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목적: 상피하종양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내시경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이번 연구는 점막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과 고유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와 내시경초음파검사로 관찰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에서 상피하종양이 의심되어 내시경초음파검사를 받은 환자 중, 점막근층 혹은 고유근층에 병변이 있는 총 286명의 환자에서 총 307개의 병변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점막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 크기는 10.5±6.9 mm로 고유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 크기(14.3±13.9 mm)보다 작았다(p=0.035). 점막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은 식도에서 69.1%로 많았으며, 고유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은 위의 체부에 43.3%로 많았다(p<0.001). 점막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이 조직 겸자에 의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가 80.4%로 많았고 (p=0.001), 고유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이 조직겸자에 의하여 눌러지지 않는 경우가 72.4%로 많았다(p<0.001). 내부에 코는 점막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의 89.7%에서, 고유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의 81.9%에서 균질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식도에서는 점막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이 많이 발견되고 위에서는 고유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이 많이 발견되었다. 점막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은 크기가 작고, 움직임이 많으며, 단단하여 눌러지지 않았다. 내시경초음파검사에서 점막근층과 고유근층 기원의 상피하종양에서 내부 에코 차이는 없었다.
영문초록
Background/Aims: Subepithelial tumors are occasionally found dur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ndoscopic characteristics of mesenchymal tumors originating from muscularis mucosa or muscularis propria. Methods: A total of 307 mesenchymal tumor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were diagnosed between March 2006 and February 2012 at Yeouido St. Mary`s Hospital (Seoul, Korea). Data on endoscopic and endoscopic ultrasonographic finding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retrospectivel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Results: The mean size of the mesenchymal tumors originating from muscularis mucosa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riginating from muscularis propria (10.5±6.9 mm vs. 14.3±13.9 mm, p=0.035). The most common locations of the mesenchymal tumors originating from muscularis mucosa and muscularis propria were esophagus (69.1%) and body of the stomach (43.3%), respectively (p<0.001). Rolling sign was more commonly observed with mesenchymal tumors originating from muscularis mucosa (80.4%, p=0.001), and cushion sign was more frequently absent with those originating from muscularis propria (72.4%, p<0.001). Internal echo was homogenous in 89.7% and 81.9% of mesenchymal tumors originating from muscularis mucosa and muscularis propria, respectively (p=0.092). Conclusions: The size, location, and movability of mesenchymal tumors originating from muscularis mucosa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mesenchymal tumor originating from muscularis propria.propria. (Korean J Gastroenterol 2013; 62:9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