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5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일본 남성 스트리트 패션에 관한 연구 - 우라하라에서 네오-우라하라까지 -
김윤 ( Kim Yoo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1~16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일본 하위문화를 기반에 둔 남성 스트리트 패션의 흐름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현상에 영향을 미치며 성장하고 있는 네오-우라하라 패션의 변화와 특성 및 가치를 연구하고 현재 위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우라하라와 네오-우라하라 패션 고찰을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2017년 일본을 방문하여 마켓 조사 및 스트리트 패션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또한 2015년에서부터 2018년 일본 남성잡지 분석 및 관련 문헌 등을 통해 이미지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일본 스트리트 패션에 표현된 네오-우라하라 패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오-우라하라 패션은 디자이너 브랜드, 명품 브랜드, 해외 희귀 패션아이템, 힙합스타일 등 다양한 스타일들이 함께 묶여 새로운 개성적 스타일의 포멀하고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되는데 이는 시대적 배경에 따른 예...
TAG 네오-우라하라 패션, 우라하라 패션, 스트리트 패션, 일본 남성패션, 하위문화, neo-urahara fashion, urahara fashion, street fashion, Japanese men’s fashion, subculture
대안 전략으로의 비건 패션 브랜드 현황
김남희 ( Kim Nam Hee ) , 박선희 ( Park Sun H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17~33페이지(총17페이지)
동물관련 산업이 환경과 생태계에 매우 위협적이라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그 파장은 패션산업에 대한 비판과 이에 대한 사회적 책임, 인식개선, 대안소재 및 해결방안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가 어떠한 방식으로 비건을 실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현황과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비건 패션의 참뜻과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비건 패션의 현재와 나아갈 방향을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방법과 범위는 국제기구와 동물보호 및 환경보호단체의 웹 사이트, 국내외 매거진 및 기사, 최근 5년간 비건 뿐 아니라 가죽, 모피, 퍼 프리 선언이 언급된 일부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사건과 전개, 사례와 언급,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혁신적이고 다양한 대안소재가 개발됨에 따라 동물성 소재 대안이 충분하며 이는 다양한 유형과 특성으로 분류될 수 ...
TAG 대안소재, 비건 패션 브랜드 현황, 윤리적 패션, alternative material, current situation of vegan fashion brands, ethical fashion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패션 거리에서의 패션 경험에 관한 연구 - 서울의 명동 거리를 중심으로 -
김세진 ( Kim Se Ji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35~52페이지(총18페이지)
도시의 패션 거리는 다양한 패션 경험이 이뤄지는 장소이다. 최근 소셜 미디어는 제2의 사회적 공간으로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지 중심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인스타그램을 주목하였다. 도시 공간을 탐구하는 방법론으로서 발터 벤야민의 산책자의 개념을 현대적 의미에서 고찰하여 서울의 패션 중심지로 인식되고 있는 명동 거리에서 패션 경험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참여자의 관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소셜 미디어시대의 산책자와 패션 경험의 개념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는 ‘명동 거리’와 ‘명동 거리 한복판’을 지오태그한 총 145개의 이미지와 989개의 해시태그 단어를 수집하고, 이를 경험 요소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인스타그램의 산책자는 명동 거리에서 경험은 감각적, 행위, 관계, 감정...
TAG 소셜 미디어, 디지털 산책자, 패션 거리, 패션 경험, 명동 거리, social media, digital flâneur, fashion street, fashion experience, Myeong-dong street
현대 패션 전시 트렌드 변화에 대한 연구 - 기획 및 연출을 중심으로 -
정다운 ( Jung Dawn ) , 하지수 ( Ha Ji 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53~69페이지(총17페이지)
현대 패션 전시는 박물관의 권위와 기업의 후원 사이에서 다양한 예술문화 콘텐츠 개발과 연출을 선보이고, 대중과 학계의 관심을 모두 충족시키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획과 연출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 전시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패션 전시 준비 과정의 단계와 구성요소들의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패션 전시 전문가의 인터뷰와 문헌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 전시의 다양한 활동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전시 트렌드의 특성에 따른 전시 시나리오와 전시물로 기획 연출된다. 상업성이 강한 패션 브랜드 주최 전시에서는 마케팅을 목적으로 최신 컬렉션 위주로 전시물을 선정하고, 구매 촉진과 브랜드에 대한 호감을 높이는 전시 시나리오로 큐레이션 방향이 성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공간연출 디자인은 전시 시나...
TAG 현대 패션 전시, 패션 전시 트렌드, 트렌드 변화, 전시 기획 및 연출,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 fashion exhibition trend, trend study, exhibition planning and production
비건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딜레마 유형
정지운 ( Jeong Ji Woon ) , 권하진 ( Kwon Ha Ji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71~91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실천적 친환경 운동 비거니즘의 특징과 그 가치를 살펴보고, 비건 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딜레마 유형을 알아봄으로써 패션디자인이 앞으로 가져야 할 방향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 대표적인 환경과 동물보호 단체가 인증한 비건 패션 브랜드와, 패션 잡지에서 소개된 비건 패션 브랜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비건 패션의 실천사항과 한계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비건 패션디자인 사례에 나타난 공통적인 한계점에서 도출되는 딜레마 유형은 다음과 같은데, 첫째, 일반 식물성 소재는 대부분의 재배 과정에서 다량의 살충제 사용과 유전자의 변형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유기농 재배가 아닌 식물성 소재의 비건 여부에 관련한 식물성 소재의 딜레마가 나타난다. 둘째, 비건 패션디자인이 동물을 해치는 것을 기피하기 ...
TAG 비거니즘, 비건 패션디자인, 딜레마, 비건 라이프스타일, veganism, vegan fashion design, dilemma, vegan lifestyle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패션 공유 플랫폼의 사례 분석 - 제품-서비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
김지형 ( Kim Gi Hyu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93~115페이지(총23페이지)
패션 공유경제는 전통적인 대량생산 및 대량소비 방식에서 벗어나 유휴 자원을 협력적으로 소비함으로써 상대적 저비용으로 자원의 순환적 이용을 가능케 하고 패션 상품의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패션 공유 플랫폼 구현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 라인 제공을 목표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공유경제의 발생 배경 및 특징을 고찰하고, 공유경제의 자원과 유형을 분류하고, 패션 산업에서의 공유경제 실효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제품-서비스 시스템(product-service systems, PSS)의 국내외 패션 공유 플랫폼 사례 분석을 통해 특징과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렌트더런웨이, 에어클로젯, 프로젝트앤을 3가지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브랜드 정체성, STP 전략, 마케팅 ...
TAG 공유경제, 협력적 소비, 패션 공유 플랫폼, 제품-서비스 시스템, 사례 분석, sharing economy, collaborative consumption, fashion sharing platform, product-service systems, case study analysis
AR 컬러링의 패션디자인교육 분야 적용을 위한 기술 동향 및 사례 연구
배윤지 ( Bae Yun J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117~129페이지(총13페이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시킨 다양한 산업 분야 간의 융합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AR 컬러링은 증강현실 적용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 사용자가 2D 상태의 작업을 실시간으로 3D로 변환하여 시각화 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니며, 기존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등과 같이 평면적 작업으로 진행되던 패션 분야의 기초 교육 과정에 활용된다면 매우 효율적인 학습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초점을 맞추어 패션디자인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3D 컬러링 어플리케이션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적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온라인자료 수집을 통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6개의 대표 사례를 선정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술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
TAG 증강현실, AR 컬러링, 3D 컬러링, 패션디자인교육, augmented reality, AR coloring, 3D coloring, fashion design education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VMD에 나타난 VP특성
김지영 ( Kim Jiyou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131~143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있어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고급화 이미지에 성공하고 있으며 글로벌 패션시장에서 지속적인 매출을 이끌어오고 있는 럭셔리 패션브랜드 중 의류매장을 중심으로 VMD에 나타난 VP의 연출방법을 분석하여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VP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Forbes』가 선정한 ‘2017년 Forbes The World's Most Valuable Brands’에서 럭셔리 패션브랜드를 선별하여, VMD에 나타난 VP를 전달내용, 표현방법, 쇼윈도 형태로 구분하여 VP의 연출방법을 분석하고, 이것을 토대로 VP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사 브랜드의 역사와 상징적 스토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브랜드 요소들의 전략적 관리가 VP특성에 체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브랜드의 역...
TAG VMD, VP, 럭셔리 패션브랜드, luxury fashion brand
여성 소비자의 골프웨어 추구혜택에 따른 구매행동 - 추구이미지, 패션혁신성, 패션관여, 의복평가기준을 중심으로 -
한희정 ( Han Heeju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145~161페이지(총17페이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레저 산업의 확장으로 골프인구가 여성과 젊은 층으로 확대되었고 또한 골프웨어를 일상적 캐주얼 의류로 겸용하는 활용성으로 관련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소비자의 골프웨어에 대한 추구혜택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의 골프웨어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패션혁신성, 패션 관여, 그리고 의복평가기준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20대 이상으로 최근 2년간 골프웨어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고, SPSS 21.0의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골프웨어 추구혜택 차원을 기준으로 소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실용적 개성 추구집단, 적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개성적 매력성 추구집단, 실용성 추구집단의 다섯 ...
TAG 골프웨어, 추구혜택, 추구이미지, 패션관여, 의복평가기준, golf wear, benefits sought, pursued images, fashion involvement, garment quality evaluation scales
20·30대 골프 여가 참여자의 이상적 이미지와 골프웨어 스타일
김고운 ( Kim Koh Woon ) , 하지수 ( Ha Ji 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제18권 제4호, 163~182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골프웨어 시장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30대 골프 여가 참여자가 골프장에서 추구하는 이상적 이미지를 파악하고, 이를 골프웨어로서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30대 남성 골프 여가 참여자 12명, 20·30대 여성 골프 여가 참여자 10명으로, 총 2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여가로 골프를 즐기는 20·30대의 패션 준거집단을 분석함으로서 골프웨어 스타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했다. 20·30대 골프 여가 참여자의 골프웨어 패션준거집단을 조사한 결과 골프웨어 선택을 위한 패션준거집단은 크게 4개의 집단으로, ‘프로 골프선수’, ‘코치 및 세미프로’, ‘연예인 광고모델’, ‘주변 골프참여자’로 나타났고, 주요한 이상...
TAG 골프 여가 참여자, 골프웨어 스타일, 이상적 이미지, 패션준거집단, 의복동조, golf leisure participants, golf wear style, ideal image, fashion reference group, clothing conformit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