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266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미래 사회 대비 국어 문식성 교육의 역할과 과제
원진숙 ( Won Jinsoo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7~41페이지(총35페이지)
목적 :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국어 문식성 교육 자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미래 사회의 급격한 사회 문화적 역동성과 문식 환경의 변화를 ‘지금 여기’의 생태학적 조건으로 파악하여 접근하는 David Barton의 생태학적 접근법을 통해 현 국어 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해 보았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대안으로 신문식성 교육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반 문식 환경에 대한 적응력 강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사회적 문식 실천 역량 강화, 인식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인문학적 소양과 창의적 사고 역량 강화를 제안하...
TAG 국어 문식성 교육, 생태학적 접근, 권한 부여적 접근, 신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인식적 문식성, Korean literacy education, ecological approach, empowerment model, new, literacy, critical literacy, humanities literacy
건강장애 학생 대상의 국어과 화상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표현 특성과 개선점
구영산 ( Goo Youngsa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43~71페이지(총29페이지)
목적:건강장애 학생 대상의 국어과 온라인 화상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표현 특성을 밝히고 그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방법:전국의 4개화상 수업 기관 중 가장 많은 학생들이 소속되어 있는 학교(13개 시·도 교육청)를 연구 사례로 선정하였다. 참여관찰과 담화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2017학년도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수업을 대상으로 연구 자료를 생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해당 온라인 화상 수업의 장(場)에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표현이 마이크, 헤드셋, 텍스트 메시지를 매개로 수업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 과정에서 수업 구성원 사이에 개인의 속말, 혼잣말, 말소리 등이 모두 공유됨으로써 국어 수업 대화는 사적인 성격을 매우 강하게 갖고 있었다. 결론:이 고유한 국어 수업의 장에서 학생들은 자유로운 자기표현이 허용됨은 물...
TAG 국어과 온라인 화상 수업, 건강장애, 속말, 혼잣말, 말소리, 자기 표현, Online Korean Language Arts Video Class, Health Disabilities, Spontaneous, Utterances, Talking to Yourself, Speech Sound, Self-Expression
학교 문법 용어의 투명도 문제에 대한 시론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중심으로-
오현아 ( Oh Hyeon Ah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73~105페이지(총33페이지)
목적:이 논문에서는 ‘문법 용어의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할 수 있는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 정도, 이러한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해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서의 <독서와 문법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이를 위해 2장에서 사범대 국어교육과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통사적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인식 양상을 확인해 보고, 3장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독서와 문법 검정 교과서 6종에서의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기술 양상을 바탕으로, 학교 문법 용어의 투명도를 높이기 위한 ‘통사적 합성어’ 관련 설명 제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결과:그 결과, 2장에서는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한 학습자의 개념 인식 양상특성을 밝히고...
TAG 문법 교육, 학교 문법, 문법 용어, 개념어, 투명도,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통사성, Grammar education, school grammar, grammar terminology, conceptual word, transparency, syntactic·non-syntactic compound word, syntacticity
문장의 구조 단원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연구 -초등학교, 중학교를 중심으로-
최선희 ( Choi Sunhe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107~133페이지(총27페이지)
목적: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 간극은 계속적인 이슈로 대두되는바, 불연속적인 교육 내용은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가중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형성하게 되는 지식의 구조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 급 간 교육 내용이 효과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관점 아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다루어지는 문장의 구조 관련 단원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본고는 그간 선언적인 차원에서 제기되었던 연계성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학교 급에 따른 교육의 차이를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결과:그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동일한 주제일지라도 개념어의 수, 개념어의 종류, 개념어 간 연결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의 경우 문장 성분, 문장의 종류, 문장의 짜임이 비교적 독립...
TAG 문법 교육, 계열성, 교과서, 문장의 구조, 언어 네트워크 분석, Grammar Education, Sequence, Textbook, Sentence Structure, Semantic Network, Analysis
청소년의 공감적 반응 발화의 유형과 양상
박재현 ( Park Jae-hyu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135~164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고민 대화에서 공감적 반응 발화의 유형과 양상을 탐색하고 반응 발화의 유형에 따라 구분한 집단들의 공감 지수를 확인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고등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친구의 고민 대화 영상을 보여 주고 이에 대한 반응 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6개의 구성 요인으로 이루어진 공감 척도를 사용하여 반응 발화유형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별 차이 분석은 t검정, 집단별 차이는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자료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고민 대화에서 공감적 반응 발화가 드물며 공감을 저해하는 표현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반응발화의 유형에서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는데, 남성은 ‘말을 끊기, 다른 이야기꺼내기’ 반응의 비중이 컸고, 여성은 ‘한술 더 뜨기’ 반응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다. 반응 발화의 유형에 ...
TAG 고민 대화, 공감적 반응 발화, 공감, 공감적 듣기, 공감적 의사소통, 대화 교육, troubles talk, empathic responding utterance, empathy, empathic listening, empathic communication, conversation instruction
북한이탈주민 언어적응 교육과정 기초 설계를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김혜윤 ( Kim Hey Yoon ) , 한정범 ( Han Jeong Bum ) , 조연주 ( Cho Youn Ch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165~191페이지(총27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언어적응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전문가 관점의 상황분석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이를 위해 북한이 탈주민 생활전문가 5인, 기관전문가 5인, 교육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1, 2차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조사 결과 전문가들은 발음과 억양, 어휘뿐만 아니라 문화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어느 기관에서 교육하는가보다는 어디에 있는지, 교육 기관의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였다. 교육기간은 주 1회 2시간, 3개월에서 6개월이 적당하다 보았고, 교육 형태는 현장실습을 병행한 집합교육이 바람직하나 바우처 카드 등을 활용한 방문교육도 효과적이라 하였다. 끝으로 북한이탈주민 언어교사의 최우선 자질로 남북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를 꼽았다. 기관별로 공통적인 의견을 밝힌 영역도 있었으나 이견을 보인 곳도 있었다. 따라서 민·관·...
TAG 북한이탈주민, 언어적응교육, 교육과정, 교육 범주, 델파이 조사, North Korean refugees, linguistic adaptation education, curriculum, education, category, Delphi survey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습득에 대한 뇌반응 연구 -MMN과 숙달도-
이선영 ( Lee Sun-young ) , 조정화 ( Cho Jeonghwa ) , 남기춘 ( Nam Ki-chun ) , 전현애 ( Jeon Hyeon-ae ) , 김영주 ( Kim Youngjoo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193~222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구별 능력이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발달하는지에 대해 행동반응과 뇌반응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방법:중국어와는 달리 한국어에 존재하는 두 개의 중간전설모음 /ㅔ/와 /애/에 대한 구별 능력을 한국어 숙달도 중급 학습자(11명), 고급 학습자(16명) 두 집단을 대상으로 AX 변별과제(행동반응) 실험과 ERP 뇌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두 그룹 사이에 행동반응에서는 정확도나 반응속도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뇌반응에서는 MMN 반응이 중급 집단과 달리 고급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결론:이는 제2언어 모음에 대한 신경학적인 민감도가 학습자의 숙달도 발달에 따라 함께 높아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결정적 가설 시기 및 그에 기반을 둔 ASP 모델의 가설에 반대되는 결과로 성인 학습자도 충분히 제2언어 ...
TAG 뇌반응, ERP, MMN, 중국인 학습자, 한국어 모음 습득, /ㅔ/와 /ㅐ/, 한국어 숙달도, Brain responses, Chinese learners of Korean, Acquisition of Korean, vowels, /e/ vs./ε/, Korean proficiency
음운론적 대립 유형과 음성학적 유형에 따른 한국어 파열음 인식 양상 연구
권성미 ( Kwon Sungmi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223~255페이지(총33페이지)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L1의 음운론적 대립 유형과 음성학적인 VOT 유형이 한국어 3중 대립 파열음 체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음운론적인 유형과 VOT 유형면에서 상이성을 보이는 러시아어, 스웨덴어, 영어, 중국어, 터키어, 프랑스어가 L1인 초급 학습자 61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파열음에 대한 인식 실험을 실시하여, 인식 정확도와 오지각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첫째, 음운론적 대립 유형에 따른 집단들은 평경격음의 인식 정확도에 있어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오지각 양상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VOT 유형별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다. short-long 집단은 lead-short, lead-long 집단과 인식 정확도와 오지각 양상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였다. lead-s...
TAG 3중 대립 파열음, 평음, 경음, 격음, VOT 유형, three-way plosives, lenis, tense, aspirated, VOT types
한국어 진행상과 결과상의 습득 연구 -‘-고 있-’과 ‘-어 있-’을 중심으로-
정해권 ( Jeong Haegw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257~280페이지(총24페이지)
목적:본고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진행상과 결과상을 습득과 교육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방법:언어 간 차이로 인해 목표어의 시제와 상을 배우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 가설이 제안되어 과거 시제와 진행상의 습득과 발달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는 기본적으로 진행상과 결과상이 대립을 이루는 상 체계를 가지며, 언어유형론적으로 결과상은 주어 결과상, 목적어 결과상, 소유/부사어 결과상으로 구분되어 각 유형에 대응하는 상 표지가 사용되고 있다. 결과: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발화 상황과 동시에 일어나는 진행상을 가장 먼저 배웠고, 결과상은 여러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함축적 위계(목적어> 주어 > 소유/부사어)를 따라 습득하였다. 다시 말해 한국어 상의 발달 절차는 진행상 ‘-고 있2-’, 목...
TAG , 진행상, 결과상, 발달 절차, 함축적 위계, 오노마지올로지 접근, 언어유형론, Aspect, Progressive, Resultative, Developmental Sequences, Implicational, Hierarchy, Onomasiological Approach, Linguistic Typology
‘학습 도구 어휘’의 교과서 용법 연구 -개정 < 한국어(KSL) 교육과정 > 초등학교 3~4학년군 어휘의 국어 교과서 출현 용례를 중심으로-
손희연 ( Son Hui-you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18권 281~313페이지(총33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개정 < 한국어(KSL) 교육과정 >(2017, 교육부)에서 새롭게 제시된 ‘학습 도구 어휘’ 항목의 교과서 용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교과 학습에 실제적으로 결부된 어휘 사용의 양상이 어떠한지를 밝히고 이러한 어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어휘 교육의 내용 구성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방법:이 연구에서 어휘 용법의 분석은 < 한국어(KSL) 교육과정 > 초등학교 3~4학년군 학습 도구 어휘 목록에 한정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들의 국어 교과서 출현 용례가 주요한 분석 대상이 되었다. 용례 분석은 어휘의 출현 빈도 분석 및 어휘의 기능적, 문법적 사용 양상을 유형적으로 기술하는 ‘사용패턴’ 분석의 측면에서 수행되었다. 결과:교과서의 학습 맥락에 따른 어휘 사용이 문법 형태소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표현패턴’, 맥락...
TAG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 학습 도구 어휘, 교과서 용법, 사용패턴, 학습 맥락, 어휘 학습 활동, revis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Learning Tool Vocabulary, textbook usage, usage pattern, learning context,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