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고는 구체적인 어휘 교육 활동을 제시하여 독립적인 어휘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어휘 교육의 목표와 관련한 주요개념을 검토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에서의 어휘 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관련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의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독립적인 영역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은 큰 문제점이다. 둘째, 국어 교과서에는 어휘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장치가 부족하다. 셋째, 국어 교과서와 관련한 개선된 학습 활동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어휘 학습을 명시적으로 제시한 교과서 구성 나. 어휘 확장을 추구하는 어휘 교육 활동 다.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활동을 중시하는 어휘 교육 활동 라. 사고도 구어를 고려한 어휘 교육 활동 마. 문화적 요소를 강조하는 어휘 교육 활동.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lternative activities for a separate vocabulary education. The first task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oroughly main conception of vocabulary education. And second task is to make improved activities of textboo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 Firstly, it is a very important problem that vocabulary education is not separate though that is emphasized. Secondly, educational vocabulary activities that have developed understanding of context and culture are not enough in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rts. Thirdly, the type of improved activities is as follow. a. The construction of textbook which has expressed activity for vocabulary education b. The Activity which intended to vocabulary extension c. The Activity which considered activeness of learner d. The Activity which considered academic vocabulary e. The Activity education which emphasized elements of culture.
추천자료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졸업논문][교육학] 인터넷 통신 용어에서 국어의 변용실태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영어교육 의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기본어휘, 기초어휘] 기본어휘(기초어휘)의 정의, 기본어휘(기초어휘)와 핵심어휘, 기본어휘(기초어휘)와 교육어휘, 기본어휘(기초어휘)의 교육과 응용 관련 연구, 기본어휘(기초어휘)의 쟁점, 기본어휘(기초어휘)의 연구의 개선 방안 분석
[졸업][국어교육] 표준어교육 실천방안연구
[국어] 문법교육의 연구동향과 발전방향 -문법교육의 필요성과 초등문법교육의 비판과 개선을 중심으로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수업개선 목표, 수업개선과 좋은수업, 국어과교육 수업개선 사례, 미술과교육 수업개선 사례, 수업개선 관련 학습모형, 수업개선 내실화 방향 분석
국어과(국어교육)정의,어휘지도, 학습평가,구성주의, 국어과(국어교육)교수학습방법,시사점
[국어교육] 언어영역시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