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시대적으로 두드러진 독서론의 특성으로 살펴보고, 이를 현대의 독서론의 특성과 비교, 재조명하였다. 그 결과 시대의 특성을 반영한 시대별 독서론의 특성들이 각각 드러났다. 또한 조선시대와 현대의 독서 현상을 비교해본 결과 조선전기 입신양명형 독서관과 현대의 성공지향적 독서관, 조선중기 도학주의적 독서관과 현대의 인성중심 독서관, 조선후기 문제해결형 독서관과 현대의 행복지향형 독서관은 상통하였다.
영문초록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n reading theory of the Joseon period and Modern Time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theory of two periods. The results come out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eading theory reflected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theory of two periods have something in common.
추천자료
[한국문화] 조선시대 과거제와 사법고시 비교
[고전문학] 이생규장전과 현대작품의 비교연구 - 환생모티프 중심으로
조선시대와 현대사회 혼외관계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드라마 `구미호 여우누이뎐`과 `제빵왕 김탁구`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 과거제도와 현대 공개채용 시험비교
[미술] 조선시대 미술교육의 역사에 관한 연구
[당쟁][사림정치][붕당정치][조선시대]당쟁(사림정치, 붕당정치, 조선) 정의와 발생, 당쟁(사림정치, 붕당정치, 조선)과 정치상황과 인식, 당쟁(사림정치, 붕당정치, 조선) 폐해와 지연, 공론주도와 폐모살제, 당쟁(붕당정치)과 현대정치의 비교, 시사점
[가족생활문화] 남녀의 역할 변화-조선시대와 현대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삼성전자와 현대전자 기업분석 비교연구
조선시대와 비교한 삼국시대의 개방적인 성문화
조선시대 상소문에 나타난 설득방식과 표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