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디지털도서관 방식의 전자정보를 서비스 하는 시설은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의하여 법률적 지위를 갖는 디지털도서관과 상법사의 법률적 갖는 디지털도서관과 상법사의 법률적 지위를 갖는 상업적 디지털 정보제공회사로 이원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저적권자는 부가가치 획득을 목표로 하는 권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정보제공 기관 또는 제공회사를 통하여 저작물의 권리 보호와 부가가치를 보장할 수 있는 저작권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물론 도서관이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공정사용권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저작권보호를 위한 기술적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저작권관리시스템 구축은 필수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행 저작권법 및 동법 시행령에서는 특정도서관에 한하여 제한된 복제, 전송권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도서관에서도 전자상거래 기술을 이용한 유료서비스가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정보사회론]디지털도서관의 현재와 미래
[졸업][문헌정보] 디지털도서관의 출현에 따른 전산사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졸업][문헌정보학] 대학도서관 이용자 교육에 관한 현재와 미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역사와 미래
[사회복지론]디지털도서관의 현황과 운영내용에 관한 일고(一考)-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미디어산업] 전자출판, e-book의 현재와 미래
[사이버문학] 사이버 문학의 현재와 미래
[디지털도서관, 전자도서관, 전자책, e-book] 디지털도서관, 전자책(e-book)의 개념, 특성, 장단점과 디지털도서관, 전자책(e-book)의 문제점 및 디지털도서관, 전자책(e-book)의 발전방향 분석
[디지털도서관,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학교도서관의 디지털화, 전통적 도서관과 디지털자료실의 조화로운 발전모색, 디지털도서관의 추진방법과 구축원칙, 디지털도서관으로의 전환과정과 전환내용, 디지털도서관의 활성화 과제 분석
[디지털도서관론] 국립중앙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