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 AND 간행물명 : 농업사연구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전통공간의 구성요소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김상범 ( Sang Bum Kim ) , 이상영 ( Sang Young Rhee ) , 허준 ( Jun Heo ) , 이승주 ( Seung Joo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1호, 203~216페이지(총14페이지)
자연적 혹은 인공적 생활환경 속의 여러 요소들은 각각 의미를 가지며 인간은 생활속에서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하여 대상을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개인이나 집단이 의미를 부여하거나 의미 전달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내기도 한다. 각각의 요소들은 동일한 유사성을 가지기도 하지만 시간의 흐름과 장소성에 의하여 그 의미는 변한다. 우리나라 전통공간에서 나타나는 환경요소들은 시대에 따라 때로는 다른 의미를 나타내며 존재하여 전통공간을 자연의 일부로 생각하고 자연과 함께 생활하는 한국인의 자원관이 담겨진 공간특성을 그대로 계승하며 현재에도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통공간에서 나타나는 환경요소와 장소성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TAG 전통공간, 구성요소, 공간특성, traditional spaces, factors, space characteristics
연구논문 : 식민지 조선의 소주밀식(小株密植) 정책과 농민의 소식(疎植) 관행 -역사생태의 지평에서 본 농업기술의 비교문화론-
안승택 ( Seung Taik Ahn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111~151페이지(총41페이지)
이 글은 일제시기 소주밀식 이앙법을 도입하려고 했던 조선총독부 농정당국의 농사개량정책과 소식(疎植) 이앙법을 고수하던 조선 농민들 사이에 기술적 이견을 발생시키던 역사적·사회기술적 배경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경기남부에서의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사례들을 통해 확인한 결과, 모든 경우에 농민들은 드물게 심는 못줄간격을 바람직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던 데에 반해, 농정당국은 이보다 촘촘히 심도록 하는 못줄간격을 강제하고 있었다. 이들 농민은 같은 시기 같은 농정당국자들에 의해 장려(실질적으로는 강제)되던 정조식 이앙법을 자의든 타의든 수용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러한 수용의 양상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이견의 분출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한말시기에 일본인 농학자들은 이미 조선 농민들의 소식 관행을 확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병탄...
TAG 정조식, 비료부족, 전시체제, 식민주의, 사회기술체계, 민간지식, regular transplanting, fertilizer deficiency, war basis, colonialism, socio-technical system, folk knowledge
연구논문 : 우리나라 농사일(농무(農務), 농경(農耕)) 문화의 성립,전개 및 연구 -3. 농사일 유래의 문화 사례(事例)-
구자옥 ( Ja Ock Guh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1~32페이지(총32페이지)
일련의 역사와 전통, 그리고 농사일을 통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할 수 있었고, 그 문화 위에서 오늘과 내일을 살아가는 문화특성이 있다. 사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곡(五穀)과 쌀(稻) 오곡의 내용이나 그 가운데에서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시대와 민속·의례행사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여하튼 궁중과 일반 백성의 중요한 민속·의례·축제 및 기념행사에 오곡을 등장시켜서 먹거리 농사의 중요성을 함께 공감하고, 받드는 전통을 이어왔다. 심지어는 마을 공동체의 무탈·안녕·질서·번영을 기원하거나 불행한 사건의 잘못을 비는 일에서까지도 오곡을 곁들여 제사하는 형식을 빌었다. 오곡의 형식이 오행설에서 비롯하였으며 지금까지도 일상의 언어를 통하여 "五"자의 단어, 예를 들어 오행, 오보, 오락, 오장, 오미, 오복, 오도 따위의 표현이 사...
TAG 오곡, , 논매기, 공동체(두레), 한류, 갑오농민전쟁, 붉은악마, farm works, agriculture, korean culture
연구논문 : 온돌(溫突)의 구조(構造) 및 보급(普及)과 생활문화(生活文化)에 끼친 영향
최덕경 ( Duk Kyung Choi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33~67페이지(총35페이지)
본고는 온돌의 기원을 통해 한반도의 온돌은 언제부터 출현했으며, 왜 한반도 북부를 포함한 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주로 발생했는가를 검토하고, 온돌과 같은 독특한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온돌이 남부지역의 서민 속으로 언제 보급되었으며, 그것이 보급되면서 나타나는 독특한 한반도의 座式문화는 어떠한 문화의 성격과 특성을 지녔으며, 이것은 인근 중국의 주택 및 삶의 방식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TAG 온돌, 溫突, 갱도, 坑道, 토상, 土床, 난방, 煖房, 좌식, 座式, 생활문화, 生活文化, ondol, tunnel, a soil bed, heating, eating the bread of idleness, Life culture
연구논문 :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농업의 변모
박석두 ( Seok Doo Park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69~109페이지(총41페이지)
본고는 온돌의 기원을 통해 한반도의 온돌은 언제부터 출현했으며, 왜 한반도 북부를 포함한 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주로 발생했는가를 검토하고, 온돌과 같은 독특한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온돌이 남부지역의 서민 속으로 언제 보급되었으며, 그것이 보급되면서 나타나는 독특한 한반도의 座式문화는 어떠한 문화의 성격과 특성을 지녔으며, 이것은 인근 중국의 주택 및 삶의 방식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TAG agriculture, modernization, farmer, cultivation, field, transformation
연구논문 : 한반도(韓半島)의 삼국(三國)(백제(百濟), 신라(新羅), 고구려(高句麗)) 유적지(遺蹟址)에서 출토(出土)된 탄화미(炭化米)의 비교(比較)
박태식 ( Tae Shik Park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153~161페이지(총9페이지)
韓半島에서 벼가 넓게 栽培되던 靑銅器 이후 약 천 년이 지난 三國(백제, 신라, 고구려)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出土 遺物로 비교하여 보았다. 靑銅器시대 遺蹟 松菊里 出土 炭火米에 비하여 三國시대에는 모든 지역의 탄화미의 크기가 커졌다. 다만, 모양새에서 남쪽 지역은 둥근 短粒型으로 바뀌었으나, 북쪽 지역은 바뀌지 않고 비슷하였다. 벼 낟알이 커진 것은 농부가 收量이 많고 탐스런 이삭을 선호하여 지속적으로 收穫한, 즉 이는 選擇에 의한 選拔과 品種分化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TAG 탄화미, , 삼국시대, 한국, , 수량(수확량), carbonized rice, three kingdoms era, korea, selection, high-yielding
연구논문 : 대나무의 품성과 효능에 대한 문헌연구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163~191페이지(총29페이지)
사군자의 하나인 대나무는 예전부터 군자의 상징으로 여겨 선비들이 애호하던 식물 중의 하나이다. 대나무는 품종이 매우 많으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은 근죽(菫竹), 담죽(淡竹), 고죽(苦竹) 등이고, 이를 우리나라에서는 왕대[王竹], 솜대[綿竹], 오죽(烏竹) 등으로 이해하였다. 대나무는 풀도 아니고 나무도 아닌 독립적인 식물로 보아야 하며, 단시간에 왕성하게 자라는 죽순은 응축된 기가 한꺼번에 발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태음인에게 좋은 식품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대나무를 고문헌을 통하여 품성과 효능이 서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나무는 나쁜 사기를 물리치는 벽사(闢邪)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체의 탁기를 물리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효능이 확대 해석되어 폭죽으로 잡귀를 물리치는 풍습이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죽력의 맑고 시원한 기운으로 중풍,...
TAG 대나무, 죽순, 죽력, 사상의학, 태음인식품, bamboo(s), bamboo shoot(s), Jukreuk,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ae-eumin food
연구논문 : 원예작물재배에 관한 전통농업기술의 개발가치 평가
김미희 ( Mi Heui Kim ) , 안옥선 ( Ok Sun Ahn ) , 이상영 ( Sang Young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193~228페이지(총36페이지)
사군자의 하나인 대나무는 예전부터 군자의 상징으로 여겨 선비들이 애호하던 식물 중의 하나이다. 대나무는 품종이 매우 많으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은 근죽(菫竹), 담죽(淡竹), 고죽(苦竹) 등이고, 이를 우리나라에서는 왕대[王竹], 솜대[綿竹], 오죽(烏竹) 등으로 이해하였다. 대나무는 풀도 아니고 나무도 아닌 독립적인 식물로 보아야 하며, 단시간에 왕성하게 자라는 죽순은 응축된 기가 한꺼번에 발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태음인에게 좋은 식품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대나무를 고문헌을 통하여 품성과 효능이 서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나무는 나쁜 사기를 물리치는 벽사(闢邪)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체의 탁기를 물리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효능이 확대 해석되어 폭죽으로 잡귀를 물리치는 풍습이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죽력의 맑고 시원한 기운으로 중풍,...
TAG traditional knowledge, Horticulture
연구논문 : 한국 농촌주민의 사회교육 실태 및 과제
황대용 ( Dae Yong Hwang ) , 조영숙 ( Young Sook Cho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229~248페이지(총20페이지)
사군자의 하나인 대나무는 예전부터 군자의 상징으로 여겨 선비들이 애호하던 식물 중의 하나이다. 대나무는 품종이 매우 많으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은 근죽(菫竹), 담죽(淡竹), 고죽(苦竹) 등이고, 이를 우리나라에서는 왕대[王竹], 솜대[綿竹], 오죽(烏竹) 등으로 이해하였다. 대나무는 풀도 아니고 나무도 아닌 독립적인 식물로 보아야 하며, 단시간에 왕성하게 자라는 죽순은 응축된 기가 한꺼번에 발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태음인에게 좋은 식품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대나무를 고문헌을 통하여 품성과 효능이 서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나무는 나쁜 사기를 물리치는 벽사(闢邪)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체의 탁기를 물리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효능이 확대 해석되어 폭죽으로 잡귀를 물리치는 풍습이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죽력의 맑고 시원한 기운으로 중풍,...
TAG social education, rural education, rural community, rural residents, educational programs
연구논문 : 한국 전통 화목의 배치 원칙과 배치형식에 관한 연구
김묘정 ( Myo Jun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249~264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전통정원구성요소인 화목의 배치원칙 및 배치형식에 관한 것이다. 연구 내용은 고문헌이나 관련자료를 통해 전통화목의 개념을 파악하고, 전통화목의 분류, 배치원칙, 배치형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각 요소에 대한 한국고유의 전통화목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전통정원에서 화목의 배치원칙이나 배치형식을 통해서 식물의 생태습성이나 기능성을 고려한 선조들의 과학적인 적용과 전통화목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와 배치기법속에 함의된 고유의 전통사상을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전통화목의 현대적 활용에 있어서도 좀 더 깊이 있는 적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한국의 고유문화도 같이 이해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또한 한국전통주택의 리모델링이나 현대적 활용에 있어서 주택외부공간의 조성을 위해 전통화목의 의미와 식재기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AG 전통화목, 배치원칙, 배치형식, traditional Korean gardening plants, the principles of disposal, a methods of disposa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