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질문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주제이면서 실천적 의의 또한 중요하다. 한말의 국학이래 민족정체성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나 아직 만족스럽 해명은 나오지 않은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민족정체성 문제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에 토대하여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지 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한 문제는 다음의 세가지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1) 민족정체성이란 말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속성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민족정체성이 개인이나 집단에게 제기되는 정체성의 한 양상이라는 점과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어떤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그것의 유지·존속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민족정체성이 민족주의와 불가분의 관련이 있음을 감안하여,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을 제기하는 가운데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민족이론들을 염두에 두면서 민족정체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3) 한민족은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나름의 대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한민족이라는 용어에 대한 고찰에 이어, 한민족이 갖고 있는 종족적·문화적·언어적·역사적 특징으로의 외적 정체성과,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하는 내적 측면의 정체성에 대해 살피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해 연구자 나름의 요약된 결론을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영문초록
The identity of Hanminjok is a very controversial and ambiguous theme. Its historical origin and range are the questions under debate. Moreover there are many critical evaluations around national identity. In recent years post modernists insist that the national identity is the invented tradition, which was built up by the modern governmental power or the romantic nationalists with the purpose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tate building. More numerous anti-nationalists asserts that national identity is a dangerous and harmful mechanism for world peace. Of course for these opinions many objections are exist. This article examines some basic problems which must be dealed before the full-scale study on the identity of Hanminjok, the Korean nation. The interests of this paper will be summarized as following 3. (1) The first question is what is the concept and meaning of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As the national identity is a kind of identity, this paper starts the discussion with the meaning of identity. (2) The second question is why the national identity is necessary for mankind. This paper examines the disputes on nationalism because the national identity has inseparable ralation with nationalism. (3) The third question is who is the Korean nation and how can we define the identity of Hanminjok.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 of the term of Hanminjok and examines the ethnical, cultural, linguist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Hanminjok. Hanminjok`s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in Korean history is also checked.
추천자료
재일한인의 민족 정체성
창의력 글쓰기와 사고 민족 정체성에 대하여
한민족 정체성 확보를 위한 실제적방안을 서술하시오0
[민족정체성]역사적 흐름을 통해서 본 민족정체성의 변천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의 역사,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 특성,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 정체성,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 문화,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 생활,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 이주
[한국인의 정서, 민족성, 한국적 정서, 한국정서, 민족의식] 한국인의 정서구조(민족성)와 고전시가속의 한국적 정서(민족성) 및 한국의 문화적 정서 그리고 한국인의 정서(민족성)에 따른 제언 분석
야키야 마추 성훈의 민족 정체성
민족과 국민 사이에서 한국 체류 조선족들의 정체성 인식 리포트
[재외동포, 해외교포, 재외동포사회, 재외동포정책] 재외동포의 정의, 재외동포의 역할과 재외동포사회의 차세대 민족정체성 및 재외동포의 현황, 재외동포정책의 문제점 그리고 재외동포의 역할 제고 방안 분석
[역사사회학] 민족주의와 정체성(상상의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