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8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3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증거 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관속식물은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군으로 기록되었다. 이 중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붓꽃, 삼백초(식재)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미선나무, 금털고사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붉노랑상사화, 변산향유, 변산바람꽃 등 1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9분류군으로 생태계교란종은 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분류군, 남방계 10분류군, 관심식물은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분류군은 186분류군이었다.
영문초록
This study of vascular plants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33 da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8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uth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and photographs, 829 taxa in total were recorded, including 141 families, 458 genera, 748 species, 16 subspecies, 59 varieties, and 6 forma. Two endangered taxa were identified, Iris koreana Nakai an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Five rare taxa were found, including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d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Tagawa) Ohwi. A total of 17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Examples include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Eranthis byunsanensis B. Y. Sun, and Lycoris flavescens M. Kim & S. T. Lee.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third to fifth degree), 52 taxa were identified.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79 taxa, and 7 species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Lactuca ser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We recorded 39 taxa of the plant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추천자료
[관광경영]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관광 상품화
변산반도 국립공원 자연해설
[가야산국립공원식물상, 설악산국립공원식물상, 한려해상국립공원식물상]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 분포, 설악산국립공원의 식물상 분포,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식물상 분포 심층 분석
[국립공원]국립공원의 연혁, 국립공원의 중요성, 국립공원의 현황, 국립공원의 문제점, 국립공원의 관리 방향 분석
[생태관광론] 주왕산 국립공원과 주산지 생태관광지화 방안
해상과 해상수송망(MTS), 해상수송수단, 해상과 해상운송, 해상교통방송(NAVTEX), 해상과 해상법, 해상운임, 해상과 해상중력탐사, 국제해상보안규칙, 해상과 동아시아해상분쟁, 해상과 해상공원, 해상과 청해진
[환경영향평가]환경영향평가에 있어 생태계 중요성
백두대간 환경 대탐사
제 1회 청년생태학교
[산][내장산][계룡산][마니산][마이산][북한산][지리산][천등산][칠갑산][화학산]내장산, 계룡산, 마니산, 마이산, 북한산, 지리산, 천등산, 칠갑산, 화학산 분석(내장산, 계룡산, 마니산, 마이산, 북한산, 지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