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2008년 발 세계경제위기는 스웨덴 경제에 주로 수출 감소와 발트삼국에 대한 스웨덴 은행들의 대출채권의 부실화라는 형태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부르주아정당 연립정부는 1990년대 초의 금융위기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기관들에 대한 보증제공을 통한 금융시스템 안정화, 저금리 정책과 팽창적 재정정책을 통한 경기부양등을 통해 경제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 금융위기 이후 1990년대 후반에 확립된 ‘통화주의적 사민주의 모델’을 통해 재정 건전성과 물가안정을 장기간 달성할수 있었기에, 적극적인 경제위기 극복 정책을 집행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번 세계경제위기의 성공적 극복은 2010년 총선에서 보수당 중심의 부르주아정당들이 재집권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현재 야당인 사민당이 향후에 집권하게 되더라도 ‘통화주의적 사민주의 모델’의 틀이 장기간 유지될 가능성을 높였다.
영문초록
The global economic crisis since 2008 has negatively influenced the Swedish economy through export decline and the increase of non performing loans of the Swedish banks lent out to the Baltic countries. The Swedish coalition government of bourgeois parties overcame the economic crisis successfully by stabilizing the financial system through guaranteeing the financial institutions and by boosting the economy using expansionary macroeconomic polici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financial crisis of early 1990s. ``The monetarist social democratic model`` established in late 1990s made it easy for the Swedish government to carry out active counter-crisis policies, for fiscal soundness and price stability have been kept for long time due to the model.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economic crisis has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the win of the bourgeois parties in the general election of 2010. It seems much probable that ``the monetarist social democratic model`` would last long, even if the Social Democratic Party, the opposition party, would win the next elections.
추천자료
[IMF경제위기, 한국경제] IMF경제위기의 배경, 대응과 IMF경제위기의 극복 고찰 및 한국경제의 비판, 전망과 한국경제의 세계화에 대한 대응 방안 분석
사회복지정책론 [1] 사회복지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요약하고, 대중매체를 통해 발견한 관련 사례 [2] 2장, 3장, 4장, 5장, 10장, 15장 강의를 듣고, 이 중에서 인상 깊은 것이 있 [3]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시행하고 있다. 그
금융위기발 실물경제 침체에 대한 각국 대응 및 시사점
[신자유주의는몰락할것인가]2008년 미국의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시작된 국제금융위기와 그 이후 전개된 세계적 경제 공황상태로 인해
[글로벌지역연구] 세계 글로벌 불황기 환경에서의 기업사례분석 및 향후방안
[국제경제]미국 금융위기에 대한 고찰 및 우리의 대응방안
[환경문제] 국제환경협약에 대해서
경제경영 캐나다의 무역 정책과 현황 분석
[미국금융위기]미국금융위기에 대한 고찰 -미국금융위기의 원인과 대책-
[국제경영] 삼성전자의 글로벌 경영분석 -`애니콜`의 중국시장진출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