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일반적으로 개혁은 사회의 요구나 조직의 필요에 의해 추진된다. 그러나 거시적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개혁이 성공하지 못하는 예가 많은데, 이는 조직원 개인에게 미치는 미시적 영향을 간과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시 성과포인트제도는 이러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성과포인트제도는 조직원들이 그 필요성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대부분의 조직원들이 익숙한 조직문화에 어긋나는 점, 대부분의 조직원들의려 승진의 가능성을 오히려 축소시킨 점, 운영상의 문제, 정치환경의 변화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이들은 조직원들이 조직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이익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당위성과 더불어, 조직원들에게 미치는 이해관계의 변화를 면밀히 살피고, 개혁의 목표와 과정, 필요성과 감수해야 할 조건 등을 명확히 하여 조직원들의 공감과 지지를 받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