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지질공학회 AND 간행물명 : 지질공학104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진감시를 위한 국내 해안지역 시추공 내 단열계 변화 특성
정재열 ( Jae-yeol Cheong ) , 함세영 ( Se-yeong Hamm ) , 옥순일 ( Soon-il Ok ) , 조현진 ( Hyunjin Cho ) , 김수진 ( Soo-gin Kim ) , 윤설민 ( Sul-min Yun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1호, 1~12페이지(총12페이지)
지진은 진원지 주변의 지반의 응력상태를 변화시키고, 암반의 단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에서 2016년 9월 12일과 2017년 11월 15일에 각각 발생한 지진규모 5.8의 경주지진과 지진규모 5.4의 포항지진은 양산단층대와 관련되며, 양산단층대 및 인근 지역 암반의 단열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지역에 위치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 내 암반의 단열계 특성(방향성, 주향에 따른 절리개수, 절리간격, 절리간극, 경사각, 심도 구간별 절리빈도, 상대 암반강도)이 경주지진 및 포항지진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지내 감시공에서 2005년과 2018년에 실시한 초음파 주사검층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초음파 주사검층 분석 결과, 주향에 따른 절리개수, 절리간극, 심도 구간별...
TAG Gyeongju earthquake, Pohang earthquake, acoustic televiewer logging, fracture system characteristics, coastal area, 경주지진, 포항지진, 초음파 주사검층, 단열계 특성, 해안지역
강우자료를 이용한 사방댐 배면 퇴적물의 준설시기 선정
송영석 ( Young-suk Song ) , 김민석 ( Minseok Kim ) , 정인근 ( In-keun Ju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1호, 13~21페이지(총9페이지)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이 설치된 사방댐(강원도 인제군)을 대상으로 강우강도-강우지속시간 한계곡선(I-D curve)을 이용하여 사방댐 배면의 퇴적물에 대한 준설시기를 선정하였다. 강원지역에서 약 30년 동안 6-9월 사이의 집중호우로 발생된 산사태 자료를 이용하여 I-D curve를 제안하였다. 준설관리시스템의 운영기간 동안 연구지역에서는 산사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모든 강우사상은 I-D curve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에서 측정된 준설퇴적물 하중은 증가 양상을 보였으나 증가량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준설퇴적물의 증가는 산사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집중호우시 산지표층부에서 발생된 일부 토사유실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에 설치된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
TAG debris barrier, dredged sediments management system, dredging time, I-D curve, rainfall data, 사방댐,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 준설시기, 강우강도-강우지속시간 한계곡선, 강우자료
서울지역 화강암 풍화토 토층지반의 토질특성
김경수 ( Kyeong-su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1호, 23~35페이지(총13페이지)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사면에서 발생되는 산사태는 대부분 여름철의 집중호우에 기인되며 주로 토층지반에서 발생된다. 집중호우로 인해 자연사면의 토층지반이 포화되고 지반지지력이 약화되어 사면붕괴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면안정성과 토석류 확산성 평가시에는 지반의 토질특성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주요 산지 관악산, 수락산과 북한산에 분포한 화강암토층지반을 대상으로 총 44개소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역학적 특성에 관한 지반공학시험을 통한 토질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산사태 발생 유발인자와 관계되는 토질의 물성과 공학특성을 산지별로 구분하여 대비하고 토질물성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시험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지역의 토층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입도의 모래 또는 점토질모래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조립토와 세립토 함유율이 각각 95%와 5%로 대부분 산지...
TAG Seoul, natural slope, landslide, granitic weathered soil, soil properties, 서울지역, 자연사면, 산사태, 화강암 풍화토, 토질특성
소규모수도시설 지하수의 라돈저감 특성
조병욱 ( Byong-wook Ch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1호, 37~50페이지(총14페이지)
지하수를 원수로 이용하는 소규모수도시설의 라돈 저감은 주로 저수조에서의 정치와 폭기에 의해 일어난다. 여름철 정치에 의한 32개 소규모수도시설 저수조와 꼭지수의 라돈 저감율은 -69.3∼62.7%(평균 25.7%)와 -64.3%∼83.1%(평균 30.3%), 가을철 정치에 의한 16개 소규모수도시설 저수조와 꼭지수의 라돈 저감율은 21.3%∼78.0%(평균 42.8%)와 17.7%∼66.9%(평균 44.8%)로 나타났다. 여름철보다 가을철의 라돈 저감률이 더 높은 것은 가을철의 지하수 사용량이 더 적어서 정치효과가 더 컸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폭기시설이 설치된 12개 저수조의 라돈 저감률은 47.4∼94.0%(평균 78.9%)로 나타났는데 이 저감률에는 정치에 의한 라돈 저감률이 합쳐져 있다. 소규모수도시설 지하수의 라돈 저감...
TAG Small-scale water supply system, radon concentration, removal rate, atmospheric storage, aeration, 소규모수도시설, 라돈함량, 저감효율, 정치, 폭기
현장실증시험에 의한 단일 및 이중필터층 우물의 해수 여과 특성 연구
송재용 ( Jae-yong Song ) , 이상무 ( Sang-moo Lee ) , 강병천 ( Byeong-cheon Kang ) , 이근춘 ( Geun-chun Lee ) , 정교철 ( Gyo-cheol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1호, 51~68페이지(총18페이지)
국내에서는 바닷가 주변의 상가나 수협 등의 활어 위판장 등에 많은 양의 해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수는 기상악화나 태풍 등에 의해 관련시설이 수시로 파손되고 조기 폐색되어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오염된 해수가 그대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직접적인 해수취수의 대안으로 이중필터취수정을 적용한 해변여과 방식의 해수취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층으로 이루어진 해변의 자유면대수층에서 필터조건을 달리하여 실규모의 이중필터취수정과 단일필터취수정을 각각 설치하고 설치된 우물에서 단계 및 연속대수성시험을 실시하여 필터재 조건에 따른 투수특성 및 적정양수량을 평가 하였다. 단계대수성시험 분석결과 이중필터 취수정에서 우물 개량의 정도가 양호하여 단일필터 대비 11...
TAG well, dual filter, single filer, seawater filtration, groundwater, 우물, 이중필터, 단일필터, 해변여과, 지하수
전국 규모로 본 국내 지하수의 라돈 함량
조병욱 ( Byong-wook Ch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8] 제28권 제4호, 661~672페이지(총12페이지)
국내 5,453개 지하수공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라돈 함량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의 라돈 함량은 0.1-7,218.7 Bq/L의 범위, 평균함량은 94.4 Bq/L, 중앙값은 48.8 Bq/L으로 비슷한 지질환경을 갖는 나라의 지하수의 라돈 함량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 지하수의 라돈 함량빈도 분포는 대수정규분포를 보였다. 10개 지질로 구분하면 지질별 지하수의 라돈 중앙값은 화강암에서 높고(63.5-105.1 Bq/L) 퇴적암과 제주화산암(PVOL)에서 낮았다(16.0-20.3 Bq/L). 심도별 지하수의 라돈 함량 중앙값은 풍화대 또는 기반암 상부 구간에서 61.4 Bq/L로 높았으며 충적층 구간에서는 28.5 Bq/L로 낮았다. 전체 지하수중 라돈 함량이 미국환경청(USEPA)의 제안치인 148 Bq/L를 넘는 ...
TAG 지하수, 라돈, 함량, 제안치, 쥬라기화강암, Groundwater, radon, concentration, guideline value, Jurassic granite
다중회귀분석 및 인공신경망을 통한 암종별 물리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김병국 ( Byong-kuk Kim ) , 이벽규 ( Byok-kyu Lee ) , 장승진 ( Seung-jin Jang ) , 이수곤 ( Su-gon Le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8] 제28권 제4호, 673~686페이지(총14페이지)
암반을 구성하는 암석의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약 2,400개의 자료의 7가지 물리적 특성을 암종별, 강도별, 대표암석별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관관계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는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유의수준을 통해 유의한 독립변수를 선별하여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해내었으며 인공신경망 학습을 수행하여 실제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을 수행하여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암종별, 강도별 분석결과,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탄성파속도(압축파), 탄성계수가 주요 영향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연구에서 상기항목을 이용한 관계식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지를 증명할 수 있으며, 각종 기준에서 암반분류를 상기항목으로 기준으로 하는지를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표암석 분석결과, 일축압축강도와 탄성계수를 추정할 수...
TAG 다중회귀분석, 인공신경망, 종속변수, 독립변수, 유의수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tificial neural network,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significance level
강우변화에 따른 토층 내 침투깊이를 고려한 산사태위험지수 개발
곽재환 ( Jae Hwan Kwak ) , 김만일 ( Man-il Kim ) , 이승재 ( Seung-jae Le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8] 제28권 제4호, 687~699페이지(총13페이지)
강우변화에 따라 토층 내로 침투되는 강우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산사태 위험도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현기간 별 강우변화에 따른 안전율 기반의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내 산사태 위험지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위험지수는 토층으로 침투되는 강우양상을 침투깊이비로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지수로 표현한 것이다. 연구지역에 대한 산사태 위험도 분석결과, 빈도 별 강우강도가 증가하면서 연구지역 전체 안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0년 빈도 이상의 강우조건에서는 점차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침투깊이비와 토층깊이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경사가 완만할수록 침투깊이가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내 복수의 산사태가 발...
TAG 무한사면 안정해석, 강우강도, 침투깊이비, 산사태위험지수, Infinite slope model, Rainfall intensity, GIS, Saturation depth ratio, landslide risk index
회전익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노천석회석광산 채굴장 3차원 모델링 및 채굴량 분석
강성승 ( Seong-seung Kang ) , 이건주 ( Geon-ju Lee ) , 노정두 ( Jeongdu Noh ) , 장형두 ( Hyeongdoo Jang ) , 김선명 ( Sun-myung Kim ) , 고진석 ( Chin-surk K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8] 제28권 제4호, 701~714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는 회전익 무인항공기인 드론을 활용하여 노천석회석광산 채굴장에 대한 3차원 모델링과 화약 발파에 의한 석회석 채굴 전후의 채굴량 산정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촬영된 채굴장의 영상에 대한 중복도를 분석한 결과 높은 화질의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왜곡도를 보정한 후 촬영 위치에서 각 축 방향 오차를 분석한 결과 허용 가능 범위를 보였다. 화약발파 전후 채굴량을 산정한 결과 넓은 범위의 채굴량을 비교적 짧은 시간에 빠르고 정확하게 산정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천석회석광산의 채굴장 모니터링과 채굴량 산정에 있어 회전익 무인항공기 드론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방법은 향후 노천 광산뿐만 아니라 건설 현장이나 도로사면 등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
TAG 3차원 모델링, 노천석회석광산, 채굴량 분석, 회전익 무인항공기, 화약발파, 3-dimensional modeling, open-pit limestone mine, mining analysis,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 explosive blasting
FDR 센서를 활용한 제체 누수특성의 실내 모형 실험 연구
김규범 ( Gyoo-bum Kim ) , 임은상 ( Eunsang Im ) , 류호철 ( Ho-cheol Ryu ) , 황찬익 ( Chan-ik Hwang ) , 김형종 ( Hyeong-jong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8] 제28권 제4호, 715~726페이지(총12페이지)
제체의 누수를 탐지하는 방법으로서 물리탐사, 온도 계측, 광섬유 등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FDR 센서의 유전율상수를 이용한 누수 탐지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취약부와 미취약부로 구성된 물리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유전율상수, 온도 및 간극수압 센서를 설치하였다. 누수가 형성됨에 따라 유전율상수는 미취약부보다 취약부에서 빠르게 변화되었다. 또한, 취약부에서 간극수압, 온도 및 유전율 상수를 비교하면 유전율 상수의 반응이 가장 빠르고 하류 계측 지점에서도 쉽게 인지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할 때, 제체 하류 구간에서 분포형으로 유전율을 측정한다면 누수 탐지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TAG 누수, , FDR 센서, 유전율, 모형실험, seepage, dam, FDR sensor, dielectric constant, physical mode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