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본 연구에서는 구형의 폴리스티렌 구슬을 틀로 사용하여, 크기분포가 좁으면서 속은 비어있고 벽이 다공성인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 캡슐을 합성하였다. 폴리스티렌의 표면은 무기물인 실리카졸이 쉽게 입혀질 수 있도록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코팅하여 변조하였다. PVP가 코팅된 PS 마이크로 입자표면에 SBA-16 졸을 부착시킨 다음, 실리카층에 존재하는 중간 크기의 세공 내에 탄소원을 채워 넣는 음각식 형뜨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속이 빈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탄화과정을 거치고 틀로 사용한 다공성 실리카입자를 HF로 용해하면, 좁은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중간세공이 함유된 계란껍질형의 탄소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계란껍질형 탄소 마이크로캡슐 입자의 다공성과 전기화 학적 특성은 XRD, SEM, TEM, 질소분자 흡/탈착분석법 및 cyclic voltammetry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탄소입자는 슈퍼캐패시터와 같은 전자재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만한 높은 전기전도도와 용량을 나타내었다. |
|
|
영문초록 |
In this study, highly monodispersed porous carbon microcapsules with a hollow core were synthesized using polystyrene (PS) beads as a hard template. The surface of PS was first modified with polyvinylpyrollidone (PVP) for the easy attachment of inorganic silica sol. After coating the surface of PVP modified PS microspheres with SBA-16 sol, the carbon microcapsules with a hollow macroporous core were fabricated through reverse replication method by filling carbon sources in the mesopores of silica mold. The hollow carbons having a mesoporous shell structure and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could be obtained after the carbonization of carbon source and the dissolution of silica mold by HF solution. The mesoporous characteristic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hollow carbon microcapsules were characterized by XRD, SEM, TEM, N2 adsorption/desorption analysis and cyclic voltammetry. They showed the high electric conductivity and capability for use as efficient electro-materials such as a supercapacitor. |
|
|
도움말 |
본 논문은 참고용 논문으로 수정 및 텍스트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
|
|
 |
|
|
|
|
저작권 정보 |
|
본 학술논문은 한국학술정보㈜ 각 학회간에 저작권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HAPPY학술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