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배경: 국내 COPD 유병률이 40세 이상 성인의 경우 13% 이상이지만 전국적 규모의 COPD 환자에 대한 역학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적 규모의 COPD cohort를 구축하여 국내 COPD 환자의 phenotype을 확인하고 그 위험인자를 밝혀 임상적인 활용과 함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한 목적으로 COPD cohort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전국적으로 43개 병원 61명의 공동 연구자와 함께 COPD 환자 1,000명을 목표로 cohort를 구축하여 후향적으로 5년간 경과 관찰을 할 예정이다. 결과: 2012년 9월까지 221명의 COPD 환자가 입적되었다. 평균 나이는 68.6±8.2이며 남성이 89%를 차지하였다. 약 40%에서 비 흡연력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22년값을 흡연력이 있었다. 폐기능에 따른 중증도는 FEV1≥80% pred., 50%≤ and <80% pred., 30%≤ and <50%pred., FEV1<30%이 각 각 6.5%, 46.8%, 36.0%, 10.8%였다. 평균 CAT 점수는 16.27±8.36, 6분 보행 검사의 평균은 401.71±104.95M였다. 평균 BMI는 22.99±3.38 였으며 평균 3.7개의 호흡기 약물을 사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COPD 역학 연구에 중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표현형을 확인하고 그 위험 요소를 관리 함으로써 환자의 경과를 바꿀 수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