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동양의 철학 및 의학의 기본 이론이 되고 있는 기미론(氣味論)에 따라 재료가 가지고 있는 효능 및 작용을 판단하는 약선식료학적 접근과 영양성분이나 기능성 성분을 위주로 그 효능을 판단하는 식품영양학적 접근을 통해 강지음의 효능을 분석해 보고 향후 식품효능 접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계획·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동양에서 섭취해 온 약선차 중 현대인들의 비만 형태 중 가장 비율이 높은 기체혈어형 비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강지음을 약선식료학적 접근으로 그 효능을 분석해 보았고, 일반분석, 수용성 항산화 물질 농도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식품영양학적 특징을 살폈다. 강지음 구성 재료의 기미, 효능을 기본으로 강지음의 효능을 분석해 보면, 강지음은 기혈의 흐름이 막힌 것을 소통시켜 체내의 물질대사 및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기체혈어형 과체중 및 비만자들의 식이 요법에 활용이 가능함을 알았고, 또한 한열(寒熱)에 치우침이 없어 오랫동안 꾸준히 복용이 가능한 약선차로 평가되었다. 한편, 강지음의 일반성분을 dry basis로 살펴보면, 총 당질 60.23%, 조단백질 18.18%, 조회분 11.36% 및 조지방 10.23%로 구성되어 있었다. 강지음에는 1.027㎍/㎖의 수용성 항산화물질이 함유되어 있었고, 강지음 1㎖ 당 496.5mM의 항산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성분상으로 판단한다면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 외에는 기체혈어에 의한 과체중이나 비만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양효과는 특이하게 기대 되어지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항산화 작용에 의해 활성산소의 제거 및 노폐물의 제거에는 도움이 되리라 보여지나, 기(氣)의 순환을 돕고 어혈을 풀어줄 수 있는 효과는 기대되어 지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강지음의 효과는 단순한 식품영양학적인 성분 분석에 의해서는 정확히 판단할 수 만은 없으며, 기미론에 의한 분석결과를 함께 이해하여 접근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약선식료학의 원리에 입각하여 처방된 약선차의 식품영양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식품의 효능이나 섭취방안에 대한 폭넓고 다양한 이해를 위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한 자료이고, 약선이 현대인들에게 좀 더 올바르게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영문초록
This research was planned and executed to evaluate how the composition of Yack-sun tea can affect the health conditions of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diet-related such as being overweight, are obese and have hyperlipidemia, by taking Yack-sun tea in a form of a nutritional supplement with our daily meals. We produced Kangjieum with Lycium chinense Mill., Polygonum multflorum Thunb, Cassia tora L., Crataegus pinnatifida Bge and Salvia miltiorrhiza Bge. Thus, we approach of oriental diet therapy area research of Kangjieum and analysis proximate composition, water soluble antioxidant content. The content(%, dry basis) of total carbohydrate was 60.23%, crude protein was 18.18%, crude ash was 11.36% and crude fat was 10.23% in Kangjieum. Total water soluble antioxidant content was 1.027㎍/㎖ of Kangjieum. We think that scientific and objective evaluation was done on the components of the Kangjieum prescription. This basic data could help guide the application of oriental medicinal resources into other foods and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use of Kangjieum in the burgeoning field of nutraceutical foods. Last, the scientific effects of oriental medicinal foods developed according to oriental medicinal theory. This theory is believed to be essential for government policy development concerning validation of medicinal effects and assessment, with the aim of fostering systematic development and providing guidance to food development in the interest of national health.
추천자료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
[노년기 영양과 식생활] 노년기 영양의 특징과 종류, 건강식생활 및 식생활관리
동물 병리 레포트
식품영양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시대와 정치 이해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젓갈,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고추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청국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식초, 떡
올바른 식생활의 3대 원칙을 토대로 아동을 위한 식생활 실천 지침을 정리하시오
[아동발달] 아동비만
자취생의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행사 기획
단체급식관리, 단체급식소는 급식대상에 따라 학교급식, 산업체급식, 병원급식, 영유아시설급식, 대학급식, 사회복지시설급식, 군대급식 등으로 나뉜다. 이 중 한 곳을 선정하여 다음에 대해 조사하고 설명하시오.
외식 빈도에 따른 체중 증가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 영양조사 중심 논문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