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정부는 현행 미충족 요양서비스를 급여서비스로 전환하여 중증노인부터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며, 재가요양서비스 충족을 위하여 방문간호사업소를 확충할 계획이다. 이에 고령사회의 보건소의 공공보건서비스 핵심사업으로 부각될 의료취약계층 대상 방문 보건사업과 함께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지역사회 공공 방문간호사업소 개설 추진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방문보건사업 취약계층 등록관리율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방문보건사업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문보건사업 취약계층 등록관리율 영향요인 다변량 분석에서는 방문보건인력당 관할가구(P<0.011), 방문보건인력당 취약계층 가구(P<0.001), 방문보건 인력당 전용차량수(P=0.007), 보건소 소재지역(P=0.017), 보건소 유형(P<0.001)이 방문보건사업 취약계층 등록관리률과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존의 방문보건사업 평가지표는 방문보건 서비스 제공자에 치중되어 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평가지표의 모호한 측면이 있어 향후 방문보건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방문보건 서비스 제공자 뿐 아니라 대상자를 고려한 평가 지표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서는 기초조사, 등록, 중재, 퇴록 등 방문보건 서비스 단계별로 방문보건사업의 지속적인 질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방문보건사업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for quality of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through the study the major factors of registrated weaken poorly residents in the community based home healthcare. Variou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study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quality of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of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Mail survey was conducted from national wide PHC(public health centers), sub health centers and primary health care posts. of the surveys mailed, 2,293 centers(67%) were returned within the allotted and w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se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ata was analysed by SPSS for windows 12.0.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major factors of registrated weaken poorly residents in the community based home healthcare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were jurisdictional families per manpower(OR:0.78, 95%CI:0.64-0.94, P=0.011), weaken poorly families per manpower(OR: 0.42, 95%CI:0.35-0.50, P<0.001), business vehicles per manpower(OR:1.13, 95%CI:1.04-1.24, P=0.007) type of public health center(OR:4.42, 95%CI:3.32-5.90, P<0.001), region of public health center(OR:0.53, 95%CI:0.32-0.89, P=0.017). Secondly, performance indicators for quality of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were developed as basic investigation, registration, intervention and discharge level. Preparing for Activ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in Korea, the result application as follows is possible. Firstly, we can conclude that the major factors of registrated weaken poorly residents in the community based home healthcare are jurisdictional families per manpower, weaken poorly families per manpower, type of public health center, region of public health center, business vehicles per manpower. Secondly, the new developed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are divided into basic investigation, registration, intervention, discharge for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could be applied it for improving quality of home healthcare services.
추천자료
우리나라의 실태와 임금조정의 방법-21세기 유망직종
[측정][관광이벤트측정]측정과 관광이벤트측정, 효율성측정, 측정과 연상강도측정, 보건수준측정, 측정과 욕구측정, 측정과 장애인사회통합측정, 측정과 비정형근로자측정, 측정과 정보활용측정, 측정 조직행위측정
[해외지역연구] 중국 연구
[여성교육론] 여성의 정치 참여
[의학] 구강질환의 특성과 통계 및 수치
보건교육의 이해 및 국내 보건교육의 발전 전략 고찰
[인적자원관리] GE 사례 분석
[보건복지부][보육사업][지역자활지원계획]보건복지부의 사업별예산, 보건복지부의 보육사업, 보건복지부의 지역자활지원계획, 보건복지부의 병원활성화대책, 보건복지부의 아동학대종합대책, 보건복지부의 정책과제
[사업][행정정보화사업]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 국가기간전산망사업 평가, 경의선교통망연결사업 평가, 공공부문EDI(전자상거래)사업 평가, 행정정보화사업 평가, 정부출연연구기관 기관고유사업 평가 분석
[간호관리실습] 을지대학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