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21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2015개정 통합과학 수업관찰을 통한 실행된 교육과정 분석
곽영순 ( Youngsun Kwak ) , 신영준 ( Youngjoon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379~38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부터 학교현장에서 구현된 통합과학 수업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토대로 통합과학 안착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성취기준[10통과07-01]에 대하여 전공배경이 각기 다른 4명의 과학교사들이 진행한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통합과학 수업의 특징을 교육과정 재구성 측면, 과학과 교과역량 개발 측면,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수업 측면, 과정중심 평가 측면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예컨대 교육과정 재구성 측면에서 과학교사들은 해당 성취기준을 3∼4차 시로 재구성하고,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적정화하며, 과학영역간 관통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과학과 교과역량 개발 측면에서는 해당 성취기준과 밀접하게 관련된 다양한 교과역량 함양, 과학에 대한 인식론 개발 ...
TAG Integrated science teaching, class observ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science competencies, 통합과학 수업, 수업관찰, 교육과정 재구성, 과학 역량
이공계열 대학교수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PCK 측면에서의 사례 연구
송나윤 ( Nayoon Song ) , 홍주연 ( Juyeon Hong ) , 노태희 ( Taehee Noh ) ,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405~414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는 이공계열 대학교수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그들의 수업 전문성을 PCK 구성 요소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충청북도 소재 대학교에 재직 중인 이공계열 교수 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수의 강의 계획서를 수집하고, 수업을 관찰하였으며, 수업 전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강의 계획서, 수업 동영상, 관찰노트, 면담 전사본 등을 분석한 결과, 두 교수는 전공 지식을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실무 역량이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대한 교수 지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교육적인 상황에 따라 변형되기도 하였다. 두 교수는 최종적인 학습 목표를 설정한 후 학습 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주차별 수업을 계획하였으나 학생이 달성해야 할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학생의 사전 지식수준을 실제적으로 파악하거나 학생이 해당 ...
TAG PCK, teaching professionalism, college of science-engineering, professor, 교과교육학 지식(PCK), 수업 전문성, 이공계열, 대학교수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권진희 ( Jinhee Kwon ) , 강훈식 ( Hunsik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415~426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이 만든 과학 유머의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의 일반 학생 42명과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학생 38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학생들이 만든 과학 유머의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유머의 유형의 경우 생성 형태와 기술 형태 등의 ‘형태’ 측면과 교육과정 포함여부, 과학 학문 영역, 과학 지식 활용 유형, 상황의 작위성 등의 ‘내용’측면의 생성 비율에서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들이 더 유창하고 융통적이며 독창적인 과학 유머를 만들었으나, 과학 유머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일반 학생과...
TAG scientific humor, type, creativity, educational benefit,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과학 유머, 유형, 창의성, 교육적 효과, 과학영재교육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에서 수행되는 연구윤리교육과 연구환경 조성에 대한 멘토 과학자와 교사의 인식비교
이지원 ( Jiwon Lee ) , 이범진 ( Bumjin Yi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427~439페이지(총13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와 교사는 연구윤리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사사교육에서 윤리적 교육환경을 어떻게 조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 32명과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윤리교육의 내용에 대하여 과학자와 교사 모두 위조, 변조, 표절하지 않기를 가장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수준에 대해서 과학자와 교사 모두 고등학교급 과학영재에게 대학생 수준의 연구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육방법에 대해 교사는 연구수행 중 각 단계별로 필요한 윤리적 의사결정의 개별 교육, 과학자는 연구노트 작성법지도가 가장 순위가 높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어려움에 대해 교사는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를 들었고, 과학자는 연구윤리가 학생 ...
TAG gifted student in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gifted education, research ethics,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과학영재, 연구윤리교육, 영재교육, 사사교육, 과학자, 교사
예비 초등교사들의 동료 탐구 수업 비평 분석
이신영 ( Shinyou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389~403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 비평 기준과 비평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들은 초등과학 탐구 수업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대학교 2학년 31명의 학생들로 2-3인이 한 조로 과학 탐구 수업을 설계 및 시연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동료가 시연한 과학 탐구 수업에 학생 입장으로 참여하였으며, 매 수업이 끝난 이후에 시연된 수업에 대해 비평을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동료 수업 비평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 맥락, 과학 내용, 교수 전략, 학습자, 교육 목표, 비언어적 태도, 평가 기준 순으로 비평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구성주의 관점을 가지고 학생 중심과 활동 중심의 교육관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의 비평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업 비평 내용에서 강의식, 학문적 엄격성, 활동 중...
TA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peer critique, implementation of inquiry instruction, orientation, epistemic understanding of inquiry-based instruction, 탐구 수업, 예비 초등교사, 수업 비평, 수업 실연, 교수지향, 탐구 수업에 대한 이해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김민환 ( Minhwan Kim ) , 김성훈 ( Sunghoon Kim ) ,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441~456페이지(총16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 설계를 PCK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 실습에 참여한 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육에서의 비유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후 교육 실습에서 비유 사용 수업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교육 실습에 참관하며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비유에서만 대응 관계와 비공유 속성을 다루었고, 이 과정이 교사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개념을 포함한 비유를 수업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비공유 속성이 학생들의 오개념과 관련이 크다고 생각하였으나 비공유 속성을 다룰 때는 학생들의 의견에 폐쇄적인 모습을 보였...
TAG analogy, pre-service science teacher, PCK, teaching practicum, 비유, 예비과학교사, 교과교육학 지식(PCK), 교육 실습
모델링을 통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발달 단계 분석
김성기 ( Sung Ki Kim ) , 김정은 ( Jung Eun Kim ) , 박세희 ( Se-hee Park ) , 백성혜 ( Seoung-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457~464페이지(총8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모델링을 통해 드러난 학생의 과학 메타모델링 지식발달 단계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명의 영재학생들에게 양초연소와 관련된 모델링을 요구하였으며, 모델링의 모든 과정은 관찰되어지고 이후 개별 면담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2명의 학생이 1단계로 분류되었으며, 3명의 학생은 2단계로 분류되었다. 1단계 학생들은 모델의 생성, 모델을 이용한 예측 활동이 전혀 수행되지 않았으며, 그들에게는 관찰이 가장 의미가 있는 활동이었으며 이러한 관찰을 통해 모델을 생성하였다. 반면, 2단계의 학생들은 모델의 생성, 모델을 이용한 예측, 실험 수행 및 관찰, 예측과 자료의 비교를 모두 수행하였다. 하지만 모델의 생성과 이를 이용한 예측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수행을 보였다. 그들은 실험에서 얻는 자료를 절대적인 모델을 확인하는 용도로만 인식하였다...
TAG progression level, meta-modeling knowledge, model, modeling, the gifted education, 메타모델링 지식 발달 단계, 모델링, 영재교육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송진웅 ( Jinwoong Song ) , 강석진 ( Suk-jin Kang ) , 곽영순 ( Youngsun Kwak ) , 김동건 ( Donggeon Kim ) , 김수환 ( Soohwan Kim ) , 나지연 ( Jiyeon Na ) , 도종훈 ( Jong-hoon Do ) , 민병곤 ( Byeong-gon Min ) , 박성춘 ( Sung Choon Park ) , 배성문 ( Sung-moon Bae ) , 손연아 ( Yeon-a Son ) , 손정우 ( Jeong Woo Son ) , 오필석 ( Phil Seok Oh ) , ( Jun-ki Lee ) , ( Hyun Jeung Lee ) , ( Hyuk Ihm ) , ( Dae Hong Jeong ) , ( Jong Hoon Jung ) , ( Jinhee Kim ) , ( Yong Jae J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465~478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모델링을 통해 드러난 학생의 과학 메타모델링 지식발달 단계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명의 영재학생들에게 양초연소와 관련된 모델링을 요구하였으며, 모델링의 모든 과정은 관찰되어지고 이후 개별 면담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2명의 학생이 1단계로 분류되었으며, 3명의 학생은 2단계로 분류되었다. 1단계 학생들은 모델의 생성, 모델을 이용한 예측 활동이 전혀 수행되지 않았으며, 그들에게는 관찰이 가장 의미가 있는 활동이었으며 이러한 관찰을 통해 모델을 생성하였다. 반면, 2단계의 학생들은 모델의 생성, 모델을 이용한 예측, 실험 수행 및 관찰, 예측과 자료의 비교를 모두 수행하였다. 하지만 모델의 생성과 이를 이용한 예측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수행을 보였다. 그들은 실험에서 얻는 자료를 절대적인 모델을 확인하는 용도로만 인식하였다...
자연계열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 과정 탐색
신승희 ( Seung-hee Shin ) , 문공주 ( Kongju Mun ) , 김성원 ( Sung-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321~33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학생 경험이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 과정에 대한 구조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는 자연계열 고등학생 2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근거이론에 의한 면담 자료의 코딩을 통해 과학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10개의 범주를 도출하고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 과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학습에 대한 기대감’을 가진 학생들이 자연계열을 선택하여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과학 학습에 대한 개인 역량’과 ‘외부에서의 영향’의 맥락 작용을 통해 과학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이루어지며, ‘내재적 불안 요인’과 ‘외재적 요인’의 중재적 조건을 받으며, 도입, 향상, 조절, 결과의 4단계를 순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중심현상은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이...
TAG Science self-efficacy, Science major high school student, grounded theory, science learning, 과학 자기효능감, 자연계열 고등학생, 근거이론, 과학 학습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분석
박지연 ( Jiyeon Park ) , 남정희 ( Jeong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337~348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역시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5개 주제의 논의 기반 탐구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 활동의 마지막 단계에서 작성하는 반성 글쓰기를 주제 1과 주제 5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사고의 하위 요소의 빈도수 분석에서 학생들은 인식론적 메타인지 기능의 빈도수가 가장 높았고, 인식론적 인지, 인식론적 메타인지 경험, 인식론적 메타인지 지식의 순으로 나타났고 주제 1에 비해서 주제 5에 대한 인식론적 사고의 하위요소의 빈도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인식론적 메타인지 경험이 가장 ...
TAG epistemic thinking, Argument-Based Inquiry (ABI),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 인식론적 사고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