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319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Convective Cloud RGB Product and Its Application to Tropical Cyclone Analysis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Observation
( Yuha Kim ) , ( Sungwook Ho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4호, 406~413페이지(총8페이지)
TAG RGB composite image, convective clouds, Typhoon, GEO, satellite remote sensing
Case Studies of Mass Concentration Variation in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Caused by Synoptic Scale Transport of Dust Storms
( Hak-sung Kim ) , ( Jae-hee Cho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4호, 414~427페이지(총14페이지)
TAG long-range transport, TSP and PM10, moderate dust loading, slight dust loading, decreases of dust loading
Geoacoustic Model of Coastal Bottom Strata off the Northwestern Taean Peninsula in the Yellow Sea
( Woo-hun Ryang ) , ( Hyuckjong Kwon ) , ( Jee-woong Choi ) , ( Kyong-o Kim ) , ( Jooyoung Hah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4호, 428~435페이지(총8페이지)
TAG geoacoustic model, geoacoustic property, coastal geoacoustic, Yellow Sea
The Role of Science Knowledge Application in Improving Engineering Problem Solving Skills
( Younkyeong Nam ) , ( Jimin Cha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4호, 436~445페이지(총10페이지)
TAG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lesson, Creative 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pensity (CEPSP), STEM education
지구 자전속도에 따른 해들리 순환과 제트의 반응
조종혁 ( Chonghyuk Cho ) , 김서연 ( Seo-yeon Kim ) , 손석우 ( Seok-woo So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3호, 203~211페이지(총9페이지)
대기 대순환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는 남북방향 온도 경도와, 지구 자전으로 인한 코리올리 힘이 있다. 남북방향 온도 경도에 따른 경압성 차이로 인한 대기 대순환의 변화는 지금까지 많이 연구되어 왔으나, 자전속도에 따른 대기 대순환의 반응은 크게 연구되어 오지 않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현 지구보다 느리거나 빠른 자전속도 범위를 모두 포괄하여 이에 따른 해들리 순환과 제트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지구의 자전속도가 빨라질수록 해들리 순환 경계와 제트의 위치가 적도에 가까워지고, 제트와 해들리 순환의 세기가 약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해들리 순환 경계와 제트의 위치는 자전속도가 매우 빠르거나 느린 경우를 제외하면 준선형적인 관계를 가졌다. 특히, 해들리 순환 경계는 자전속도가 현재보다 1/8에서 8배의 자전속도 범위에서 자전속도보다 그 ...
TAG rotation rate, Hadley cell, jet stream,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자전속도, 해들리 순환, 제트, 대기대순환
위성관측 오존계에서 최소 반사도법을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지면반사도 산출
신희우 ( Hee-woo Shin ) , 유정문 ( Jung-moon Yoo ) , 이권호 ( Kwon-ho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3호, 212~226페이지(총15페이지)
극궤도 위성(Aura)에 탑재되어 운용 중인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등가 람버시안 반사도(Lambertian Equivalent Reflectance; LER)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의 LER 기후값(2004년 10월-2007년 9월)은 기존 OMI 및 MODIS 결과와 다음 대기환경 변수의 관점에서 비교분석되었다. 파장(자외선, 가시광선), 지표 특성(육지, 해양), 그리고 구름 제거. 자외선 및 가시광선 파장역(328-500 nm)에서 산출된 LER은 최소 반사도뿐만 아니라 세 종류 하위 평균(1, 5, 10% 이내)으로 산출되었다. 이들 중에 10% 평균값이 OMI 결과와 가장 잘 일치하였다. 여기서 ...
TAG LER, OMI, MODS, surface reflectance, minimum reflectance, MODIS, 지면반사도, 최소 반사도
지형에 따른 강원지역의 강설입자 크기 분포 특성 분석
방원배 ( Wonbae Bang ) , 김권일 ( Kwonil Kim ) , 염대진 ( Daejin Yeom ) , 조수정 ( Su-jeong Cho ) , 이청룡 ( Choeng-lyong Lee ) , 이대형 ( Daehyung Lee ) , 예보영 ( Bo-young Ye ) , 이규원 ( Gyuwon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3호, 227~239페이지(총13페이지)
강원지역은 우리나라의 다설지로서 복잡한 지형 때문에 강설량의 공간변동성이 크다. 특히 동풍조건에서 강설이 발생할 시 강설량의 공간적 변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동풍조건에서는 강원지역 내 위치에 따라 대기환경조건이 다르며 이는 강설의 특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풍 조건에서 태백산맥의 풍상측과 풍하측에서 강설의 미세물리적 특성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강원지역 내 4개 관측지점을 선정하여 파시벨 수적계로 입자크기분포를 관측하였다. 얻어진 강설입자 크기 분포의 특성을 풍상측과 풍하측간 비교한 결과, 풍상측의 강설입자 크기 분포는 풍하측에 비해 넓은 분포를 가졌고 작은 강설입자의 수도 많았다. 강설입자의 수농도에 비례하는 보편특성수농도와 강설입자의 직경에 비례하는 보편특성직경 둘 다 풍상측에서 상대적으로 큰 값을 보였다. 또한, 얼음수함량과 강설...
TAG PARSIVEL, Snowfall characteristics, Gangwon region, Aggregation process, Particle size distribution, 파시벨, 강설특성, 강원지역, 부착과정, 입자크기분포
한반도에서 위험기상 발생 시 나타나는 해수면온도 변동의 특성
정은실 ( Eunsil Ju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3호, 240~258페이지(총19페이지)
태풍, 집중호우, 대설은 매년 우리나라에서 치명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정기적인 관측을 통하여 이러한 현상의 발생 가능성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사회적으로 큰 유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해수면온도가 태풍, 집중호우, 대설 발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이 논문에서는 위험기상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해수면온도 변동성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는 서울경기 부근 및 서해안을 중심으로, 그리고 남해안을 중심으로 분포하였다. 대설은 주로 동해안지역(이하 영동 대설)과 남서부 지역(호남형 대설)에서 발생하였다. 위험기상 종류 및 주요 발생지역에 따라 해수면온도 변동성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며, 집중호우 발생 시에 진도-제주도-이어도-중국 상하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해역에서 해수면온...
TAG typhoon, snowfall, rainfall, SST, scale interactions, 집중호우, 태풍, 대설, 해수면온도, 변동성
고해상도 동해 연안 파랑예측모델 구축을 위한 통계적 규모축소화 방법 적용
지준범 ( Joon-bum Jee ) , 조일성 ( Il-sung Zo ) , 이규태 ( Kyu-tae Lee ) , 이원학 ( Won-hak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3호, 259~271페이지(총13페이지)
동해 연안지역의 고해상도 파랑예측을 위하여 통계적 규모축소화 방안을 적용하여 고해상도 동해 연안 파랑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예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상청 현업에서 예측된 동해 및 남해 연안파랑예측모델과 전구파랑예측모델의 예측결과를 이용하였다. 3일까지는 연안파랑예측모델들의 결과를 그대로 활용하였고 3일 이후 7일까지는 전구파랑예측모델의 예측결과를 통계적 규모축소화 방안(역거리 가중 내삽방법과 조건부합성방법)을 적용하여 예측하였다. 예측된 고해상도 연안예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예측된 파고의 2차원 공간분포는 연안예측모델의 초기장(분석장)과 자기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부이 등 해양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파고 및 풍속 예측을 검증되었다. 수치모델의 예측성능과 유사하게 초기시간에는 예측성능이 높게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측성능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
TAG Wave watch, Wave height, Downscaling, Conditional Merge, Inverse distance weight, East Coast, 파랑, 파고, 규모축소, 조건부합성, 역거리 가중, 동해 연안
2010-2017년 부산지역의 미소 지진 예비 탐색
윤소헌 ( Soheon Yoon ) , 한종원 ( Jongwon Han ) , 원덕희 ( Deokhee Won ) , 강수영 ( Su Young Kang ) , 유용규 ( Yong Gyu Ryoo ) , 김광희 ( Kwang-hee K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3호, 272~282페이지(총11페이지)
지진 관련 정책 입안과 수행에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정보가 지진 발생현황이지만, 대도시와 인구밀집 지역의 경우 높은 생활잡음으로 인해 작은 규모의 지진 발생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부산지역에서 발생했지만, 규모가 작아 기상청 지진목록에 수록되지 않은 미소 지진 10회를 파형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검출하였고, 기존에 발생사실을 알고 있던 지진을 포함하여 총 12회의 지진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새로이 보고되는 지진은 선형을 보이면서 발생하고 있지만, 주변의 단층과 직접적으로 연관하여 해석하기에는 자료가 충분치 않다. 규모가 작은 미소 지진이 꾸준히 발생한다는 것은 지하에 지진을 일으키는 단층이 존재함을 시사하고, 부산과 같은 인구밀집지역에서 과거 피해를 유발한 역사지진과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발...
TAG Earthquakes, micro-earthquake detections, faults, seismic hazards in the metropolitan areas, 지진, 미소 지진검출, 단층, 대도시 지진 위험성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