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120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복원대상습지 선정 사례 연구 - 2016년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결과를 중심으로 -
이정환 ( Jung-hwan Lee ) , 이창수 ( Chang-su Lee ) , 김미정 ( Mi-jeong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9] 제28권 제1호, 71~81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습지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복원사업 시, 사업대상지 선정에 필요한 의사결정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016년에 실시된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훼손습지 현황을 파악하고, 복원 필요성 판단을 위해 소실 원인과 생태적 보전가치 및 법·제도적 보전가치를 평가하였다. 2016년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결과, 훼손습지는 총 20개소로 확인되었고, 생태 및 법·제도적 가치와 현장 검증을 거쳐 복원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1개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다수의 훼손습지 중우선적으로 복원해야 할 필요성이 습지를 선정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의사결정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보전가치가 높지만,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습지의 경우 법·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이를 보...
TAG 보호지역, 생태계서비스, 람사르협약, 습지총량제, 습지보전법, Protected Area, Ecosystem Service, Ramsar Convention, No Net Loss of Wetland, The Act of Wetland
지기산(홍성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박환준 ( Hwan-joon Park ) , 김중현 ( Jung-hyun Kim ) , 김진석 ( Jin-seok Kim ) , 안지홍 ( Ji-hong An ) , 이경의 ( Kyeong-ui Lee ) , 황요섭 ( Yo-seob Hwang ) , 이병윤 ( Byoung-yoon Lee ) , 남기흠 ( Gi-heum Na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521~54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식물자원 및 생태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지기산 일대를 대상으로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자연환경 평가 및 기초자료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현지조사 결과, 낙엽활엽수 및 침활혼효림을 이루는 지역으로서 관속식물은 96과 286속 391종 7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 등44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은사시나무, 개나리, 만리화, 넓은잎각시붓꽃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6분류군으로 취약종(VU)에 만리화, 관심대상종(LC)에 이팝나무, 물잔디, 보춘화, 미평가종(NE)에 인삼, 푸른하늘지기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7분류군으로, V등급에 2분류군, IV등급에 3분류군, III등급에 6분류군, II등급에 4분류군, I등급에 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이분포식물은 27분류군으로 ...
TAG 관속식물, 고유종, 적색목록식물, 외래식물, Vascular plants, Endemic plants, Red list plants, Invasive alien plants
EFDC 모델에 의한 세종보의 부영양화 및 제어대책 평가
윤여정 ( Yeojeong Yun ) , 장은지 ( Eunji Jang ) , 박형석 ( Hyung-seok Park ) ,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548~561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의 중류에 위치한 갑천과 미호천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대청댐과 세종보 구간에 대해 3차원 수리-수질 해석 모델인 EFDC를 구축하고 모델을 보정한 후, 대청댐의 유량조절과 갑천 및 미호천의 부하량 삭감 시나리오에 따른 세종보 구간의 영양상태와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EFDC 모델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측정된 수위, 수온 및 수질 변수를 사용하여 보정하였으며, 모델은 실측 수위의 변화와 수온 및 수질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를 재현했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하천구간에서 영양염류와 조류 생체량의 공간 분포는 횡단 방향의 변화가 크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조류성장 제한 요인 분석 결과, 갑천과 미호천에서 세종보에 이르는 인 부하가 부영양화와 녹조발생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모의결과...
TAG EFDC, 세종보, 금강, 부영양화, 녹조, Sejong Weir, Geum River, eutrophication, algal bloom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종풍부도 변화 예측 연구
신만석 ( Man-seok Shin ) , 서창완 ( Changwan Seo ) , 이명우 ( Myungwoo Lee ) , 김진용 ( Jin-yong Kim ) , 전자영 ( Ja-young Jeon ) , 프라딥아디카리 ( Pradeep Adhikari ) , 홍승범 ( Seung-bum H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562~581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종풍부도 변화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종은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중에서 특산식물 23종, 북방계식물 30종 그리고 남방계식물 36종으로 총 89종을 선정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개별 종의 잠재서식지를 예측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종풍부도 변화를 예측하였다. 개별 종의 잠재서식지는 10개의 종분포모형 알고리즘을 함께 고려하는 앙상블모형을 구축하였다. 미래 예측 시기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4.5와 RCP8.5를 선정하여 2050년과 2070년을 예측하였다. 현재의 종풍부도는 국립공원, 강원도 백두대간 지역 그리고 남해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래 예측 결과, 기존에 높은 종풍부도를 보였던 국립공원과 강원도 백두대간 지역은 낮아졌고 남해안 내륙지역은 보다 더 ...
TAG 기후변화, 종풍부도, 국립공원, 종분포모형, 앙상블모형, Climate Change, Ensemble Model, National Park, Species Distribution Model, Species Richness
생물반응 인공습지 내 DOM 변동 및 저감효과 평가
주광진 ( Kwangjin Joo ) , 이종준 ( Jongjun Lee ) , 김태경 ( Tea-kyung Kim ) , 최이송 ( Isong Choi ) , 장광현 ( Kwang-hyeon Chang ) , 주진철 ( Jinchul Joo ) , 오종민 ( Jongmin Oh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582~594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 인공습지 내 용존유기물질의 변동 및 저감특성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수직·수평 흐름 습지를 직렬로 복합 적용하여 호기, 혐기상태의 흐름조건을 만들어 주었고 기능성 여재를 충진한 인공습지를 고안하여 아크릴 반응조로 제작 후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직·수평의 인공습지의 경우 호기 및 혐기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조 내 용존산소(DO) 농도를 측정해본 결과 호기상태의 수직흐름인공습지에서는 2.7 mg/L, 혐기상태의 수평 흐름인공습지에서는 N.D.로 측정되어 운전조건에 부합하였다. 운전시간은 140 min, 80 min, 60 min으로 변경하며 실험을 진행을 하였으며, 운전시간에 따른 자연폭기시간 20 min을 동일하게 설정해 주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운전시간 모두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한 결과를 보였으며, 3D-EEM에서는 운전시간을 길...
TAG 용존유기물질, 인공습지, EEM, DOM, Artificial Wetland
중 · 소하천에서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에 따른 불소 제거 효과 평가
김태경 ( Tae-kyung Kim ) , 류서영 ( Seo-young Ryu ) , 박윤아 ( Yoon-a Park ) , 이종준 ( Jong-jun Lee ) , 주광진 ( Kwang-jin Joo ) , 장광현 ( Kwang-hyeon Chang ) , 오종민 ( Jong-min Oh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595~603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경기도 중소하천에서 하상의 부착미생물군집의 시간에 따른 생장 변화와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에 따른 불소의 제거 효율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류수가 유입되는 지점인 P1과 그 곳에서 약 2 km 유하한 하류 지점인 P2에서 12주 동안의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조사 지점의 수질과 부착미생물군집의 생체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량은 7차 조사 시점까지 증가하다 이후 탈리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량, 유속, 영양물질(질소, 인)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부착미생물군집 체내의 불소 함유량 또한 7차 조사 시기까지 증가하다 8차 시점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부착미생물군집의 탈리현상에 의해 불소의 함유량 또한 감소하였음을 사사한다. 이를 통해 하천 관...
TAG 부착미생물군집, 성장 변화, 불소, 탈리반응, Attached microbial community, Growth change, Fluoride, Detachment reaction
도로에 의한 산림 내 온습도 변화
최재용 ( Jaeyong Choi ) , 박명수 ( Myung-soo Park ) , 김수경 ( Su-kyung Kim ) , 유승현 ( Seung-hyeon Yu ) , 최원태 ( Won-tae Choi ) , 송원경 ( Wonkyong Song ) , 김휘문 ( Whee-moon Kim ) , 김성열 ( Seoung-yeal Kim ) , 이지영 ( Ji-young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604~617페이지(총14페이지)
도로 증가로 산림파편화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도로 주변의 산림이 영향을 받았을 것이란 가정 하에 도로 거리에 따른 산림 내 온·습도 관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산림 모니터링을 통해 세동, 공주지역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 대해 온·습도를 도로경계에서 산림내부까지 각각 10m, 20m, 30m 총 3개의 지점으로 관찰하였고, 영동 지역은 도로 내부 구조물로 인해 0m, 10m, 20m 3개 지점으로 달리 관찰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수목 생장의 변화량이 적다고 판단되어, 도로에 의한 산림 내부의 온습도 변화를 2017년도 9월부터 2018년도 1월까지 각 지역 및 성상별로 도로로부터 산림내부까지 일정간격을 기준으로 온·습도를 교차, 비교하여 도로 등 선형개발로 인한 산림내부의 온·습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주·야간에 따라 소형기...
TAG 미기후 요소, 변동성, 소형기상기록장치, 산림생장, 선형개발, 산림생태계, Microclimate element, Volatility, HOBO data logger, Forest growth, Linear development, The forest ecosystem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생태네트워크 변화 분석: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강정은 ( Jung-eun Kang ) , 최희선 ( Hee-sun Choi ) , 황희수 ( Hee-soo Hwang ) , 이상혁 ( Sanghyeok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618~634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2020년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자동실효(이하 도시공원 일몰)로 인한 생태네트워크 측면에서의 영향을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도시공원 일몰과 관련하여 가능한 5개의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각 시나리오별 생태네트워크 변화를 FRAGSTATS의 경관지수들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일몰 예정 공원에 대해 전체 개발을 가정하는 시나리오 1은 해당 공원들의 전체 보전을 가정한 시나리오 5에 비해 녹지면적이 7,339.75ha가 감소하고, 생태공간의 파편화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부종 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심지 비중도 8.06%이상 감소되며, 녹지 간 연결성도 28.23% 이상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원 내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보전하는 것을 가정하는 시나리오 3은 시나리오 5(전체 대상지 보전)의 9...
TAG 도시공원 자동실효제, 도시공원, FRAGSTATS, 녹지네트워크, 파편화, Urban Park Automatic Invalidation, Urban Park, Green Space Network, Fragmentation
서울시 토지피복에 따른 계절별 미세먼지 농도 차이 분석 - 산림과 시가화지역을 중심으로 -
최태영 ( Tae-young Choi ) , 문호경 ( Ho-gyeong Moon ) , 강다인 ( Da-in Kang ) , 차재규 ( Jae-gyu Cha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635~646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도시의 미세먼지 배출과 저감에 관련된 토지피복 유형인 산림과 시가화지역의 영향에 의한 계절별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23개 도시대기 측정소의 2016년 PM10, PM2.5 농도자료를 수집하였고, 측정소 주변 반경 3km 내 시가화지역과 산림 비율을 기준으로 3개 그룹으로 측정소를 구분하여 그룹간의 미세먼지 농도 차이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그룹별 시가화지역과 산림의 중심값은 Group A에서 각각 53.4%, 34.6%, Group B는 61.8%, 16.5%, Group C는 76.3%, 6.7%이었다. 계절별 PM10과 PM2.5의 그룹별 농도는 산림 비율이 높은 Group A의 농도가 모든 계절에서 가장 낮았고, 시가화지역 비율이 높은 Group C의 농도는 봄부터 가을까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그...
TAG 토지피복 비율, PM10, PM2.5, K-means 군집화, 비모수 검정, Land cover ratio, K-means clustering, Nonparametric Test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구축에 따른 지구 지정 기준의 검토 및 제안
전승훈 ( Seung-hoon Chu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18] 제27권 제6호, 647~657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국가의 하천환경관리차원에서 정립되고 있는 한국형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하천환경 자연도와 하천 친수도에 대해 하천정비 및 관리계획의 지구지정 기준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관련 법제도적 기준과 지침을 검토한 결과 보전지구 지정기준인 역사문화적 가치는 친수지구와의 연계성의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하천환경 자연도의 기준의 1단계 보전과 복원지구의 구분에 이어 인문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하천 친수도를 적용하여 친수지구를 구분하는 순차적인 평가방식을 제안하였다. 시험하천인 갑천과 유등천에 적용한 결과 현재 상태의 하천환경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기존의 지구구분 자료가 좌안과 우안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 점이나 과도한 친수지구의 지정 등의 문제에 대해 본 연...
TAG 하천환경, 평가체계, 하천환경 자연도, 지구지정 기준, 시험하천, 평가단위,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Naturalness of river environment, Suitability of water friendly activity, Criteria for zoning, Test bed, Assessment uni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