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연구논문 :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
김영진 ( Young Jin Kim ) ,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2호, 265~284페이지(총20페이지)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를 살피고자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32종의 개화기농서를 분석 고찰 하였다. 그 결과 개화기 농서의 편찬배경은 1876년 한·일 수호조약에서 비롯된 문호개방과 이에 따른 세계열강과의 잇따른 수호조약체결 및 문물교류가 주된 배경이었다. 개화기농서의 편찬자들은 전문적 농학교육을 이수하거나 직업적으로 권농경험이 축적된 노년층이 아니라 비교적 젊은 20-30대의 개화에 민감한 청장년층 이었다. 또 편찬자들은 농서편찬을 정부로부터 위촉받거나 사후보장을 기대하지 않은채 개인적 자발적 노력으로 편찬하였는데 그 뜻은 서양의 실험농학적 성과인 우수한 농업생산기술의 도입정착으로 생산 기술개혁을 이룩하면서 농업도 자급자족적 경영에서 벗어나 수지타산을 목표로 하는 상품생산을 실현함으로써 부국강병의 재정적기초가 되는 농업...
TAG 개화기농서, 편찬배경, 편찬동기, 생산기술개선, 농업경영개선, agricultural books in enlightenment period, editing background, editing motive, farming method improvement, farm management improvement
권두언(卷頭言) : "새 출발(出發)을 자축(自祝)하며"
구자옥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5~7페이지(총3페이지)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를 살피고자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32종의 개화기농서를 분석 고찰 하였다. 그 결과 개화기 농서의 편찬배경은 1876년 한·일 수호조약에서 비롯된 문호개방과 이에 따른 세계열강과의 잇따른 수호조약체결 및 문물교류가 주된 배경이었다. 개화기농서의 편찬자들은 전문적 농학교육을 이수하거나 직업적으로 권농경험이 축적된 노년층이 아니라 비교적 젊은 20-30대의 개화에 민감한 청장년층 이었다. 또 편찬자들은 농서편찬을 정부로부터 위촉받거나 사후보장을 기대하지 않은채 개인적 자발적 노력으로 편찬하였는데 그 뜻은 서양의 실험농학적 성과인 우수한 농업생산기술의 도입정착으로 생산 기술개혁을 이룩하면서 농업도 자급자족적 경영에서 벗어나 수지타산을 목표로 하는 상품생산을 실현함으로써 부국강병의 재정적기초가 되는 농업...
연구논문 : 살구의 어원과 효능에 대한 문헌연구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1~28페이지(총28페이지)
예전부터 재배되던 살구나무는 고향의 나무라 할 수 있는데, 형태와 맛의 차이로 많은 품종이 예전부터 분화되어 왔다. 살구의 어원은 ``솔고``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개를 죽이는 뜻의 ``殺狗``에서 살구의 단어가 유래되었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개가 살구를 먹으면 죽고, 사람이 개고기를 먹고 체하였을 때 살구를 복용하면 식중독이 풀린다는 주장은 옳은 것이다. 공자가 학문을 가르쳤다는 행단(杏亶)은 은행나무가 아닌 살구나무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행단은 단지 학문을 상징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일 뿐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향교에 은행나무를 심고 이를 학문의 표상으로 상징한 것이다. 진정한 의술을 펼치는 의사를 행림(杏林)이라 비유하는데, 이는 『神仙傳』의 동봉(董奉)이야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기관지천식에 많이 응용되는 행인을 사상의학에서는 태...
TAG 살구, 행인, 행단, 杏亶, 행림, 杏林, 태음인, 사상의학, an apricotSalgu), an apricot stone(Hangin), Hangdan, Hangrim, Taeum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연구논문 : 조선시대의 시비기술(施肥技術)과 분뇨(糞尿)이용
김영진 ( Young Jin Kim ) , 김이교 ( Yi Gyo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29~48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시비기술과 분뇨이용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발전하였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15세기이래 생초 밑거름, 전면시비에서 17세기에는 못자리에서 비롯된 덧거름시용이 본답과 밭까지 확대되자 부족한 비료확보를 위해 속성퇴비 제조기술이 새로이 발전하였고 시대가 지날수록 유기질이나 무기질비료의 종류의 수가 늘고 다양화 되었다. 인분뇨는 15세기 이래 생분뇨를 재에 섞어 고형의 숙분(熟糞)상태로 밭거름으로 이용되다가 16세기 말경부터 액비상태로 저류(貯溜)되어 다시 재에 섞어 못자리 밑거름이나 척박한 밭거름 그리고 일부 덧거름 으로 쓰였다. 18세기말경부터는 분뇨를 혼합저류하지 않는 별도 저류와 재에 섞지 않는 단독 액상 이용으로 재에 섞는데서오는 질소분의 손실을 막으면서 맥류 덧거름이나 척박한 밭의 지력회복 용으로 쓰였다
TAG 생초이용, 덧거름, 中腰糞, 속성퇴비, 분회, 액상분뇨, fresh grass, additional compost, short term compost, human manure, Liquid manure
연구논문 : 한국 농업 근현대화에 따른 농촌문화의 변동
배영동 ( Young Dong Ba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49~79페이지(총31페이지)
한국농업의 근현대화 과정에서 농촌에는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 바탕에는 국가차원에서 농업생산성 증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과 지원, 기술보급 활동이 작동하였다. 농업의 근현대화 과정에서 농업생산의 목표는 자급자족적 농업에서 상품경제적 농업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농민들의 농업노동 형태와 시간이 많이 달라졌다. 공동협업 노동의 위축, 농한기의 단축, 머슴의 소멸과 여성노동의 확대, 젊은 농민에 의한 고령농민 영농교육, 단위 농작업의 노동시간 단축 등의 현상이 발생하였다. 농업생산의 변화는 농촌사회와 농민문화를 변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리하여 농촌 사회관계의 변화, 농가계층의 변화, 인구 감소, 노부부 가족의 급증, 신기술에 의한 고령 농부와 가부장의 권위 추락, 마을 주민간의 공동체의식 약화, 재래의 사회조직 소멸 또는 위축, 신기술 도입자의 사회경제...
TAG 농업 근현대화, 농업생산성, 농업기술, 농촌사회, 농촌문화, agricultural modernizati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gricultural techniques, rural society, rural culture
연구논문 : 우리나라 농사일(농무(農務), 농경(農耕)) 문화의 성립,변천 및 사례
구자옥 ( Ja Ock Guh ) , 김영진 ( Young Jin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81~120페이지(총40페이지)
농사는 우선 굶지 않기 위하여 먹거리를 가능한 많이 생산할 수 있는 방편을 찾는 쪽으로 발달하였다. 적절한 작목과 품종을 찾아 들이고, 적절한 파종과 거름 및 물대기를 찾아내었으며, 농기구를 개량하고 농지를 개간하는 등속의 일이었다. 그러나 종국적으로는 노동과 토지 및 자본 투여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농사의 경영목표였기에 가급적 투자효율이 높은 시비기술관개기술파종기와 수확기술, 그리고 작부양식이나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세역(휴한)법에서 탈피했던 일모작이 이모작이나 다모작으로 변하고 산파가 조파나 점파로 변하였으며, 직파가 모종이식 및 이앙법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변하였고, 소면적 경영이 광작경영으로 바뀌거나 작부체계가 단순화하여 상품농산물을 단작으로 경영하도록 바뀌어 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래식 농법에서 두드러지게 변화한 기술요인은 제초(풀매기...
TAG 농사일거리, (농가)월령, 농사도구, Agricultural, Monthy Farm Work Song, farm works, Korean culture
中國農業歷史陣列大網
번지민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121~151페이지(총31페이지)
농사는 우선 굶지 않기 위하여 먹거리를 가능한 많이 생산할 수 있는 방편을 찾는 쪽으로 발달하였다. 적절한 작목과 품종을 찾아 들이고, 적절한 파종과 거름 및 물대기를 찾아내었으며, 농기구를 개량하고 농지를 개간하는 등속의 일이었다. 그러나 종국적으로는 노동과 토지 및 자본 투여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농사의 경영목표였기에 가급적 투자효율이 높은 시비기술관개기술파종기와 수확기술, 그리고 작부양식이나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세역(휴한)법에서 탈피했던 일모작이 이모작이나 다모작으로 변하고 산파가 조파나 점파로 변하였으며, 직파가 모종이식 및 이앙법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변하였고, 소면적 경영이 광작경영으로 바뀌거나 작부체계가 단순화하여 상품농산물을 단작으로 경영하도록 바뀌어 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래식 농법에서 두드러지게 변화한 기술요인은 제초(풀매기...
연구자료 : 일제 강점기 조선 난곡기계농장의 대규모 농장제 유축전작 농업경영 실태
삼포양자 ( Miura Yoko ) , 김태곤(역) ( Tae Gon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153~176페이지(총24페이지)
일본 아이치산업주식회사는 제1차 세계대전 때 포로가 되어 종전 후에도 일본에 남아 농업을 지원하던 독일 병사 5명에게 자금을 제공해서 1920년 강원도 회양군 난곡에서 ``난곡기계농장``을 설립, 대규모 농장제 유축밭농업(有畜田作) 경영을 시작하였다. 난곡은 화전민의 화전농업으로 인해 지력이 약해졌고, 또 돌도 많아 제석작업부터 시작해야 했다. ``기계농장``이라는 이름대로 독일로부터 고가의 대형 농업용 기계를 다수 도입하여 이 기계들을 활용하여 노동력을 절감하는 동시에, 개간, 파종, 수확 등에 이르기까지 적기에 신속한 농작업을 실시하여 소나 말을 대체하는 효율적 경영을 도모하였다. 농장경영의 특징은 곡물과 축산을 연계한 경축순환과 생산,가공,판매를 포함하는 농업의 6차산업화를 실시한 것에 있다. 쇠두엄에 의한 토지개량, 작물의 품종개량과 종자의 ...
TAG 식민지시대, 일제 강점기, 난곡기계농장, 농장제, 유축전작, 농업경영, big farm management, northern Korea in colonial days, Nangok Mechanical Farm, Crop-Livestock farming
농서해제 : 양계신론(養鷄新論)
김영진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8] 제7권 제1호, 177~178페이지(총2페이지)
일본 아이치산업주식회사는 제1차 세계대전 때 포로가 되어 종전 후에도 일본에 남아 농업을 지원하던 독일 병사 5명에게 자금을 제공해서 1920년 강원도 회양군 난곡에서 ``난곡기계농장``을 설립, 대규모 농장제 유축밭농업(有畜田作) 경영을 시작하였다. 난곡은 화전민의 화전농업으로 인해 지력이 약해졌고, 또 돌도 많아 제석작업부터 시작해야 했다. ``기계농장``이라는 이름대로 독일로부터 고가의 대형 농업용 기계를 다수 도입하여 이 기계들을 활용하여 노동력을 절감하는 동시에, 개간, 파종, 수확 등에 이르기까지 적기에 신속한 농작업을 실시하여 소나 말을 대체하는 효율적 경영을 도모하였다. 농장경영의 특징은 곡물과 축산을 연계한 경축순환과 생산,가공,판매를 포함하는 농업의 6차산업화를 실시한 것에 있다. 쇠두엄에 의한 토지개량, 작물의 품종개량과 종자의 ...
농본주의(農本主義) 사상(思想)의 구조(構造)와 근원(根源)
오호성 ( Ho Sung Oh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7] 제6권 제2호, 1~78페이지(총7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 농본주의 사상의 구조와 개념을 밝히고 그 근원을 탐구하는 데 있다. 農本主義란 유교적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농업을 가장 중요한 산업으로 여기고 자경농민과 농촌을 사회ㆍ경제조직의 바탕으로 삼아 국가를 경영해야 한다는 사상을 말한다. 농본주의 사상은 농업만이 생산의 근본이며 토지국유, 경자유전, 부세균등, 병농일치, 중농억상, 상부상조, 사회통합 등의 정치적 강령을 갖고 있는 일종의 이데올로기 시스템이다. 농본주의 사상은 춘추ㆍ전국시대의 경세철학에서 비롯되었으나 孟子에 의해 발전되고 漢나라 때 유학자들에 의해 국가 통치수단으로 구체화되었다. 조선 건국 초 鄭道傳등이 추진한 전제개혁의 이상은 맹자가 말한 井田制度와 農本主義에 있었다. 그러나 토지개혁은 기득권층의 반발로 과전법 제정으로 축소되어 미완의 수준에 그쳤다. 선조 때 韓百謙이 ...
TAG 농본주의, 중농사상, 정전제도, 균전제도, 기자정전, 왕도주의 경제정책, 유학 경제사상, Agricultural Fundamentalism, Agriculture First Policy, Confucian Economic Thoughts, Jongjon Land Tenure System, Kija Land Tenure System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