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국내 토양시료에서 분리한 174 Corallococcus 속 균주와 207 Myxococcus 속 균주들의 배양추출물을 제조하고 Candida albican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Corallococcus가 7.5%(174균주 중 13균주)로 51.7%(207균주 중 107균주)를 보인 Myxococcus에 비해 낮았다. 하지만, 항세균 활성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Corallococcus가 12.1%(21균주)로 1%(2균주)를 보인 Myxococcus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Corallococcus 균주 중 P. aeruginosa, S. aureus에 모두 활성을 보이는 6 C. coralloides 균주들은 자실체 형성에서는 차이를 보였지만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유사하였는데, 이들이 생산하는 항세균 물질의 생산은 CYS 배지에서 6일 이상 배양할 때 가장 높았다.
영문초록
We prepared culture extracts of 174 Corallococcus and 207 Myxococcus strains isolated in Korea, and compar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percentage of strains showing antifungal activity was lower in Corallococcus (7.5% [13 of the 174 strains]) than in Myxococcus (51.7% [107 of the 207 strains]). However, the percentage of strains exhibiting antibacterial activity was higher in Corallococcus (12.1% [21 strains]) than in Myxococcus (1% [2 strains]). The culture extracts of 6 Corallococcus strains inhibited both P. aeruginosa and S. aureus and displayed similar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romatograms, although the shapes of their fruiting bodies were dissimilar. The rate of produc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was the highest when the strains were cultured in CYS medium for more than 6 days.
추천자료
여성건강과 성병 여성건강과 성병
감염성 질환 Infection개론
건강과 간호 레포트
미생물의 2차대사산물
[식품매개질환][식중독]식품매개질환 보툴리누스균과 세레우스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식중독과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세균성이질 식중독과 노로바이러스 위장관염 분석
[임상연구] 포도알균 패혈증에 걸린 신장이식환자
[미생물학] 생활속의 미생물
[식물의학 A형] 식물병의 발생과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라
[가정학과 공통] 1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인 온도, 산소, pH, 삼투압, 자외선의 영향을 설명하시오(15점)
[약리학] 항생제, Aminoglycosides, Fluoroquinolones, Peptides, Antivials, 항말라리아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