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목적: 흉부 방선균증 치료는 아직 잘 정립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흉부 방선균증에서 항생제 치료 결과와 이와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조직검사로 확진된 흉부 방선균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적: 총 68명 환자들의 연령 중앙값은 58세, 남자가 47명(69.1%)이었다. 53/68명은 조직 검사 후 항생제로 치료를 시작하였고(중앙 항생제 기간, 5.3개월), 15/68명은 수술 후에 항생제 치료를 지속하였다(중앙 항생제 기간, 5.2개월). 전체 환자 중에서 59명(86.8%)은 항생제 치료로 재발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었지만 9명(13.2%)은 항생제 치료에 실패하였다. 치료 실패 환자 중 5명은 처음부터 항생제에 반응이 없었고(중앙 항생제 기간, 4.9개월) 3명은 치료 후 재발하였으며(재발까지 기간 중앙값, 35.3개월), 나머지 1명은 수술 후 항생제 사용 중에 재발이 확인되었다. 9명의 치료 실패 환자들은 치료 성공 환자들과 비교해서 더 젊고(연령 중앙값, 48 vs. 59, p=0.030) 객혈 증상이 더 많았으며 (88.9% vs. 54.2%, p=0.049) 처음 한 달 동안 항생제 치료 반응률이 유의하게 낮았다(25.0% vs. 92.7%, p<0.001). 반면, 병변의 크기나(4.8 vs. 3.8 p=0.305) 기저 폐 질환 여부는(44.4% vs. 35.6%, p=0.608) 차이가 없었다. 결론: 흉부 방선균증 치료에서 처음 한 달간 항생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는 치료 실패나 재발의 위험성이 있다.
추천자료
[간호학] 아동 폐렴 간호사정
[성인간호학] 만성 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신장이식 kidney transplantation
[모성간호학] 산부인과 자궁내막암 케이스
[약리학] 항생제, penicillin, Cephaloshorin, 항균제
[생물] 조류질병학 세균정리
환경오염-수질, 대기, 토양오염의 원인과 해결방안
[합병증][간내결석증][부동환자][당뇨병][고혈압][폐][출산][유방암수술]간내결석증의 합병증, 부동환자의 합병증, 당뇨병의 합병증, 고혈압의 합병증, 폐의 합병증, 출산의 합병증, 유방암수술의 합병증 분석
[미생물학] 유해한 미생물
[의료보건]전염병,성병의 정의와 종류 및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