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도시지리학회65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이동성과 공간인지 향상 방안 연구
김민정 ( Min Jung Kim ) , 정희선 ( Heesun Ch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75~92페이지(총18페이지)
본고에서는 도시 거주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동성과 공간인지에 관한 심층 인터뷰 결과를 근거이론과 심상지도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각장애인의 이동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터뷰 내용에 근거 이론을 적용하여 ‘시각장애인 이동의 제약과 어려움’이라는 중심현상과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과적·맥락적·중재적 조건 및 작용·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각각의 조건들의 복합작용을 통해 얻어진 ‘통행방법과 공간인지’의 차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응답자를 이동성 정도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들의 심상지도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보행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방안으로서 독립보행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의 경우, 정보화 교육 확대, 보행에 필요한 무장애 도로와 편의설비의 확대, 점자지도의 보급 확대가, 독립보행이 가능하지만 안내보행을 선호...
TAG 근거이론, 심상지도, 시각장애, 이동성, 공간인지, grounded theory, mental map, visual impairments, mobility, spatial cognition
멕시코시티 코리아타운 ‘리틀 서울’의 한류를 통한 재영토화
카산드라구티에레즈 ( Cassandra Gutierrez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93~105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한류, 즉 외국에서 나타나는 한국 대중 문화에 대한 선호가 멕시코시티 코리아타운(‘리틀 서울,’ Little Seoul)의 재영토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재영토화란 새로운 사회 집단에 의한 공간 소유 과정을 의미한다. ‘리틀 서울’은 1990년대 중반 멕시코시티에 조성되기 시작한 이래 현지인들에게는 비교적 폐쇄적인 사회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멕시코의 청년층에서 한류가 유행하면서 리틀 서울의 구성원들은 서서히 현지인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지니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리틀 서울의 영세업자, 멕시코인 소비자, 소셜 미디어라는 한류의 세 주체에 대해 다루었다. 또한 대중 문화가 소수 민족 영토의 재영토화 과정에 대한 물리적 경계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사이버 공간과 같은 다른 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TAG 코리아 타운, 재영토화, 한류, 한인 이민, 멕시코 시티, Koreatown, reterritorialization, Hallyu, Korean Migration, Mexico City
도시 주택 및 주택 시장에 관한 이론적 고찰
류연택 ( Yeon-taek Ryu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107~120페이지(총14페이지)
본 논문은 공간적 외부성, 주택 계층, 도시 주택 시장의 공간적 패턴, 주택 배분 메커니즘, 하위 주택 시장, 주택 공급, 행위자, 주택 금융, 주택 수요, 주거 이동성, 주거 입지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 주택 및 도시 주택 시장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주택은 주택 생산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체계 및 사회 구조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택은 주택이 입지해 있는 근린지구와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특히 주택은 주택이 입지해 있는 근린지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택에 대한 지리적 시각은 매우 중요하다. 주택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국가 경제의 주요 부문, 다양한 조직 및 기관, 인구 변화, 이주 및 사회적 선호, 주거 제약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주거 이동성, 근린지구 변화, 게토 형성, 인종적 분리, ...
TAG 도시 주택, 주택 시장, 주택 계층, 하위 주택 시장, 주택 공급, 주택 수요, urban housing, housing market, housing class, housing sub-market, housing supply, housing demand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한 대도시권 스프롤 측정: 광주광역시권을 사례로
양재석 ( Jeasurk Yang ) , 송하진 ( Hajin Song ) , 강경빈 ( Kyeongbin Kang ) , 권민지 ( Minji Gwon ) , 신휴석 ( Hyu-seok Shi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1호, 77~91페이지(총15페이지)
접근성을 이용해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는 방법은 주택과 시설 간의 상호작용 측정을 바탕으로 한다. 접근성 가운데 ‘복합시설 접근성’은 다양한 시설들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복합시설 접근성 연구는 근린권 내지 도시권 스프롤 현상에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도시스프롤 측정을 대도시권으로 확장하지 않을 경우, 대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과 인접 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낳는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하여 대도시권 스케일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기존 방법을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한다. (1) ‘연구 자료’ 측면에서는 자료를 스케일 별로 세분화하였고, (2) ‘계산 방법’ 측면에서는...
TAG 도시 스프롤, 복합시설 접근성, K-근접 시설 접근성, 대도시권 스케일, 광주광역시권, urban sprawl, multi-facility accessibility, K-nearest facility accessibility, metropolitan scale, Gwangju Metropolitan Area
일본 도쿄도의 도시재생 정책과 시사점: 특정·도시재생 긴급정비 지역의 사례
최민욱 ( Min Uk Choi ) , 김오석 ( Oh Seok Kim ) ,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1호, 35~51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는 일본 도시계획관리의 주요 특례인 「도시재생 긴급정비 지역」과 「특정 도시재생 긴급정비 지역」이 지정됨에 따라 도쿄도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 정책 및 관련 제도 설계의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도쿄도 내 9개 중심 도심지구별 주요 도시재생 사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정책의 현황, 도시재생 기법의 주요내용과 속성, 도시계획의 전개과정 및 제도 수립의 흐름, 향후 방향성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도시재생 뉴딜 사업 추진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AG 특정·도시재생 긴급정비 지역, 도쿄, 중심 도심지구, 도시재생 뉴딜 사업, Specific and Urgent Urban Renewal Area, Tokyo, central urban cor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서울시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Airbnb)의 특성과 공간분포 분석
허지정 ( Ji-jung Huh ) , 노승철 ( Seung Chul Noh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1호, 65~76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의 특성과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하였다. 해외 도시에 비해 서울시는 여러 개의 숙소를 운영하는 다중 공유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집 전체’ 임대가 약 절반을 차지한다. 서울시 에어비앤비는 도심, 강남역, 홍대입구 등 주요 관광지와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호텔과 달리 에어비앤비는 서울시 전역에 넓게 퍼져 있으며 주거지역에도 다수의 에어비앤비가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에어비앤비는 다중 공유자의 증가로 단기 임대업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으며, 주거지역 내 숙박업으로 주민들과의 갈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에어비앤비가 공유경제의 성과를 나누고 주민과 상생할 수 있는 법·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TAG 공유경제, 에어비앤비, 클러스터, 최근린계층군집, 공간적 격리지수, sharing economy, airbnb, cluster, nearest neighbor hierarchical clustering, spatial indices of segregation
공간적 프로젝트로서 통일: 개성공단을 통해 본 통일시대 영토성에 대한 관계적 이해
정현주 ( Hyunjoo J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1호, 1~17페이지(총17페이지)
본 논문은 통일담론에서 공간과 영토에 대한 논의가 결핍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관계적 공간론을 통일담론에 접목시키고자 했다. 공간은 사회·기술·자연적 과정들과 분리되어 이를 반영하기만 하는 수동적 무대가 아니라 이러한 과정들과 상호관계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관계적 공간인식의 핵심이다. Doreen Massey에 의하면 이러한 인식은 공간의 내적 다양성 및 다양한 궤적의 공존을 이해하며 공간을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가변적인 것으로 인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공간 인식론을 개성공단에 적용하여 관계적인 방식으로 개성공단을 재해석하는 연구들과 아이디어들을 소개했다. 가령 비판지정학적 접근은 개성공단을 포스트영토주의적인 ‘예외공간’으로 봄으로써 이러한 공간이 생성된 거시적인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 유용한 논리구조를 제시한다. 한편, 행위자-네트워...
TAG 통일, 개성공단, 관계적 공간, 비판지정학, 행위자-네트워크, (Re)unification, Kaesong Industrial Complex, relational space, critical geopolitics, actor-network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논의: 서울로 7017을 사례로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1호, 53~6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사례로서 기존의 노후한 기반시설을 녹지공간으로 재창조한 ‘서울로 7017’에 대해 분석하고 장단점을 찾아내어 보다 효과적인 개선방안으로서 도시관광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둔다. ‘서울로 7017’은 옛 서울역 고가도로를 자동차 길에서 사람 길로 전환하고, 서울 도심의 끊어진 축을 연결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서울의 공중공원이다. 이는 서울역 고가도로의 역사적 가치를 감안하여 철거하지 않고 공공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쇠퇴해가는 공간을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으로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교통정체와 상권 위축이라는 문제에 대해 시민들과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다. 따라서 ‘서울로 7017’이 도시관광으로 도약하기 위해 첫째, 단순 성과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장소의 의미와 맥락을 공간에 담을 수 있도록 주...
TAG 도시녹화, 도시재생, 도시관광, 서울로 7017, 서울역 고가도로, urban greening, urban regeneration, urban tourism, Seoullo 7017, Seoul Station`s Overpass
에너지 전환의 지리에 아상블라주 사유 더하기
이보아 ( Boah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1호, 93~106페이지(총14페이지)
기존의 전환 이론, 특히 사회기술 시스템 이해에 기반한 다층적 관점(multi-level perspective)은 핵심 개념의 경직적인 위계와 행위자 분석의 제한, 공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이론적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에너지 전환의 지리에 아상블라주(assemblage) 사유를 접합하고자 한다. 아상블라주는 여러 이질적 요소들이 우연적 관계를 통해 불확정적인 전체, ‘다양체(multiplicity)’를 이루고 공동의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다. 아상블라주 사유에서 모든 개체는 같은 존재론적 위상을 가지며, 관계의 외재성(relationality)은 아상블라주를 탈영토화, (재)영토화의 끊임없는 과정에 놓이게 한다. 이러한 아상블라주 사유의 특징은 기존 다층적 관점의 한계를 메우며, 하나로 규정되지...
TAG 에너지 전환의 지리, 전환 이론, 다층적 관점, 아상블라주 사유, geography of the energy transition, transition theory, multi-level perspective, assemblage thinking
전통 취락경관의 특색: 자연환경을 반영한 제주와 피코 돌문화경관을 중심으로
김지수 ( Jisoo Kim ) , 성효현 ( Hyo Hyun Sung ) , 이혜은 ( Hae Un Rii ) , 정광중 ( Kwang-joong Jeong ) , 강성기 ( Seong-gi Kang ) , 정주연 ( Ju Yeon Jeong ) , 송은영 ( Eunyeong So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1호, 107~121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유사한 자연환경 하에서 돌문화경관을 이룬 제주도와 피코섬이 상이한 문화·역사적 맥락에서 어떻게 독특한 취락경관을 형성했는지 살펴보고 두 지역 간 유사하면서도 차이가 나는 경관요소별 특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현지조사를 통해 제주도와 피코섬의 자연환경을 분석하고 그러한 자연환경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각 섬의 전통 취락경관을 돌문화경관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두 지역의 돌문화경관을 구성하는 석조 문화유산들이 모두 현무암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재료적 유사성을 지니며 유사한 용도의 문화유산 간 형태적 유사성도 확인되었다. 또한 돌담과 관련하여 두 지역 모두 해풍으로부터의 보호와 사유지 경계 구축을 위해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기능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경관의 특색이 달리 나타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지질연대...
TAG 제주도, 피코섬, 돌문화경관, 자연경관, 취락경관, Jeju Island, Pico Island, stone cultural landscape, natural landscape, rural settlement landscap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