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논문은 후설의 현상학이 인식론에만 갇혀 있지 않고 주변 학문들과 특히 사회복지학과 연계 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후설은 후기에서 사회철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상호주관성, 인격적 자아, 사랑의 공동체 등에 관한 내용들은 충분히 사회철학 분야에 포함시킬 만큼 세밀한 연구가 되어 있다. 후설은 유럽의 위기를 생활세계의 망각에 기인한 인간성의 위기로 보고, 이를 곧 철학의 위기로 보았을 정도로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고, 위기를 공동체의 문제로 보았다. 사회 문제는 곧 자아와 타자아, 자아와 공동체, 공동체와 공동체 간의 결합의 문제이다. 이런 결합을 원활하게 하는 데는 마음과 언어, 가치들이 충분히 제 역할을 해야 한다. 후설은 사회의 조화로운 결합, 가장 이상적인 결합을 위해 개인들의 상호이해, 의사소통, 포용과 조화의 사랑, 이성적 인격, 교육, 정언명령 더 나아가 국가와 신의 존재까지도 언급한다. 후설에게 있어서 최상의 이상공동체는 사랑의 공동체이다. 사회가 결합의 의미를 가지듯이 사랑 역시 결합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랑의 공동체는 아름다운 인간들의 결합, 다양한 인간들의 포용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자와 비정상적인 자, 부자와 가난한 자, 남자와 여자, 어른과 아이 들이 서로 사랑하며 조화로운 공동체 안에서 궁극적인 목적을 실현하는 것이 복지라고 할 때, 후설의 현상학에서 그 토대를 발견하는 일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phenomenological foundations for the philosophy and values of the social welfare. this study is concemed with theoretical accounts of the social themes in Husserl`s phenomenology. First, we explore the concepts of communication, intersubjectivity, and love as the bases of the social community, Secondly, in doing this, we find the similarities and relations between phenomenology and social welfare, and look at the possibility for their mutual convergence, Finally, we address that Liebesgemeinshaft(the community of love) is the goal which we are pursuing in our life. we try to show that ``Liebesgemeinshaft` is the welfare state, and to expand the area of phenomenology into the sociology.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론] 민족지학연구 및 현상학적 연구
[칸트, 형이상학, 이성비판] 칸트의 사상, 칸트의 도덕철학, 칸트의 도덕과 종교, 칸트의 도덕 형이상학, 칸트의 현상학적 윤리학에서 이성비판, 칸트의 선의지와 의무, 칸트의 역사 인식 가능성과 자연의 의도 분석
평등과 차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보신 문학작품에서 논의할 수 있는 평등과 차별에 관한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가능성
조직관리, 연구조사, 조직규정(사회복지윤리와철학, 조직관리사례, 연구조사평가사례, 조직규정과양식사례)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민영화 가능성 연구(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사론] 연구문제의 도출과 실행 가능성
클라이언트중심모델(등장배경, 이론배경, 주요개념, 사회복지실천적용, 평가, 적용사례) 보고서
심리학의 발달과정
인간행동 이론 인간행동 이론 인본주의 이론 인간행동 이론 인본주의
인본주의 이론 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