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컴퓨터 중계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정치 민주주의 영역에서도 CMC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는 새로운 "공론장"과 정보의 장을 만들어냄으로써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CMC에 의해서 만들어 진 "사이버 민주주의"에 대한 정치적 의미와 평가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는 능동적인 정치참여자를 만들기보다는 수동적인 정치 방관자를 만들어 놓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격차 (digital divide)와 거대 정치세력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진정한 정치 참여자의 출현을 막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선, 시민들이 정치 의식화가 필요하다. 즉, 사이버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시민들은 정보를 적절히 이용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결정이 정치 민주주의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영문초록
The development of global networks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has prompted the claim that society is on the verge of a new era of democracy. The Internet has produced new public spheres and spaces for information, debate, and participation that have the potential to invigorate democracy and increase the dissemination of critical and progressive ideas. We try to examine the political significance and evaluation of cyberdemocracy, which is made up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At present, communication technologies amplify the passive spectator-democracy of sound bites photo opportunities instead of encouraging real participation because of the ``digital divide`` and ``power`` politics. This will only change when citizens not only have adequate information but also know that their decisions are likely to be effective.
추천자료
[디지털미디어와 문화] 공론장으로서 사이버공간의 장단점 고찰
[하버마스의 정치적 공론장, 하버마스 공론장, 정치적 공론, 하버마스] 하버마스의 정치적 공론장과 하버마스 공론장 정치적 공론의 원리, 하버마스 공론장 정치적 공론의 사상 및 하버마스 정치적 공론장의 평가 고찰
[사이버공간] 인터넷공간 의견충돌 - 공론장과 욕구충족의 황색저널리즘
사이버공간(인터넷) 의미와 특성, 사이버공간(인터넷) 3단계, 사이버공간(인터넷)과 사이버윤리, 사이버정체성, 사이버성폭력, 사이버공간(인터넷)과 아바타, 커뮤니케이션, 언어예절, 사이버공간과 세대, 네티켓
현대 민주주의는 대의적인가 - 예비적 고찰, 대의민주주의의 정당성, 대표성이란 무엇인가, 정치적 의미의 대표성의 특이성,
[문화사회학] 하버마스의 공론장
인터넷 토론문화의 공공성
인터넷 게시판의 댓글(reply)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2008년 촛불 집회 -인터넷 공론장의 가능성 및 한계 분석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인터넷 공론장 활용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