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의 “통일”에 관한 연구 -외국어로서의 독일어(DaF) 교육의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박혜숙 ( Hyesuk Park ) , 석주연 ( Ju Yeon Su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115~147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독일어(DaF) 교육의 ‘통일’ 교육 사례를 통해 향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화 교육에 있어서 ‘분단’과 ‘통일’에 관한 교육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으며, 이의 달성을 위해 DaF 교재의 관련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DaF 교재 분석의 결과 대상 교재는 모두 관련 내용을 중급 단계의 교재에 도입하고 있었으며, 통일과 관련한 사실적 역사 정보, 통일 전후 독일 국민의 정서적 경험 및 반응, 통일의 영향 그리고 통일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태도 등에 대한 종합적 이해 달성을 학습 목표로 설정하고 있었다. 이것은 통일과 분단이 독일 국민들의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 해석의 틀(Deutungsmuster)`` 형성에 중요한 요소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에도 분단과 통일은 공동체 구성원...
TAG 한국어 문화 교육, 통일, 분단,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문화 교재, 문화 해석의 틀, 행위맥락, 교육내용,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Wiedervereinigung, Trennung, German culture education textbooks for foreigners kulturelle Deutungdmuster, Handlungskontext, pedagogical content
문화, 예술,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둔 한국학 교육과정의 재설계
신동일 ( Dongil Shin ) , 지현숙 ( Hyunsuk J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149~178페이지(총30페이지)
외국인 유학생, 결혼이민자, 외국 국적 동포가 증가하고 있고 한류의 세계적인 진출이 확장되고 있다. 한국어를 국제어로 사용하고자 하는 인력의 요구도 있고, 기업과 정부의 지원, 한류 콘텐츠의 소비 규모도 성장하고 있다. 바야흐로 한국학을 고등교육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학술적 토대가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간의 한국학 전공이 학교 밖에서 소비되고 디지털 매체 위에서 새롭게 생성·편집되고 있는 한류와 대중문화 콘텐츠, 한국의 문화유산이나 예술작품 등이 교육내용으로 다뤄지지 않은 점에 주목하여 이를 한국학 교육과정의 재설계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권 국가의 한국학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주요 교과목을 인문, 사회, 한국어교육, 예술, 대중문화 분야로 재분류하였다. 둘째, 국내 한국학과의 운영 현황을 학위과정과 연수...
TAG 한국학 교육과정, 영어권 국가의 한국학 현황, 국내 한국학과 현황, 문화, 예술, 스토리텔링 기반 한국학, Korean studies,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storytelling
중국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의 적합성 분석
왕효성 ( Xiao Cheng Wang ) , 사결 ( Jie Shi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179~209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課程目標與內容)``의 적합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J지역과 Q지역 초등학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국어 교사 59명, 중학교 국어 교사 68명, 총 127명의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읽기 영역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 각 항목별로 내용 타당성, 진술 명료성, 수준 위계성 준거별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점수를 낮게 판정한 항목에 대해 이유를 서술하라고 요청하였다. 설문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읽기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 항목들이 내용 타당성, 진술 명료성, 수준 위계성 측면에서 모두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각 학년군 내에서는 타당성, 명료성, 위계성 측면에서 크게 차이가...
TAG 중국 2011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 적합성, 2011 Chinese Language Arts curriculum, reading, curriculum goals and contents, appropriateness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유동엽 ( Dong Yup Yoo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211~238페이지(총28페이지)
이 논문은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주요 국내외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화법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을 1) 기술적 접근, 2) 규범적 접근, 3) 치료적 접근으로 나누어 논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세 접근을 학문적 배경, 연구 방향, 새로운 가능성 측면에서 각각 논하였다. 기술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구조다’, ‘이야기 문법을 기술하다’, ‘이야기를 입히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규범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능력이다’, ‘이야기 능력 발달의 지표를 찾다’,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기술하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치료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은유다’, ‘이야기를 해체하여 ...
TAG 이야기 능력, 이야기 능력 발달, 기술적 접근, 규범적 접근, 치료적 접근, 화법교육, story telling ability,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descriptive approach, prescriptive approach, therapeutic approach,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국어과 예비 교사의 교과 융합형 수업 구성 양상에 관한 분석적 고찰
정민주 ( Minju Ch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239~276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교과 융합형 수업 경험을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예비 교사들이 계획한 국어과 중심의 교과 융합형 수업 구성 양상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과 융합형 수업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피고, A대학교 국어과 예비 교사 68명이 작성한 교과 융합형 수업 지도안과 반성일지를 연구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들의 교과 융합형 수업 구성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타 교과 선택 및 조합 양상’과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방식’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국어과 중심의 교과 융합형 수업 구성을 위해 주로 미술, 사회, 과학 교과를 선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타 교과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태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국어...
TAG 교과 융합 수업, 국어 수업, 통합 교육과정, 예비 교사 교육, 국어교육, Subject convergence class, Korean language class, integrated curriculum,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한국어 /ㄴ/음 첨가에 대한 교육의 효과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진루 ( Lu Jin ) , 김영주 ( Youngjoo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277~307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어느 발음 교육 방법이 /ㄴ/음 첨가 습득 향상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인 고급 학습자 8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ㄴ/음 첨가에 대한 습득을 사전에 측정하였고 그 중에 30명을 대상으로 명시적 교육+명시적 피드백, 명시적 교육+암묵적 피드백, 그라고 암시적 교육+암묵적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명시적 교육+명시적 피드백 집단과 명시적 교육+암묵적 피드백 집단 모두 /ㄴ/음 첨가에 대한 지식과 실현에서 매우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피드백 유형이 /ㄴ/음 첨가 습득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반면, 암시적 교육+암묵적 피드백 집단은 /ㄴ/음 첨가에 대한 습득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ㄴ/ 첨가 교육에서 명시적 교...
TAG ㄴ음 첨가, 발음 교육, 중국인 고급 학습자, 형태집중교육기법, 명시적 교육, 암시적 교육, 명시적 피드백, 고쳐말하기, ㄴ/ addition, pronunciation teaching, Chinese advanced learners, form-focused instruction, explicit teaching, implicit teaching, explicit feedback, recast
클래식 음악과 한국어 독해력 향상과의 상관관계 연구 -모차르트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활용하여-
최권진 ( Gwon Jin Choi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309~335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국외 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클래식 음악, 구체적으로는 모차르트의 음악이 인지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주장에 주목하여, 이를 한국어 교육에 접목하여 이 주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두 대를 위한 소나타 D장조 k.448 (Sonata in D Major for Two Pianos k.448)’을 배경음악으로 활용하여, 이 음악이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은 총 24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들은 각 12명씩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동일하게 나뉘었다. 통제집단은 배경음악이 없이 총 10회의 한국어 읽기 시험 문제를 풀었으며, 실험 집단은 모차르트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들으면서 같은 문제를 풀었다....
TAG 한국어 교육, 클래식 음악, 모차르트 효과, 읽기, 독해력, 배경음악,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classical music, Mozart effect, reading, reading comprehension, background music
사회 정서 학습을 위한 내러티브 기반 교과 융합 인성교육
최인자 ( In Ja Choi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337~360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의 모델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인성교육은 교과 교육과의 연계가 바람직하지만 개별 교과별 교육보다는 교과간 융합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일 수 있으며, 그 융합의 매체로는 내러티브가 적합하다. 이에 내러티브의 인성교육적 가치를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내러티브는 인성이 운용되는 삶의 여러 차원을 융합적으로 성찰,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내러티브는 재구성을 통해 행위를 조정하고, 학습자가 자기 스스로를 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내러티브를 통하여 사회와 개인이 조화를 추구하며, 전인적인 통합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살려 ‘공감’의 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예시를 제시하였다. 그 교수 학습의 절차는 독서 치료에서 독서로 학습자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학습 과정을 ...
TAG 사회정서 학습, 내러티브, 교과융합교육, 독서치료, 공감, social emotional learning, narrative, subject-integration education, reading therapy, sympathy
언어 교수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글렌스톡웰 ( Glenn Stockwell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361~381페이지(총21페이지)
지난 수십 년간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통신망의 확산은 사회 곳곳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정보 취득, 활용과 보존, 커뮤니케이션 방법 그리고 사회 활동 등 사회 전반에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 변화는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디지털 기술을 접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보급되어 있고 지금의 학생들에게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학습 방법이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일상화가 되었다. 이런 급속한 변화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인식케 하고, 특히 체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어학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변화가 교수법과 학습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각각에 필요한 ...
TAG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터 보조학습, 학습자 트레이닝, 교수자 트레이닝, Digital literacy, Media literacy,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Learner training, Teacher training
청소년어에 관한 청소년 문식 실천의 사례 연구
김은성 ( Eun Sung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383~424페이지(총42페이지)
이 연구는 서울 소재 한 고등학교에서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문식 활동을 수행한 사례를 심층 분석한 것이다. 국어과 학습자를 생애주기 기준에 따라 청소년이라는 대상으로 구체화할 때 국어교육에서 주목해야 할 대상은 세 가지이다: ‘청소년 문식성’, ‘청소년 언어발달’, ‘청소년어’. 이 연구는 특히 청소년어에 대한 청소년들의 문식 실천 사례에 집중한 단일 사례 연구이다. 해당 학교의 담당 교사와 네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각종 문식 자료 분석하여, 해당 사례의 문식 활동의 실행 조건이 인적 자원, 문식 과제, 환경 요소로 구성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청소년 언어 주체의 성장을 위한 국어교육에서 취해야 할 조정의 의미를, 사례 분석에 근거하여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하여 학교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조정’과 ...
TAG 청소년어, 청소년 문식성, 조정, 성장, 국어교육, Adolescent Language, Adolescent Literacy, Manipulation, Growth, Korean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