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초록
The foreign population in South Korea marked about 1 million as of 2011. This study was proposed for improving the supportive housing problems of foreign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with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 was examined to the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of France, Japan and Singapore. This implies that housing policies should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achieving the of social integration. The HLM Built massively since 1950s in France. and it was conceived by the principle of social mix. The Singaporean housing policies shows the housing provision system that includes housing market, housing supply and distribution, housing financing. Japanese housing policies are coincident with an international tendency toward privatization. The housing polices are necessity to which the nation must imperatively answer for foreign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 right housing policies is needed at a right time to spearhead a society in a desirable direction. Its ultimate goals of the long-range public housing development are clearly addressed including funding sources to execute the relevant law polices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hosing policies should be collaborated with the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So we should specifically divide role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for multicultural housing policy.
추천자료
[주거관리 공통] 1.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의 특징은 무엇인지 고령자와 장애인 거주자를 중심으로 설명 2.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사례 3. 최근 정부에서 주거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 주택바우처 제도
주거관리4공통)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의 특징은 무엇인지 고령자와 장애인 거주자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의 특징은 무엇인지 고령자와 장애인 거주자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사례
한국 다문화사회를 위한 다문화가족 및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다문화 가족 을 위한 사회 법제적 지원 방안 연구
다문화 가족 을 위한 사회 법제적 지원 방안 연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복지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
사회복지개론2공통) 우리는 살아가면서, 노령, 실업, 장애, 질병(암, 치매 등), 소외(왕따), 교육, 주거 등등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이런 위험들 중에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 하나를 선택하고, 이와 관련된 당사자를 인터뷰하시오.
[도시공학]신도시개발에 올바른 방향
도시주택정책의 성공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