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초록
본 고는 국내 박사인력의 직무 만족도 및 해외 이주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급인력 확보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요소로 간주되는 가운데 본 고는 박사인력의 해외 이주 계획을 억제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직무 만족도를 주목한다. 먼저 박사인력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차원, 조직적 차원으로 나눠 분석한 다음 이러한 요인을 통제했을 때 직무 만족도가 해외 이주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박사인력에 대한 대표성을 갖춘 "2010 박사 인력의 경력과 이동성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OLS 회귀분석과 로짓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박사 인력의 직무 만족도가 해외 이주 계획을 억제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는 기존 이직 의도에 관한 연구에서 논의하는 바와 일치하는 것으로 박사인력의 이동에 있어서도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는 이직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직에 종사하는 박사인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직무 만족도와 높은 해외 이주 계획을 보여주어 고급인력 해외 유출 관리에 있어 연구직 박사인력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요하고 있었다.
추천자료
직무만족(업무만족, 직무만족도)의 정의, 이론, 직무만족(업무만족, 직무만족도)의 동기부여, 영향요인, 직무만족(업무만족,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 향후 직무만족(업무만족, 직무만족도)의 내실화 과제 분석
다변량 통계 분석법 기말보고서 Replication직장 및 근로자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직무만족도]직무만족도(직무만족, 업무만족)의 정의, 분류, 직무만족도(직무만족, 업무만족)의 의의, 동기부여이론, 직무만족도(직무만족, 업무만족)의 영향요인, 직무만족도(직무만족, 업무만족)의 결정요인 분석
업무만족(직무만족도, 직무만족)의 개념, 의의, 업무만족(직무만족도, 직무만족)의 관점, 측정도구, 업무만족(직무만족도, 직무만족)의 결정요인, 연구 사례, 향후 업무만족(직무만족도, 직무만족)의 개선 방안 분석
[인적자원관리] 보상
[인사관리] KT 인적자원관리 사례
[노사관계론]비정규직근로자의 정책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 화물연대파업
[인사관리] KT와 SK Telecom의 인적자원관리
웅진코웨이 효율적 인재관리 방안 모색
[교육행정] 수월성과 평등성에 대한 고교평준화 정책- 대안학교를 중심으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