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문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문학교육학8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전문학생활사 연구 시론 - 화전가를 대상으로 -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60권 107~148페이지(총42페이지)
이 연구는 오늘날 문학과 문학교육이 처해 있는 위기 상황에 주목하여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문학 자체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문학이 인간 삶에 어떻게 관여하고 개입하는지를 살피는 방향으로 관점의 전환을 도모하려 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문학을 예술과 실체로 접근하는 기존의 인식과 구별하여 ‘고전문학생활사’를 새롭게 제안한다. 고전문학생활사는 고전문학으로 영위되는 언어활동의 총체로 정의할 수 있다. 문학이 주체의 삶의 모든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만큼, 문학을 실천하고 향유하여 일상 삶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관점이다. 고전문학을 대상으로 과거의 문학 활동을 통시적으로 살핌으로써 현재의 문학 현상의 제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시각과 방안을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작품 속에반영...
TAG 고전문학생활사, 문학교육, 내용, 활동, 문화, 화전가, 花煎歌, the classical literature life history,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activities, culture, Hwajeonga
과학·기술 주도 시대의 고전문학교육
김종철 ( Kim Jong-cheol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9권 9~29페이지(총21페이지)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와 같이 과학·기술이 주도하는 시대에 한국고전문학교육이 그 교과 영역으로서의 정당성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를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의한 트랜스 휴먼과 포스트 휴먼 현상은 인간의 정체성, 존엄성 등 인문학의 고유한 과제들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차원에서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고전문학은 근대 이전의 세계를 기반으로 했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과학·기술과 그것의 영향에 대한 관심도 높지 않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점에서 고전문학교육에서 향후 과학·기술이 초래할 문제들에 대해 대응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나 고전문학교육이 민족문학과 전통 등의 가치 범주에 안주하지 않고 현대의 최전선에서 일어나는 인문학적 과제에 대해 대응할 수 있어야 교과 영역으로서의 정당성을 지속하고 강화할 수 있다. 과학·기술이 자연...
TAG 과학, 기술, 인지, 도구, 한국고전문학교육, Science, Technology, Cognition, Tool, Teaching Korean Pre-modern Literature
‘현대시문학사교육’의 오늘과 내일을 묻다 - 교육과정·정전·교원선발시험을 중심으로 -
최현식 ( Choi Hyun-sik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9권 31~77페이지(총47페이지)
이 글은 ‘현대시문학사교육’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봄으로써 더욱 건설적인 미래를 엿보기 위해 작성된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 항목에 초점을 맞췄다. 첫째, ‘현대시문학사교육’의 목표와 내용, 규범과 성취기준을 특히 2007년과 2015년 새롭게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대조함으로써 각각의 의의와 한계를 조명해 보았다. 둘째, 교과서 수록작품과 정전의 연관성, 텍스트의 취사선택에 대한 원리와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작품 선택과 정전 형성, 그리고 그것들의 변화가 국가주의 이념 이외에도 민주주의의 성취와 관련된 당대 현실의 필요성 및 요청에 의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중등과정 학생들을 교수·학습할 (예비)교사들의 ‘현대시문학사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력 향상을 위한 한 조건으로써 『국어』교과에 대한 교원선발시험의 장·단점을 살...
TAG 현대시, 문학사교육, 교육과정, 정전, 교과서, 교원선발시험, 엔솔로지, Modern poetry, education about history of literature, the curriculum, the korean subject, canon, textbooks, the teacher selection test, anthologies
국어과 교과서 고전 시가 제재 단원의 이론과 개념 연구 -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 송강 가사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조희정 ( Cho Hee-j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9권 79~121페이지(총43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 내 송강 정철 가사를 제재로 선택한 단원의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고전 시가 교육에 도입된 이론과 개념 문제를 검토하였다. 송강 가사를 제재로 선택한 단원들을 가장 강하게 장악하고 있는 교육 내용은 해당 작품들의 작품론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에서 송강 가사를 제재로 선택한 단원들의 이론과 개념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관동별곡> 단원들은, 문학 교과서의 <속미인곡> 단원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다양한 이론들과 결합되어 단원별로 서로 다른 교육 내용으로 설계되어 있었다. 반면 문학 교과서의 <속미인곡> 단원은 국문학의 갈래 이론이나 문학사 이론과 결합되어 검정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단일한 교육 내용으로 해당 단원들이 설계되어 있었다...
TAG 문학교육, 지식, 이론, 개념, 중등학교, 국어, 교과서, 제재, 정철,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literary education, knowledge, theory, concept, a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 material, Jeong Cheol, Gwandong byeolgok, Samiingok, Sokmiingok
다문화적 성찰을 위한 문학과 도덕의 융합교육 - 전성태의 <이미테이션>에 대한 토론 수업의 계획과 실행을 중심으로 -
김지혜 ( Kim Jee-hye ) , 서명희 ( Seo Myeong-hee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9권 125~166페이지(총42페이지)
이 연구는 현대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상에 주목하고,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를 성찰할 수업을 모색한다. 연구자들이 주목한 부분은 문학적 상상력을 토대로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문학교육과 세계와 자신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윤리적 삶을 모색하는 도덕교육이다. 연구자들은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토대로 다문화적 성찰에 있어서 두 교과목을 융합한 수업의 교육적 효용성을 검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융합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 제재는 전성태의 <이미테이션>이다. 구성된 수업은 서울시 오딧세이 학교와 경기도 한민고등학교의 2개 학급에서 실행되었다.
TAG 다문화, 문학교육, 도덕교육, 융합수업, 성찰, Multiculture, Literature education, Moral education, Convergence class, insight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동화 텍스트 분석 연구 - 탈식민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
방은수 ( Bang Eun-soo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9권 167~196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탈식민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동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서가 한국 사회의 다문화현상에 대해 균형 잡힌 관점을 드러내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2007·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동화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작품 속에서 외국인 및 다문화 아동의 재현 방식, 이들을 대하는 한국인의 태도, 정서, 말, 행동 등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과 유색인 간의 비대칭적 관계’, ‘백인에 친화적인 한국인의 태도’, ‘저항의지가 소거된 이주 외국인 및 다문화 아동’, ‘자본주의 사회에 뒤쳐진 이주 노동자에 대한 온정주의’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과서 수록 다문화 관련 동화에서는 ...
TAG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탈식민주의, 식민성, 다문화, 다문화 교육,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Elementary school textbooks, Postcolonialism, colonialism,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ducation, Migrant workers, Married immigrant women
대립 구조를 활용한 설화 교육의 내용 연구 - <구렁덩덩 신선비>를 중심으로 -
황윤정 ( Hwang Yun-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9권 197~234페이지(총38페이지)
본고에서는 설화 교육이 설화가 지닌 자산에 비해 풍요롭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하고, 설화의 논리와 의미를 드러내는 대립 구조를 활용한 설화 교육의 내용을 구안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설화의 대립 구조는 세계를 선명한 질서로 형상화하며, 그로써 세계에 대한 가치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그 선명성이 이야기의 전승력을 자연스럽게 높인다. 즉, 설화의 대립구조는 설화의 전승과 향유의 과정에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대립 구조를 중심으로 <구렁덩덩 신선비> 설화를 분석한 결과, <구렁덩덩 신선비>는 세 국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는데, 첫 번째는 구렁이와 셋째딸의 대립, 두 번째는 남편 찾기의 여정과 셋째딸의 대립, 세 번째는 신선비와 셋째딸의 대립이다. 이러한 대립은 중첩적인 양상으로 드러나 대립항들이 지닌 의미가 서사가 진행될수록 ...
TAG 문학교육, 설화 교육, 서사 교육, 구비문학, <구렁덩덩 신선비>, 대립 구조, Literature Education, Folklore Education, Narrative education, Oral literature, < Gurongdongdong Sinsonbi >, Conflicting Structure
청소년 문학의 향유 맥락과 문학교육적 함의
오윤주 ( Oh Yun-joo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8권 195~228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는 청소년 문학의 향유 맥락을 살피고 그 문학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문학교육의 목표가 교실을 넘어 소설 문화를 스스로 향유하는 평생 독자를 기르는 것이라면, 청소년 문학을 통한 독자층의 형성은 학교 안과 밖을 아우르는 중요한 문학 교육의 전제가 된다. 그러나 청소년 문학은 어른들이 바라는 청소년의 모습을 반영하여 계도의 관점으로 치우치거나 학습과 지나치게 긴밀하게 묶이면서 본래의 문학적 본 질로부터 멀어지기도 하였다. 청소년이 당사자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문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문학 및 문학 교육의 새로운 변화가 요청된다. 무엇보다도 청소년을 계도하고 훈육해야 할 미완의 존재이자 어떻게든 포박하고 이 세계 내로 불러들여야 할 불온한 타자로 볼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온전한 ...
TAG 청소년 문학, 향유, 문학교육적 함의, 주체, Juvenile Literature, enjoyment,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Subject
해방 직후 초등 문학교육 담론의 형성과 특성
이인화 ( Lee In-wha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8권 254~281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해방 직후 출판된 초등 교육에 관한 담론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해방 직후 1947∼1948년 사이에 출판된 3권의 책에 나타난 초등 문학교육 담론의 검토함으로써 초기 초등교육 이론의 형성 맥락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각 담론에 나타나는 초등 교육의 목적과 역할, 문학 교육의 역할, 문학교육의 방법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방 직후 초등 문학의 문학적 담론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당시 자유주의 담론의 영향으로 ‘활동으로서의 문학관’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학 담론은 문학교육에 영향을 미쳐 감상과 경험, 해석에 대한 문학 학습을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자유주의 담론이 국어교육에서 교육 방법 차원에서 영향을 미치고, 내용 차원에서는 민족주의 계열...
TAG 해방 직후, 초등 문학교육, 자유주의, 학습자 중심주의, 딜타이, 감상, 해석, after Liberatio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liberal discourse, learner-centered education, Dilthey, appreciation, interpretation
시 읽기 교육에서 성찰의 주체 설정 방향 연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자아 성찰’ 관련 단원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민재원 ( Min Jae-won ) , 구영산 ( Goo Young-sa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58권 73~109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에서 시 읽기를 통해 도모하는 ‘성찰’ 활동의 과정에서, 성찰 주체 설정 방향의 지향을 살피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자아 성찰’ 관련 단원에서 성찰 관련 학습 활동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성찰 활동이, 학습자의 자발적인 계기 없이 외부에서 부여되는 과제로 제시되는 형태를 띠며, 반성과 참회로 점철되는 동시에, 특정 주제의식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내용으로서의 성찰을 관계 재정립의 관점에서 볼 것을 우선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성찰 활동에 능동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질문과 답을 구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과 세계의 관계를 재정립해 보는 경험을 자발적으로 갖게 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성찰의 주...
TAG 성찰, 성찰의 주체, 문학 교과서 학습 활동, 관계 재정립, 자발적 성찰, reflection, subject of reflection, literacy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reestablishing relationships, voluntary reflec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