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골절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골절학회지233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소아마비 후유증 환자에서 발생한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견열 골절 - 증례 보고 -
최원철 ( Wonchul Choi ) , 김태섭 ( Taesup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49~153페이지(총5페이지)
성인에서 발생한 후방십자인대의 손상 중 인대의 대퇴 부 착부 견열 골절은 극히 드물며 명확한 치료 방침 역시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소아마비 후유증이 있는 68세 여자 환자에서 낙상 후 발생한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견열 골절에 대한 치료를 위해 관절경을 이용한 무두 압박 나사 고정 및 견열된 인대의 끌어내기 봉합술 고정을 시행한 바 이와 같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고려할 점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하고자 한다.
TAG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견열 골절, 소아마비 후유증, 관절경, 무두 압박 나사, 끌어내기 봉합술, Posterior cruciate ligament, Femoral insertion, Avulsion fracture, Residual poliomyelitis, Arthroscopy, Headless compression screw, Pull-out suture
성인 여성에서 발생한 상완골 소두 감입 골절 - 증례 보고 -
염재광 ( Jaekwang Yum ) , 성민규 ( Minkyu Seong ) , 김경일 ( Kyungil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54~158페이지(총5페이지)
상완골 소두의 골절은 드물게 발생하며 Bryan and Morrey의 분류가 사용된다. 하지만 소두의 감입 골절은 이 분류에 속하지 않으며 문헌에 보고된 증례가 드물다. 본 증례를 통해 53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상완골 소두 감입 골절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전신 마취하에 외측 접근법을 통해 요골-소두 관절을 노출시켰다. 소두의 골-연골 골절 조각이 감입되어 주위 관절면에 비해 함몰되어 있는 소견이 관찰 되었다. 감입된 소두의 골-연골 골절면은 작은 뼈 절단기를 이용하여 주위 관절면에 맞게 들어올리고 K-강선을 골절 조각 아래에 삽입하여 버티도록 고정하였다. 술 후 약 4개월 후 정상적인 관절 운동 범위를 회복하여 K-강선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고, 골절편의 완전한 유합 및 주위 관절면과의 일치를 확인하였다. 상완골 소두 감입 골...
TAG 상완골, 소두 골절, 주관절 손상, 골연골 골절, 감입 골절, Humerus, Capitellum fracture, Elbow injury, Osteochondral fracture, Impacted fracture
대퇴골 비전형 골절: 일반 골절과 다른 점은?
이범석 ( Beom Seok Lee ) , 이영균 ( Young-kyun Lee ) , 원희재 ( Heejae Won ) , 김형국 ( Hyungkook Kim ) , 구경회 ( Kyung-hoi Koo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59~164페이지(총6페이지)
최근 골다공증성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한 환자에서 오히려 비전형적 대퇴골절이 발생하여 관심을 끌고 있다. 비록 비전형적 대퇴골절의 발생 빈도가 높지 않지만 골절 수술이 쉽지 않고 지연 유합이나 불유합의 위험이 높은 점 등 일반 골절과는 다른 몇 가지 특성이 있어 이에 대해 비전형적 대퇴골절의 치료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TAG 대퇴골 비전형 골절, 골수정, 테리파라타이드, 골다공증, Fractures stress, Fracture fixation intramedullary, Teriparatide, Osteoporosis
골절 후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및 낙상 예방
오형근 ( Hyoung Keun Oh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65~171페이지(총7페이지)
평균 수명의 연장에 의한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의 증가는 치료하는 정형외과 의사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고 있다. 고령층에서 발생하는 골절의 치료는 젊은 환자의 골절 치료에 비하여 수술 전 고려 사항도 복잡하고, 수술 후 적절한 전신 상태 관리와 더불어 이차적인 골절을 예방해야 하므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골다공증성 골절 후 이차적인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 치료와 낙상 예방을 위한 전략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TAG 골다공증, 약물치료, 낙상, Osteoporosis, Drug therapy, Falls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골수강외 정복(Extramedullary Reduction)의 효과: 사체를 이용한 생역학적 연구
박영창 ( Young Chang Park ) , 윤순필 ( Soon Phil Yoon ) , 양규현 ( Kyu Hyun Ya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3호, 79~86페이지(총8페이지)
목적: 본 연구는 후내측 피질골의 분쇄가 있는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AO/OTA classification 31-A2.2)에서 골절 부위 정복 형태에 따른 생역학적 특성을 신선 냉동 사체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8쌍의 신선 냉동 사체의 대퇴골을 무작위로 각각 골수강내 정복과 골수강외 정복 형태로 금속정 고정을 시행한 후 축성 압박 일회성 파괴 실험을 시행하였다. 초기 축성 강성, 최대 실패 하중 및 고정실패까지 총 흡수 에너지를 비교하였으며 고정실패 패턴을 확인하였다. 결과: 골수강외 정복은 골수강내 정복과 비교하여 평균 초기 축성 강성(422.7 N/mm vs. 332.0 N/mm, p=0.017), 최대 실패 하중(2,848.7 N vs. 1,966.5 N, p=0.012) 및 고정실 패까지 총 흡수 에...
TAG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Extramedullary reduction, Intramedullary reduction, Biomechanical study,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 골수강외 정복, 골수강내 정복, 생역학적 실험
AO 분류 C형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외고정술과 내고정술의 치료 결과의 비교
이윤민 ( Yoon-min Lee ) , 이화성 ( Hwa-sung Lee ) , 송석환 ( Seok-whan Song ) , 최재훈 ( Jae-hoon Choi ) , 박종태 ( Jong-tae Park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3호, 87~93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AO 분류 C형 원위 요골 골절에서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외고정술로 치료 결과를 비교하여 소분류에 따른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AO C형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금속판을 사용한 1군(85예)과 외고정기를 사용한 2군(116예)으로 구분하여 관절 운동 범위와 Green and O’Brien score로 임상 경과를 평가하였고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12개월 추시 시 1군은 굴곡 64.4°, 신전 68.3°, 척측굴 30.6°, 요측굴 20.8°, 회외전 76.1°, 회내전 79.4°였고 2군은 굴곡 60.5°, 신전 66.9°, 척측굴 25.5°, 요측굴 18.6°, 회외전 73.5°, 회내전 75.0°였다. Green and O’Brien score 는 1군이 92....
TAG Distal radius, AO type C fracture, Plate fixation, External fixation, Functional outcome, 원위 요골, AO 분류 C형 골절, 금속판 고정술, 외고정술, 기능적 결과
원위 경골 골절 치료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비교
이호민 ( Ho-min Lee ) , 김영성 ( Young-sung Kim ) , 김종필 ( Jong-pil Kim ) , 정필현 ( Phil-hyun Chung ) , 강석 ( Suk Kang ) , 조광석 ( Kaung Suk Jo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3호, 94~101페이지(총8페이지)
목적: 본 연구는 원위 경골 골절 환자에서 관절면을 침범하지 않은 군과 단순 침범한 군에 따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위 경골 골절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총 5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 19예를 A군으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31예를 B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A군과 B군의 수술시간은 평균 72.4분, 65.7분, 골유합시기는 평균 16.4주, 15.7주, 골유합률은 100%, 93%였다. 최종추시에서 관절 운동 범위는 차이가 없었고, 평균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점수도 A군 90.1점, B군 90.5점으로 차이...
TAG Tibia, Distal tibial fracture,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Intramedullary nailing, 경골, 원위 경골 골절,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골수강내 금속정
노인 골반/비구 골절의 수술 적응증과 고정 방법
박경현 ( Kyeong-hyeon Park ) , 오창욱 ( Chang-wug Oh ) , 김준우 ( Joon-woo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3호, 102~113페이지(총12페이지)
최근 평균 수명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성 골반 및 비구 골절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노인 연령에서의 이러한 골다공성 골절은 젊은 성인에서의 골절과 여러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저 에너지 손상에 의해 유발되지만 결과는 정상 성인에서의 골절보다 나쁜 경우가 흔하다. 여러 가지 치료 옵션이 있으나 어떤 것도 표준적 치료라고 하기 어렵다.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보존적 혹은 수술적 치료 등 치료 방법에 상관없이 노인 환자에서는 침상안정에 따른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조기 거동이 중요하다.
TAG Pelvis, Acetabulum, Pelvic ring, Osteoporotic fracture, Complication, 골반, 비구, 골반환, 골다공증성 골절, 합병증
골다공증성 압박성 척추 골절의 치료
김유미 ( Yu Mi Kim ) , 김태균 ( Tae Kyun Kim ) , 심대무 ( Dae Moo Shim ) , 임경훈 ( Kyeong Hoon L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3호, 114~121페이지(총8페이지)
고령 환자의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의 치료법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고찰해보고 환자의 일상생활로의 복귀와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어떤 사항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에서는 일차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게 되며, 골다공증 치료제, 통증 조절,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등을 시행한다. 최근에는 빠른 통증 회복 및 조기 보행을 위해 경피적 추체 성형술 또는 풍선 성형 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경피적 추체 성형술 또는 풍선 후만성 형술 모두에서 통증 경감 및 활동 능력의 개선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추체 높이의 회복에 있어서는 풍선 후만 성형술이 척추 성형술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여 불유합 또는 골괴사, 함몰 및 변형, 척수 압박을 일으키게 되어 지연성 함몰이 발생한 경우나 경피적...
TAG Osteoporosis,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Conservative treatment, Operative treatment, 골다공증, 척추체 압박 골절, 보존적 치료, 수술적 치료
원위 요골 골절의 비수술적 치료: 언제, 어떻게?
신영호 ( Young Ho Shin ) , 윤준오 ( Jun O Yoon ) , 김재광 ( Jae Kwang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2호, 71~78페이지(총8페이지)
원위 요골 골절의 상당수는 안정형 골절이고, 고령의 환자에서는 불안정형 골절이라도 수술적 치료를 통한 골절의 정확한 정복이 곧 좋은 기능적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비수술적 치료는 여전히 중요한 치료 원칙이다. 수상 직후 및 정복 후 시행한 방사선 소견에서 보이는 원위 요골 관절면 후방 경사, 요골 단축, 후방 골피질 분쇄, 관절내 골편의 전위, 척골의 골간단 골절 동반, 원위 요골의 전단 골절, 원위 요척 관절의 골절 탈구 등을 확인하여 보존적 치료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환자의 연령, 활동 정도 및 기저질환, 환자가 골절 회복 후 바라는 활동 정도 등에 따라 그 기준을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보존적 치료 시 고정 기간은 감입 골절이나 최소 전위 골절에서는 3-4주, 전위 골절에서는 5-6주 정도 시행할 것으로 권장...
TAG 원위 요골 골절, 비수술적 치료, 후방 경사, 요골 단축, Distal radius fracture, Nonoperative treatment, Dorsal tilt, Radial shorten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