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농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환경농학회지165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석탄연소재의 산도조절을 통한 농업적 활용 가능성
오세진 ( Sejin Oh ) , 강민우 ( Min Woo Kang ) , 김성철 ( Sung-chul Kim ) , 이상수 ( Sang Soo Lee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10~16페이지(총7페이지)
TAG Bottom Ash, Buffering Curve, Coal Ash, Fly Ash, Heavy Metals
논토양 내 비소 불용화에 대한 안정화물질의 처리 효과
강민우 ( Min Woo Kang ) , 오세진 ( Sejin Oh ) , 김성철 ( Sung-chul Kim ) , 이상수 ( Sang Soo Lee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17~22페이지(총6페이지)
TAG Arsenic, Coal Mine Drainage Sludge, Rice Paddy Soil, Stabilization, Stabilizer
논 잡초방제용 Pomacea canaliculata의 환경 적응성과 월동 왕우렁이에 의한 작물 피해
이상범 ( Sang Beom Lee ) , 이상민 ( Sang Min Lee ) , 박충배 ( Chung Bae Park ) , 이초롱 ( Cho Rong Lee ) , 고병구 ( Byong Gu Ko ) , 박광래 ( Kwang Lai Park ) , 홍승길 ( Seung Gil Hong ) ,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23~33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월동실태 및 작물의 피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왕우렁이의 도입 후 처음 월동이 확인된 지역은 2000년 해남이었다. 그 후 왕우렁이의 국내 월동 지역이 중남부지역으로 확대되었다.2017년도에 왕우렁이 개체들의 월동 지역은 전남의 강진, 고흥, 신안, 해남과 경남의 김해, 함안을 비롯한 부산과 제주, 서귀포였으며, 예외적으로 왕우렁이 월동조건이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성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왕우렁는 알로서 월동하지는 않았다. 왕우렁이가 저온에서 견디는 생존기간은 -5℃에서 12시간, -3℃에서 1일, -1℃에서 2일, 0℃에서 10일 및 3℃에서 30일 이상이었다. 왕우렁이들의 월동 환경조건은 10~20 cm의 물이 고여 있고, 추위에 숨을 수 있는 뻘이 잘 형성되어 있는 남향의 수로나 물 웅덩이였다...
TAG Crop damage, Golden apple snail(GAS), Overwintering, Pomacea canaliculata, Weed control
브라질 마토그로소 지역의 농업기후지대 구분
정명표 ( Myung-pyo Jung ) , 박혜진 ( Hye-jin Park ) , 허지나 ( Jina Hur ) , 심교문 ( Kyo-moon Shim ) , 김용석 ( Yongseok Kim ) , 강기경 ( Kee-kyung Kang ) , 안중배 ( Joong-bae Ahn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34~37페이지(총4페이지)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월동실태 및 작물의 피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왕우렁이의 도입 후 처음 월동이 확인된 지역은 2000년 해남이었다. 그 후 왕우렁이의 국내 월동 지역이 중남부지역으로 확대되었다.2017년도에 왕우렁이 개체들의 월동 지역은 전남의 강진, 고흥, 신안, 해남과 경남의 김해, 함안을 비롯한 부산과 제주, 서귀포였으며, 예외적으로 왕우렁이 월동조건이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성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왕우렁는 알로서 월동하지는 않았다. 왕우렁이가 저온에서 견디는 생존기간은 -5℃에서 12시간, -3℃에서 1일, -1℃에서 2일, 0℃에서 10일 및 3℃에서 30일 이상이었다. 왕우렁이들의 월동 환경조건은 10~20 cm의 물이 고여 있고, 추위에 숨을 수 있는 뻘이 잘 형성되어 있는 남향의 수로나 물 웅덩이였다...
TAG Agro-climatic zone, Mato Grosso,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Temperature
염스트레스가 감자(Solanum tuberosum L.)의 건물, 환원당, 무기성분의 함량 및 조성에 미치는 영향
임주성 ( Ju Sung Im ) , 김미옥 ( Mi Ok Kim ) , 홍미순 ( Me Soon Hong ) , 김미숙 ( Mi Suk Kim ) , 천충기 ( Chung Ki Cheun ) , 박영은 ( Yeong Eun Park ) , 조지홍 ( Ji Hong Cho ) , 조광수 ( Kwang Soo Cho ) , 장동칠 ( Dong Chil Chang ) , 최장규 ( Jang Gyu Choi ) , 이종남 ( Jong Nam Lee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38~46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월동실태 및 작물의 피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왕우렁이의 도입 후 처음 월동이 확인된 지역은 2000년 해남이었다. 그 후 왕우렁이의 국내 월동 지역이 중남부지역으로 확대되었다.2017년도에 왕우렁이 개체들의 월동 지역은 전남의 강진, 고흥, 신안, 해남과 경남의 김해, 함안을 비롯한 부산과 제주, 서귀포였으며, 예외적으로 왕우렁이 월동조건이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성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왕우렁는 알로서 월동하지는 않았다. 왕우렁이가 저온에서 견디는 생존기간은 -5℃에서 12시간, -3℃에서 1일, -1℃에서 2일, 0℃에서 10일 및 3℃에서 30일 이상이었다. 왕우렁이들의 월동 환경조건은 10~20 cm의 물이 고여 있고, 추위에 숨을 수 있는 뻘이 잘 형성되어 있는 남향의 수로나 물 웅덩이였다...
TAG Dry matter ratio, Glucose, Mineral, Potato variety, Salt stress
유기 셀레늄 (Organic Selenium) 엽면처리에 의한 셀레늄 강화 쌀 개발
원동욱 ( Dong Wook Won ) , 김선주 ( Sun-ju Kim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47~53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월동실태 및 작물의 피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왕우렁이의 도입 후 처음 월동이 확인된 지역은 2000년 해남이었다. 그 후 왕우렁이의 국내 월동 지역이 중남부지역으로 확대되었다.2017년도에 왕우렁이 개체들의 월동 지역은 전남의 강진, 고흥, 신안, 해남과 경남의 김해, 함안을 비롯한 부산과 제주, 서귀포였으며, 예외적으로 왕우렁이 월동조건이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성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왕우렁는 알로서 월동하지는 않았다. 왕우렁이가 저온에서 견디는 생존기간은 -5℃에서 12시간, -3℃에서 1일, -1℃에서 2일, 0℃에서 10일 및 3℃에서 30일 이상이었다. 왕우렁이들의 월동 환경조건은 10~20 cm의 물이 고여 있고, 추위에 숨을 수 있는 뻘이 잘 형성되어 있는 남향의 수로나 물 웅덩이였다...
TAG Brown rice, Foliar Spray, Polished rice, Selenium
불화수소 누출사고 사례를 통한 주변 농작물의 환경피해
김재영 ( Jae-young Kim ) , 이은별 ( Eunbyul Lee ) , 이명지 ( Myeong Ji Lee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54~60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실제 불화수소 누출 사고에 대한 OCA(Off-site consequence analysis) 분석을 통해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사고영향범위 예측치를 평가하고, 사고 반경 내 농작물의 잔류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화학사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환경 피해영향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KOR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는 사고 발생지점으로부터 10 km 이상,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는 1,968 m의 영향범위가 산정되었고, ALOHA 소프트웨어 구동 결과는 약 1.9 km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실제 사고 지역 내 농작물의 불소화물 잔류 여부를 측정한 결과, 피해지역 내 불소화물 농도는 4.96~276.82 mg/kg 범위로 사고 발생지점 인근이(E-1) 가장 높았고(2...
TAG Chemical accident, Crops, Environmental damage, Hydrogen fluoride,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인공광 이용에 따른 작물의 기능성 물질의 차별적 증가
김양민 ( Yang Min Kim ) , 성좌경 ( Jwa Kyung Sung ) , 이예진 ( Ye Jin Lee ) , 이덕배 ( Deog Bae Lee ) , 류철현 ( Chul Hyun Yoo ) , 이슬비 ( Seul Bi Lee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9] 제38권 제1호, 61~67페이지(총7페이지)
최근 10년 동안 LED등의 인공광원을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인공광원 중 LED를 조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는 LED의 에너지 효율성 및 광합성에 필요한 특정파장 비율을 디자인하여 조사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이라 여겨진다. 광질이 작물 기능성 물질 생산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밀폐시설과 시설재배에서의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밀폐시설에서 재배할 때 인공광의 광질에 따라 증가되는 기능성물질차이 외에도, 동일 광질을 사용하더라도 작물별로 증가되는 기능성물질이 달랐다. 자연광을 주광원으로 이용하고 인공광을 보광으로 사용한 연구에서, 밀폐시설에서의 연구와 동일한 광질을 보광으로 사용하더라도 기능성물질 생산 측면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밀폐시스템과 시설재배에 대한 보광연구 양쪽 모두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
TAG Artificial light, Functional metabolite, Light emitting diode
고추와 배추 재배지에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함유 원예용 비료 시용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효과
주옥정 ( Ok Jung Ju ) , 임갑준 ( Gap June Lim ) , 이상덕 ( Sang Duk Lee ) , 원태진 ( Tae Jin Won ) , 박중수 ( Jung Soo Park ) , 강창성 ( Chang Sung Kang ) , 홍순성 ( Soon Sung Hong ) , 강남구 ( Nam Goo Kang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8] 제37권 제4호, 235~242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고추와 배추 재배 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가 함유된 원예용 비료 시용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효과 구명을 위하여 경기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2년간(2015~2016년) 수행하였다. 고추 재배기간 중 N2O 배출량은 연도별 기상환경에 따라 배출양상과 배출량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처리별 저감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요소 표준시비(대조)에 비해 질소 표준시비 기비량 0.5배, 1.0배 해당량 NBPT 함유 원예용 비료 처리에서 각각 43%, 20% 적게 발생되었다. 고추 생육(초장과 줄기직경) 및 건고추 수량은 3요소 표준시비와 NBPT 함유 비료 NF0.5, NF1.0 처리구에서 대등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고추 정식 후 60일 토양화 학성 중 질산태질소는 3요소 표준시비에 비해 온실가스...
TAG Horticultural Fertilizer, Mitigation, NBPT, Nitrous Oxide, Urease Inhibitor
영산강수계 의료기원 방사성요오드(131I) 핵종의 분포 및 거동평가
강태우 ( Tae-woo Kang ) , 한영운 ( Young-un Han ) , 박원표 ( Won-pyo Park ) , 송광덕 ( Kwang-duck Song ) , 황순홍 ( Soon-hong Hwang ) , 강태구 ( Tae Gu Kang ) , 김경현 ( Kyung Hyun Kim )  한국환경농학회, 한국환경농학회지 [2018] 제37권 제4호, 243~250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영산강 수계에 위치한 하수처리장 및 하천 중 인공방사성핵종 131I의 농도 분포와 하천에서 거동 평가로부터 기원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지점은 하천 중 본류 13개 및 지류 4개 지점과 하수처리장 2개 지점을 포함하여 총 19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131I 방사능 분석은 고순도 게르마늄 검출기와 다중파고분석기로 구성된 감마분광계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하수처리장 중 131I 핵종은 두 지점의 방류수에서 대부분 검출되었으나, 하천의 표층수는 2017년 상반기(MS4, MS10) 및 하반기(MS4, MS7)에만 각각 두 지점에서 검출되었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중 131I 농도는 각각 0.0870∼3.87 Bq/L 및 MDC 이하∼0.53...
TAG 131I, Medically-derived, Radionuclides, SWTPs, Yeongsan Riv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