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환경과 경제성장과의 관계는 환경경제학 분야에서 오랜 동안 논란이 되어왔으며, 논란의 핵심은 두 변수간의 내생성(endogeneity)과 생략변수(omitted variables)들에 관한 문제들이다. 본 연구는 논란의 핵심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1981년~2008년까지의 시계열자료를 바탕으로 CO2 배출량과 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 및 에너지믹스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에너지믹스와 계량경제학 문제들을 고려한 대부분의 모형에서 CO2 배출량과 경제성장의 관계가 역 U자형이라는 EKC 가설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에너지믹스가 국내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믹스가 CO2 배출에 미치는 영향은 원자력에너지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CO2 배출량 감축에 가장 큰 기여를 하였으나, 신재생에너지는 CO2 감축에 거의 기여하지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적었기 때문이다. 또한 최종 에너지 소비부문은 CO2 증가와 수송부문의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has been controversial for a long time. The cores of controversy are endogeneity problem and omitted variable bias. This paper tests EKC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hypothesis by considering econometric issues and estimates the effects of energy mix on CO2 emissions empirically and tests with time series during 1981~2008. B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convince EKC Hypothesis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O2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is the inverted U-shaped and the national energy mix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GHG mitigation. We also find that the nuclear energy has the greatest contribution for CO2 mitigation and the renewable energy does not seem to contribute little to the CO2 mitigation because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in Korea is negligible. In terms of final energy consumption, CO2 increases and transportation sector i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추천자료
[신성장 동력산업] 한국경제의 신미래 성장 동력산업과 중요성 미 주요 성장산업전략 및 향후전망 분석
[기후와 문화] 기후변화와 녹색성장 및 경제-탄소세와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기후와 문화] 기후변화와 녹색성장 및 경제-탄소세와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경제학] 인도 경제 분석 및 한국과의 관계
[경제학] 인도 경제 분석 및 한국과의 관계
[경제, 경제성장] 경제개방과 경제성장의 관계,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과거 한국의 경제성장, 경제성장정책 추진현황, 경제성장과 경제발전의 문제, 경제성장의 전개방향 및 정형화 분석
[미국의 영향력] 한국과 미국의 관계 분석 및 한미 교류현황과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본 미국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한중경제협력] 한중경제협력의 전개 과정과 한중경제협력의 현황 및 향후 중국경제성장이 한국에 미칠 영향 분석
[경제성장, 중국경제성장] 경제성장의 과정, 경제성장의 요인, 경제성장과 에너지 효율성, 중국경제성장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국의 정치와 경제 및 무역 분석과 한국과의 무역관계 조사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