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대공간구조물의 경우에 장경간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점의 지반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진파의 전단파 속도에 따라서 지점에 도달하는 지진하중의 도달 시각이 다를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지점 지진하중을 적용하여 킬아치구조물의 지진응답을 분석하였다. 다중지점 지진하중을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지진응답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대공간구조물의 정확한 지진응답 분석을 위해서는 다중지점 지진하중의 적용을 통한 지진응답 분석이 필요하다.
영문초록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the keel arch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re analyzed by means of the pseudo excitation method. It is known that the seismic responses of spatial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patial structure under simple excitation. And the seismic response of spatial structure with time lag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patial structure without time lag. Therefore, it has to be necessary to analyze the seismic response of spatial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nd time lag because the spatial structure supports may be different and very long s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