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동·서의 근대, 동·서의 자본주의 사이에 차이는 존재하는가? 차이가 존재한다면, 우리는 이 차이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그리고 우리에게 이 차이는 왜 중요한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논문은 우리의 근대성이 서구로부터 이식된 근대성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인정하는 가운데 동·서 근대가 양산한 공통의 문제로서 과학기술문명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며, 다른 한편으로 유교 전통의 영향사 아래 형성된 우리 근대의 특수한 정체성 찾기라는 당위명제를 토대로 개진된 동아시아 근대의 근대성을 다룬 선행논의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논문은 첫째, 서구 근대성의 근본특징에 대한 철학적 진단을 시도하며, 둘째, 유교 근대화론이라고 할 수 있는 ‘유교자본주의’, ‘중층 근대성론’ 혹은 ‘능력주의 합리성’의 핵심 주장을 검토하고, 이 논의 내부에 내재해 있는 유럽 중심주의의 사상적 흔적을 살피고자 하며, 셋째, 서구 근대성이든 동아시아 근대성이든 양자의 근대를 공속하고 있는 기술 문명 의존적 자본주의에 대한 무비판적 태도를 지적하고, 하이데거의 기술 문명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토대로 근대성 담론에 은폐되어 있는 철학적 사유의 한계를 게시하고자 한다. 이런 논의과정을 통해 필자는 근대가 남긴 문제 해결과 서구 근대와는 다른 동아시아 근대의 특수한 정체성 찾기라는 중첩된 과제의 윤곽이 우리의 시야에 포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문초록
Gibt es eine Differenz der morgenländischen von abendländischen Modernität bzw. Kapitalismus? Wie behandeln wir diese Differenz, wenn es sie gäbe? Warum ist sie uns so wichtig? Um die Frage zu antworten, wird der Aufsatz zuerst die Folge der machinentechnische Zivilisation als das aufzulösende Problem der Neuzeit kiritisch betrachten. Daran anschlißend haben wir allerdings das historische Faktum anerkannt, so dass die Modernität von Abendland auf Morgenland verpflanzt wurde. Auf anderer Seite wird er die vorgegangenen Arbeiten, die auf die spezielle Mordenität der ostasiantischen Neuzeit aufmerksam gemacht haben, Stück für Stück untersuchen. Weil die ostasiatische Neuzeit unter der Wirkungsgeschichte der konfuzianischen Kultur entwickelt wurde, haben die Arbeiten alle die besondere Identität der ostasiatischen Modernität zu bilden geglaubt. Der Aufsatz sucht 1. die abenländische Modernität philosphisch zu diagnostizieren, 2. das Zentralargument von ‘Konfuzianischer Kapitalismus’, ‘Mehrsichtige Modernität’ und ‘Rationaliät der Meritokratie’ zu untersuchen und damit den Spur der europazentrischen Denkweiese anzuzeigen. Denn solche Arbeit hat den Eropazentrismus in sich verborgen. 3. wird er auf die bedingungslose Aufnahme von Kapitalismus, der von dem Maschinentechnik vollkommen abhängig ist, in bezug auf Heideggers Kritik der technischen Zivilgesellschaft verweisen. Denn Orient und Okzident haben die vielen Probleme von der Technikwelt gemeinsam behalten. So hoffe ich darauf, dass wir erneut darauf konzentrieren können, die Probleme der Neuzeit aufzulösen und die besondere Identität der ostasiatischen Modernität auszubilen.
추천자료
[교직]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레포트
서양의 철학사 레포트
서양윤리 중요사항 정리
[철학사][서양][독일][중국][현대][중국현대철학][고전철학][합리론][경험론][칸트 비판철학][독일관념론]서양 철학사, 독일 철학사, 중국 철학사, 현대 철학사 분석(철학사, 서양, 독일, 중국, 현대, 중국현대철학)
[교육철학] 인간의 역사적 창조성 -역사를 통해 본 Logos와 Chaos의 순환적 질서
신소설에 대하여 이인직 작가론 이인직 작품론 이해조 작가론 이해조 작품론
기독교교육사상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요약 새로 쓰는 여성과 한국사회 여성한국사회연구소
[인문학][인문과학]인문학(인문과학)의 의미와 유래, 인문학(인문과학)의 시대별특징, 인문학(인문과학)의 문화연구, 인문학(인문과학)의 새로운경향, 인문학(인문과학)의 교육동향, 인문학(인문과학) 위기, 인문학(인문과학) 발전과제
문명의 충돌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