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련변인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관계 간의 관계구조분석을 연구하는데 있다. 표집대상은 포항시와 경주시에 소재하는 보육교사 35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19.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보육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교사 협력관계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고의 방법임을 시사한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childcare teacher`s work-satisfaction, day ca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arent-caregiver partnership.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57 childcare teachers randomly selected from day care center located in Pohang-city and Gyeongju-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9.0.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childcare teacher`s work-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affected i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directly. Secondly, day ca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mediated by childcare teacher`s work-satisfaction. Thirdly, parent-caregiver partnership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mediated by childcare teacher`s work-satisfaction. Parent-caregiver partnership and day ca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as the best way of improving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to enhance childcare teacher`s work-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