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어문학 > 언어학
다문화가족의 한국어 학습 변인들에 대한실증 연구-국적, 한국어 위상, 다문화, 상황성을 중심으로
류경애 ( Kyung Ae Ryu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166~194페이지(총29페이지)
실증분석결과 한국어교육의 중요한 학습 변인들에 따라 한국어학습에 있어 많은 차이성이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가족들은 대부분 한국어를 한국인의 문화를 이해하고 생활하기 위한 제2 언어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한국어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족들은 한국어교육이 쌍방향의 상호 수평적인 다문화 교육 혹은 간문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셋째, 한국어 수강생은 한국어와 모국어를 병행하여 강의하거나 이중 언어로 된 교재를 사용해 주기를 원하고 있다. 넷째, 한국어 위상과 한국어교육 목적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부적합성과 한국어 강의에 대하여 불만이 많았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을 시킬 때, 이러한 다문화가족들의 국적과 한국어 위상에 대한 인식, 다문화 교육 목적, 한국어교육의 상황성 등의 학습 변인 등을 고려하여 한국...
TAG 한국어교육, 다문화가족, 학습 변인, 다문화주의, 다변량 분석, Korean Education, Multicultural Family, Learning Variable, Multiculturalism, ANOVA
한국어의 어원과 발상, 그리고 명명
( Kap Soo Park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196~221페이지(총26페이지)
실증분석결과 한국어교육의 중요한 학습 변인들에 따라 한국어학습에 있어 많은 차이성이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가족들은 대부분 한국어를 한국인의 문화를 이해하고 생활하기 위한 제2 언어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한국어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족들은 한국어교육이 쌍방향의 상호 수평적인 다문화 교육 혹은 간문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셋째, 한국어 수강생은 한국어와 모국어를 병행하여 강의하거나 이중 언어로 된 교재를 사용해 주기를 원하고 있다. 넷째, 한국어 위상과 한국어교육 목적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부적합성과 한국어 강의에 대하여 불만이 많았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을 시킬 때, 이러한 다문화가족들의 국적과 한국어 위상에 대한 인식, 다문화 교육 목적, 한국어교육의 상황성 등의 학습 변인 등을 고려하여 한국...
TAG Etymology, Ideation, Naming, 5 organs of sense, Original Korean
스토리 창작 교육모형 형성을 위한 방법으로서가추법과 이야기 형식 모형의 적용가능성 탐색
김효정 ( Su Hong Park ) , 박수홍 ( Hyo Jeong Kim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224~251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가추법과 Egan의 이야기 형식 모형을 창작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우선 스토리 창작에 가추법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가추법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교수 설계 및 스토리 창작활동에 적용한 사례를 통해 스토리 창작에의 적용 방법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가추법을 활용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가추법을 활용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에서 부족했던 주제선정, 줄거리 구성, 스토리 작성, 감상과 비평, 퇴고의 단계에서 효과성과 효율성이 높은 전략으로 Egan의 이야기 형식 모델을 재구성하여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제시한 가추법과 이야기 형식 모형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은 비일상적 경험의 발견, 대면적 대화를 통한 아이디어 공유, 메타포를 통한 생각 모으기...
TAG 스토리 창작, 창작교육, 가추법, 이야기 형식 모델, 스토리텔링, Story writing, Story writing teaching, Abductive reasoning, Story form model, storytelling
한어(漢語)와 한어(韓語)의 한자어휘(漢字語彙) 대비(對比)(二) -한자사(漢字史)의 고유명사(固有名史) 표기법(標記法)을 중심으로-
( Kwang Soo Su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254~266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가추법과 Egan의 이야기 형식 모형을 창작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우선 스토리 창작에 가추법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가추법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교수 설계 및 스토리 창작활동에 적용한 사례를 통해 스토리 창작에의 적용 방법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가추법을 활용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가추법을 활용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에서 부족했던 주제선정, 줄거리 구성, 스토리 작성, 감상과 비평, 퇴고의 단계에서 효과성과 효율성이 높은 전략으로 Egan의 이야기 형식 모델을 재구성하여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제시한 가추법과 이야기 형식 모형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은 비일상적 경험의 발견, 대면적 대화를 통한 아이디어 공유, 메타포를 통한 생각 모으기...
TAG proper-noun, "jian hua zi", 間化字, 間分字, "Romanized letters", "pinyin", 平音, economically thinking, "實事求是的思考"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른 유형별 텍스트의 화제구조 분석 연구
이윤빈 ( Yun Bin Lee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268~301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는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른 유형별 텍스트의 화제 구조 특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Lautamatti(1978)의 방법을 수정한 이윤빈(2013)의 화제 구조 분석(TSA) 방법을 사용하여 전문 필자, 상위 수준 대학생 필자, 하위 수준 대학생 필자 집단이 작성한 정보전달적·설득적·정서표현적 텍스트의 화제 구조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라 특정한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텍스트의 문장 화제들을 진행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정보전달적·설득적 텍스트의 경우, 필자의 쓰기 수준과 텍스트에 나타난 특정 화제 진행 유형의 비율이 단계적으로 비례 또는 반비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정서표현적 텍스트에서는 필자의 쓰기 수준과 화제 구조가 명확한 ...
TAG 텍스트 분석, 화제 구조 분석, 필자의 쓰기 수준, 정보전달적 텍스트, 설득적 텍스트, 정서표현적 텍스트, Text Analysis, Topical Structure Analysis, Writer`s Level of Writing, Informative Text, Persuasive Text, Expressive Text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음장 오류 연구-상해 지역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칠성 ( Chil Seong Im ) , 곽일성 ( Yi Cheng Guo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304~324페이지(총21페이지)
이 논문은 상해 소재 F대학의 한국어 학습자 12명의 발표에서 사용된 2,283개 어절의 음장 오류를 분석하여, 중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 학습자들의 음장 오류의 양상과 성격을 밝히고, 그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체 어절 중 40.30%에 해당하는 919개 어절에서 오류 현상이 나타났는데, 오류는 네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1) 어두 장음 오류, (2) 어두 단음 오류, (3) 2음절 이하 장음 오류, (4) (2)+(3). 각 유형별로 18.50%, 36.80%, 35.50%, 7.80%의 분포를 보인다. 오류 발음의 방식을 성조가 가미된 오류 두 방식과 성조가 없는 오류 두 방식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자료와 분석을 통해 네 가지의 해석을 할 수 있다. 첫째, 오류의 분포로 볼 때 장음을 단음...
TAG 한국어 음장 오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 음장 오류 유형, 음장 오류 방식, length error of Korean, Chinese learner of Korean, Chinese learners in KFL, length error types, pronunciation ways of length error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 연구
전은주 ( Eun Ju Je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326~355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유형 교육의 개념과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뒤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대화, 토론, 토의, 발표, 면담 등과 같이 이러한 발화 연속체의 진행 과정과 표현 방식이 다른 담화와 구분되는 것을 ‘담화 유형’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어 담화 유형 교육’은 한국어 구두 의사소통에 나타나는 담화 유형의 형식적, 표현적 관습을 이해하고 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능력 시험의 ‘등급별 평가 기준’에서 추출한 담화 유형과 현재 국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4종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담화 유형의 계열성을 비교하여 ...
TAG 한국어 교육, 토의, 토론, 대화, 면접, 발표, 담화, 담화 유형, 담화 유형 교육, 계열성, Korean education, discussion, debate, conversation, interview, presentation, discourse, discourse type, discourse type education, sequence
국어과 예비 교사의 수업 실행에 나타난 문제양상과 지도 방안
정민주 ( Min Ju Chu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358~391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실행에 나타난 문제 양상을 탐색하고, 국어과 예비 교사들에게 필요한 수업 실행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 지역 A대학교 국어과 예비 교사 45명의 수업 자료와 심층 인터뷰 자료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어과 예비 교사들이 수업 목표와 관련하여 동기 유발 활동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 수업에 필요한 지식이나 개념을 불완전한 형태로 변환하는 문제, 교수법을 잘못 적용하는 문제, 교실 의사소통에 능숙하지 못한 문제, 수업 내용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런 문제들이 국어 교과 내용 지식과 교수 내용 지식의 문제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고 예비 교사들에게 제공할 수업 실행 전략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반성적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제안하였다.
TAG 국어교육, 예비 교사 교육, 수업 실행, 수업 담화 분석, 반성적 티칭 포트폴리오,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ruction implementation, class discourse analysis, reflective teaching portfolio
장르 개념화를 위한 문법교육적 접근
제민경 ( Min Kyeong Je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393~426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는 국어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르’ 관련 담론을 메타적·비판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언어’ 중심의 장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학, 체계기능언어학, ESP, 수사학 전통의 ‘장르’ 개념과 그에 따른 교육 목표를 고찰하고, 이러한 전통이 국어교육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언어’ 중심의 장르 담론을 ‘전형적 텍스트 유형 vs 역동적인 사회적 실천’, ‘장르 지식 vs 언어 목록’의 관점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최근에 형성된 장르 교육 담론이 결국 ‘언어’를 드러내지 못했고 그 결과 관점과 교육 내용의 적절한 통합을 이루어 내지 못했음을 비판하였다. 국어교육에서 ‘장르’가 교육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장르성’을 드러내는 ‘언어(목록이 아닌 원리로서...
TAG 국어교육, 문법교육, 장르, 장르성, 장르 문법, 맥락, 텍스트, 체계기능 언어학, Grammar Education, Genre, Generic Characteristic, Genre Grammar, Context, Text,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한국어교재의 중국어 번역 출판, 무엇을 고려해야 하나?
최정순 ( Choi Jeong So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제3호, 428~451페이지(총24페이지)
근대적 의미의 한국어교육은 1945년 해방 이후를 시작점으로 보고 있으며,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한국어교육은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은 단순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교과학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을 성립시키고, 대학 및 대학원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발전하고 있다. 한국어교육의 발전 속에서 하위 여러 분야들 또한 발전하였지만 특히 교재 분야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실제 1864년부터 2009년까지 개발 출판된 한국어교재는 3,400여권에 달한다. 다양한 교재들이 국가별로, 목적별로, 시기별로 다양한 특징을 지니면서 개발되고 출판되어 왔는데, 본 발표는 한국어교육용 교재 전반에 관한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한국어로 출판된 한국어교육용 교재의 중국어 번역본에 집중하여 다룰 것이다. 특히 중국어 ...
TAG 한국어교육, 한국어 교재, 한국어 교재의 중국어 번역, 교재 평가, 번역,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Textbook, Chinese Translation in Korean Textbook, Textbook Evaluation, Translation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