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새국어교육19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의 ‘문장’ 영역에 대한 구성 방향 및 지도 방안
김성옥 ( Kim Seongo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93~122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대학별 글쓰기 교재에서의 ‘문장’ 영역을 살펴보고, ‘문장’영역에 대한 교재의 구성 방향과 그에 따른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문장 쓰기와 관련한 선행 연구 및 2017년 이후에 편찬된 대학 글쓰기 교재 10여 종을 검토한 후, 학생들의 활동과 사고를 요하는 글쓰기 교재의 ‘문장’ 영역에 대한 구성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교수자는 학생들의 활동과 사고로서 문장을 수정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또 학생들이 수정한 문장에 대한 이해 및 수정 의도 등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충분한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함을 논하였다. 결과:이로써 학생들은 바른 문장 생성 시에 고려해야 할 각 항목들에 대한 문장 수정 방법을 자연스럽게 학습 및 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장을 수정함에 있어 여러 항목들을...
TAG 대학 글쓰기 교재, ‘문장’ 영역, 바른 문장, 문장력, 지도 방안, 활동과 사고, University writing textbook, ‘Sentence’ domain, Correct sentence, Writing skills, Guiding method, Activity and thought
<과정록(過庭錄)>의 문답 장면을 통해 본 비판적 이해의 준거와 원리
김서윤 ( Kim Suh Yo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123~153페이지(총31페이지)
목적:본고는 말과 글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판단하는 비판적 이해의 교수·학습 내용을 심화하기 위해 비판의 준거를 체계화하고 각 준거의 적용 원리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비판적 이해의 교수 · 학습 자료로서 전기문 <과정록>의 활용 가치를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기존에 논의되어 온 비판적 이해의 준거를 통합 및 재분류한 뒤, 각 준거의 작용 원리를 분석하고, 이를 전기문 <과정록> 읽기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표현의 정확성, 논리 구성의 타당성, 내용의 효용성을 비판적 이해의 주요 준거로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세 가지 준거가 각각 비교 논증, 인과 논증, 포함 논증 및 대당 논증의 방식을 통해 말이나 글의 비판적 이해에 적용됨을 밝혔다. 결론:말과 글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기준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흥미롭게...
TAG 비판적 이해, 표현의 정확성, 논리 구성의 타당성, 내용의 효용성, 비교 논증, 인과 논증, 포함 논증, critical reception, accuracy of expression, validity of logical composition, utility of contents, comparison argument, causal argument, classification argument
영상 매체 문화를 활용한 공학도 독서 교육 -한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현서 ( Cho Hyeon Seo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155~183페이지(총29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한밭대학교 공학도들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를 분석하고, 독서 동기 부여를 위한 실질적인 수업 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독서 빈도 및 선호도 조사 등의 설문을 통해 대상자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공학도들이 평소 독서를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영상매체’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와 ‘시간의 효율적 활용’에 초점을 두고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 결과에 따라 2018학년도 2학기 ‘문학의 이해’ 15주차 수업에 해당 내용을 적용하였다. 결과: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영상매체를 활용한 수업이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과 작품을 내면화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학에 대한 관심도 또한 상승하여 수업 이후에도 꾸준히 독서활동을 이어나갈 의지가 생겼다고 답변하였다. 결론:새 ...
TAG 공학도, 인문학적 소양, 독서, 문학교육, 매체 문화, Engineering students, knowledge of the humanities, Reading, Literature education, media culture
창의성 발현을 위한 이야기 쓰기 과제 구성 연구 -과제 수행 조건 설정을 중심으로-
방은수 ( Bang Eunsoo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185~212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과제 수행 조건을 중심으로 창의성 발현을 위한 이야기 쓰기 과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어과 내에서 창의성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논의의 초점은 학습자가 과제 수행 과정에서 충족해야 하는 과제 수행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적, 언어적 측면에서 창의성과 관습성 간의 관계를 살피고, 이야기 쓰기 과제 구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야기 쓰기 과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결과:이야기 쓰기과제 구성 원리를 밝히면, ‘삶의 구체적 맥락을 반영한 서사적 문제 제시’, ‘이야기 쓰기 과정에 관여하는 관습적 요인 파악’, ‘과제 수행 과정에서 충족 요건의 구체화’ 등이 있다. 과제물 분석 결과, 학습자들이 과제 수행 조건을 일정 수준 이상 충족 할수록...
TAG 창의성, 국어적 창의성, 관습성, 이야기 쓰기 과제, 과제 수행 조건, 제약 조건, creativity, korean creativity, custom, story writing assingment, assignment performance, condition constraint
텍스트 분석이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대학교 1학년의 보고서 쓰기를 대상으로-
김정은 ( Kim Jeongeun ) , 이병규 ( Lee Byounggy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213~245페이지(총33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텍스트 분석이 글쓰기 지도에 효과적인 방안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서 텍스트 갈래 지식에 기반하여 텍스트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글쓰기를 지도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합한 보고서는 대조 집단의 보고서와 비교하여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텍스트 분석을 통해 보고서의 특성을 파악한 뒤 보고서를 쓰게 하였을 때, 학습자들은 보고서의 특성에 부합하는 글을 썼으며 특히 보고서의 맥락과 표현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 텍스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텍스트 갈래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텍스트의 변화 가능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
TAG 텍스트 분석, 글쓰기 지도, 분석 기준, 텍스트 갈래 지식, 장르 인식, Text analysis, Writing method, Analysis criteria, Text grammar, Genre awareness
모델링 기법에 입각한 자기성찰 글쓰기 수업 연구 -‘관찰 · 도전 · 조정’의 경로를 중심으로-
최종환 ( Choi Jonghwa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247~280페이지(총34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자기성찰 글쓰기 수강생들의 제한적 신념을 조정하는 프로세스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이를 위해 ‘모델링 수업기법’(modeling technique)을 활용하였고 관찰, 도전, 조정의 단계로 살펴보았다. 세부 학습 전략 차원에서는 [감정-인지표]와 [감정-인지확장표]를 사용하였다. 논의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NLP의 메타모델, 그리고 M·셀리그만의 심리학 등을 원용하였다. 결과:수업에 참여한 많은 수강생들이 앞선 학습자들의 [감정 분류표]를 읽고 모델링 글쓰기 기법에 적응하면서 유의미한 자아성찰 효과를 경험한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우리 시대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지금 이곳’ 학습자들의 무의식적 시의성에 다가섬으로써 그것을 긍정적으로 조정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교수자의 개입도 2020년을 향해 가는 우리 시대 학...
TAG 자기 성찰 글쓰기, 모델링 기법, NLP 심리학, 셀리그만, 관찰, 도전, 조정, self-reflection writing, modeling technique, NLP psychology, seligman, observation, resistance, adjustment
작문 채점의 분산적 특징에 대한 글 요인 분석
이슬기 ( Lee Seulki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281~314페이지(총34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작문 채점에서 채점 시 글의 특징에 따라 각기 다른 분산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분산성이 채점의 곤란도로 이어지는가를 밝히고, 분산적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는 글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이를 위해 채점자들의 학생 글 채점 결과를 Rasch 모형을 활용·분석하여 분산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글이 존재함을 밝혔다. 그리고 채점자들의 설문과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분산성이 두드러지는 글의 특성을 추출한 후 채점의 곤란도 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결과:분석 결과 채점의 곤란도는 글의 분량과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어휘의 다양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채점 기준의 반영과도 관련성을 살필 수 있었는데. 채점 기준의 특징이 글에 가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는 경우와 단일 기준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서로 불일치한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
TAG 작문 채점, 적합도, 라쉬 모형, 글 특성, 글 길이, 어휘의 다양성, writing scoring, tolerance, rasch model, essay features, essay length, lexical diversity
한국어교사의 문화지능과 의사소통 수준에 관한 연구
문영하 ( Moon Youngha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315~344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한국어교사의 문화지능과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문화 지능에 따른 의사소통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서울 소재의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한국어교사 53명을 대상으로 문화지능과 의사소통 수준을 알아보고, 문화지능과 의사소통 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그 결과, 한국어교사는 다른 문화를 접할 때 적절한 비언어적, 언어적 반응을 할 수 있는 행동적 문화지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인지적 문화지능은 낮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수준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학생의 의견을 개방적이며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개방성 영역이 높게 나타났으나, 학생과 쌍방향으로 의견을 원활하게 교환하는 정도인 원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한국어교사의 문화지능과 의사소통 수준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지능이...
TAG 한국어교사, 문화지능, 의사소통 수준, 문화 간 의사소통, 한국어교원 재교육, Korean Instructors, Cultur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Leve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training for Korean instructors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연구
강소산 ( Kang So Sa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345~373페이지(총29페이지)
목적:이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적용점을 찾는 데 있다. 방법:287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 36부를 제외하고 251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측정도구는 강소산(2017)에서 개발한 말하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SPSS 23.0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결과: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은 6점 만점에 3.11점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어권 학습자는 말하기 의사소통을 하며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말하기 효능감의 요인중 인정효능감이 가장 낮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자신의 말하기 능력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비...
TAG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베트남어권 학습자, 자기 효능감, 말하기 교육, 한국어 교육, Korean speaking efficacy, Vietnamese learners, self-efficacy, speaking education, Korean education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53번 문항의 과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금숙 ( Kim Gum Su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9권 375~403페이지(총29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53번 문항의 과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피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공개된 8회분의 53번 문항에 대해 담화 양식, 주제와 지시문, 쓰기 동기화 자료, 평가 기준 등의 요소로 나눠서 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과제를 분석한 결과 지시문의 내용, 시각 자료의 정보의 양과 의미의 명료성, 어구나 문장 형태로 제시되는 정보, 평가 범주별 배점 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시문에 수험자를 위한 지침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쓰기 동기화 자료로 제공되는 시각 자료는 정보의 양을 줄이고, 의미가 명확한 자료들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글의 전개 구조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다른 단락들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 평가 기준에서는 전개 구...
TAG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평가, 53번, 과제, 쓰기 동기화 자료, 시각 자료,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Writing Assessment, No.53, Task, Writing Stimulus Materials, Visual Material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