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2007년∼2011년 하절기에 국내 동·서·남해안과 제주의 육상양식장, 가두리 및 축제식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참돔 (Pagrus major),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 의 총 2,413마리에 대하여 세균과 기생충의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2007년∼2011년) 사이 어종별 병원체에 대한 감염양상을 종합하면, 기생충과 세균의 단독감염이 혼합감염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단독감염 가운데 기생충이 세균보다 감염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넙치, 조피볼락, 새우에서 Vibrio spp. (V. harveyi, V. ichthyoenteri, Vibrio sp.)가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세균의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참돔에서는 Vibrio sp.와 P. damselae가 우점종 세균으로 검출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기생충은 넙치에서 스쿠티카충 (M. avidus)과 트리코디나충 (Trichodina sp.), 조피볼락에서 아가미흡충 (M. sebastes), 참돔에서 아가미흡충 (M. tai), 새우에서 섬모충 (Zoothamnium sp.) 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Diagnostic monitoring in fish farms with land-based tanks and netpen cases were conducted in eastern, western, southern and Jeju island of Korea during summer of 2007∼2011. In total, 2413-fish samples of 4 marine fish species were tested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 and parasite. Fish species tested wer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red sea bream (Pagrus major),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During the diagnostic monitoring from 2007 to 2011, the infection rates by single infection of bacterial or parasitic pathogen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mixed infections. The main bacterial pathogens in olive flounder, black rockfish and pacific white shrimp were Vibrio spp. (V. harveyi, V. ichthyoenteri, Vibrio sp.). The main bacterial pathogens in red sea bream were also Vibrio sp. and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The main parasitic pathogens were both Miamiensis avidus and Trichodina sp. in olive flounder, Microcotyle sebastes in black rockfish, Microcotyle tai in red sea bream and Zoothamnium sp. in pacific white shrimp.
추천자료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
환경오염문제의 실태와 심각성에 대한 고찰
개꼬시래기 종묘생산(인공종묘), 해삼 종묘생산(인공종묘), 다시마 종묘생산(인공종묘), 전복 종묘생산(인공종묘), 중국과 호주 종묘생산 사례
양식어업(양식업)추세, 양식어업(양식업)어장선정,질병방제,발전소온배수이용, 양식어업(양식업)규율, 양식어업(양식업)시범사업, 양식어업 제고방안
[해양산업] 양식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동물사료학4B) 국내에서사육되는 주요경제동물중 단위동물돼지닭사육농가에서높은경영비차지하는것이배합사료구입비이다효율적인배합사료 이용방안본인의견 제시하시오0K
음식 레포트
인도의 투자환경분석
전복양식업(전복양식어업)질병,대책, 전복양식업(전복양식어업)수급조절, 전복양식업(전복양식어업)연구사례, 호주,중국 전복양식업(전복양식어업)사례
북한의 수산자원 및 자원이용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