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우리나라 외국인 관광시장은 2013년 방한 외래 관광객이 12,175,550명을 기록하며 급격한 양적 발전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양적 확장’ 경향은 ‘질적 성장’의 필요성 인식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환경 변화 속에서 문화관광기념품의 질적 발전을 위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문화관광기념품 기획 및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하나의 지표를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상품 제작업체인 무늬공방의 주력 제품(문진 오르골)으로 한정하여 2013년 7월1일∼12월31일의 최근 6개월간의 매출 자료를 토대로 국적별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진행 하였다. 이를 위해 무늬공방 인사동 쌈지길 직영매장의 실제 판매사례를 분석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관광기념품 개발의 적용단계에 있어 제작 및 매출 증진과 마케팅 전략에 효과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 및 분석의 주요 관점은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실제 구매 내역을 지표로 선택하여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소재, 디자인 방법과 관련된 구매자의 국적 별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연구내용을 구성했다는 점이다. 특히 문화관광기념품으로서의 특징인 한국 상징 소재에 대한 디자인 소재 분류를 별도로 조사하여 국적 별로 어떠한 한국 상징 소재를 선호하는가에 관한 조사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한국 상징 소재 디자인’ 구매 비율과 ‘한국화 디자인’ 구매 비율 모두 서양권 관광객의 구매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난 반면 관광객 수가 많은 동양권 관광객의 경우 낮은 구매율을 보였다. 조사결과에 나타난 국적 디자인 별 선호도로 볼 때방한 관광객의 국적, 연령, 성별, 관광목적 등의 변화를 토대로 하는 디자인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표 결과, 방한 관광객의 기존 상품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토대로 한 세부적 선호도 분석 자료는 앞으로 문화관광기념품의 기획과 제작에 있어서 보다 구매가치가 높고 매력적인 상품기획에 유용한 지표로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문초록
As the number of foreigner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13 was recorded to 12,175,550 ones, Korean sightseeing market for foreigner tourists is rapidly developed in quantitative aspect. Such rapid ‘quantitative expansion’ tendency is expanded into the perception on necessity of ‘qualitative growth’. This study aimed to make a indicator as basic data to be utilized in planning and producing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through the research about the design preference of foreigner tourists visiting Korea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in such sightseeing environment changes, and This study limited the research target to the paperweight music box, the main goods of Moony Gongbang, a firm manufacturing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and conducted the research on foreigner tourists` design preference by their nationality based on the firm`s sale data for recent 6 months from July 1st∼ December 31st, 2013 in the ‘ssamjigil’ of the Insadong. Through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real sale cases in the firm`s directly managing shop and tried to find out ways to effectively utilize the analyzed data for the souvenirs production, the sale increase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application stage of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toward foreigners. Main viewpoint for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data consisted the study contents in order to grasp the preference by each purchaser`s nationality relevant to design motives and expression methods by selecting foreigner tourists` real purchase records as the research indicator. Especially, this study separately researched the classifications of design motives about materials symbolizing Korea, a characteristic of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and suggested research results about the foreigner tourists` preferred Korean symbolizing materials by their nationality.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the purchase ratios of Western tourists both in ‘Symbolizing Korea material design’ and ‘Korean painting design’ products appear noticeably high while those of tourists from Eastern countries turn out to be low. The regional preference in design which this survey results are showing places the importance on the necessity of the specific design based on the changing features in tourists` nationality, age, sex, purposes and etc. The detailed preference analysis data based on foreigner tourists` specific preference for existing products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as very useful data for planning higher purchase values and more attractive goods at the stages of planning and producing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in future.
추천자료
관광 쇼핑 산업의 진흥방안 연구
산업관광자원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외국인관광객]외국인관광객과 관광기념품, 관광상품, 외국인관광객과 의류상품, 보석산업, 외국인관광객과 숙박시설, 외국인관광객과 템플스테이, 외국인관광객과 웰컴카드제도, 외국인관광객과 유치사례 분석
[외국인관광객][쇼핑성향][관광기념품][보석산업]외국인관광객과 쇼핑성향, 외국인관광객과 관광기념품, 외국인관광객과 보석산업, 외국인관광객과 의류상품, 외국인관광객과 템플스테이, 외국인관광객과 숙박시설
[호텔관광] 관광기념품의 구매행동 및 활성화 연구
북촌&전주 한옥마을 문화도시 비교분석
21세기 관광정책의 방향
[관광학]외래관광객 유치를 위한 방안
한국문학을 이용한 테마거리 조성 방안
[일본관광객][관광특성][관광기념품][관광지이미지][보석관광상품][호텔선택]일본관광객과 관광특성, 일본관광객과 관광기념품, 일본관광객과 관광지이미지, 일본관광객과 보석관광상품, 일본관광객과 호텔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