audience diversity index. The study shows the inconsistency of the three diversity indexes. For instance, the results of genre and sub-genre diversity indexes did not match up. Such discrepancy was especially shown in how genre diversity index of all four channels decreased, but sub-genre diversity index of three channels increased in the global economic crisis. By doing so, this study finds out both genre and target audience diversity indexes are suitable in analyzing the overall flow of programming diversity. The analysis by sub-genre is helpful in complementary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shown by genre diversity index, and the analysis of the three diversity types enables one to explore the details of the results of target audience diversity index. That means the interpretation of the three diversity index types will reduce the possibility of making imprudent decisions while being a factor of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important decisions about how to increase programming diversity.
추천자료
시민 미디어 정착방안 연구
[관광 소비자 행동론] 한류의 힘-문화, 준거집단, 지각을 바탕으로 연구조사
광고학(기말) 레포트
[공익][공익 개념][공익 강조][공익 공존][공익 실천][공익 사례][공익단체][공익위원회]공익의 개념, 공익의 강조, 공익의 공존, 공익의 실천, 공익의 사례 분석(공익, 공익 개념, 공익 강조, 공익 공존,공익 실천)
대중문화 그리고 문화산업
[매스컴] 수용자 차원에서 바라본 UCC
[미디어와 정보사회] 미디어 산업의 소유 규제 및 경쟁 정책
방송 시장 개방 정책
모토로라 기업분석_305
[언론시장, 언론, 언론개혁] 언론시장의 상황변화, 언론의 문제점과 언론개혁의 역사, 한국의 언론개혁 운동 및 향후 언론개혁을 위한 과제 심층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