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산사를 이용한 한국형 후식 개발을 위하여 산사의 영양성분 및 체내에서 생리활성 효능 분석하여 산사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산사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85.6%, 조단백질 2.4%, 조지방 1.9% 및 조회분 0.4%이었고, 산사 100g의 함유 열량은 369.1kcal로 분석 되었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852.26㎎, 1,178.29㎎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칼슘, 인,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유리당의 경우 fructose가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산사추출물의 혈당 조절능을 평가하기 위해, porcine pancreas, human saliva 및 Bacillus licheniformis 기원의 α-amylase와 효모 기원의 α-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α-amylase에서는 저해활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 α-glucosidase에서는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17.6, 32.8%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산사 추출물의 단백분해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품으로 사용한 pancreatin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사 추출물이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에 대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사를 소화제 등의 천연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Crataegi fructus as a natural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general and biological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are 85.6%, 2.4%, 1.9% and 0.4%, respeectively. Further, the calories of Crataegi fructus was 369.1kcal. The contents of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852.26㎎ and 1,178.29㎎, respeectively. The K was the largest mineral followed by Ca, P, Mg, which means Crataegi fructus is an alkali material. Crataegi fructus extracts slightly(17.6∼32.8) inhibited α-glucosidase activity. However, there is no inhibitory activity against α-amylase. In terms of proteslytic activity, Crataegi fructus extracts showed a strong activity than pancreatin(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rataegi fructus can be used as a natural resource for material aiding digestion.
추천자료
[오미자의 성분][오미자의 생리활성][오미자의 효능][오미자의 응용][오미자의 처방]오미자의 개념, 오미자의 기원, 오미자의 성분, 오미자의 생리활성, 오미자의 효능, 오미자의 응용, 오미자의 처방 심층 분석
[영양학] 국내외 시판 조제유의 성분, 가격 및 품질관리의 비교분석, 특수 조제유의 개별 및 판매현황
[경영전략] `국순당` 경영전략 사례
[관광개발] 김천 온천관광개발 효과 문제점 개선방안
국순당 분석 레포트
[환경생태공학]식물을 이용하여 삼보광산의 납, 아연 제거
[다국적기업론] 제약산업 분석 -동아제약을 중심으로
국순당 경영전략
[마케팅] 국순당의 마케팅 전략 분석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환경,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과정,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수확기, 다시마양식어업 문제점과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