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AND 간행물명 : 민족문학사연구141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 근대 퀴어 서사의 계보학
백종륜 ( Baek Jong-r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9] 제69권 357~385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
TAG 퀴어 문학, 퀴어 서사, 퀴어, 동성애, 동성 간 친밀성, 섹슈얼리티, 계보학, 감정, 공동체, Queer Literature, Queer Narrative, Queer, Homosexuality, Same-sex Intimacy, Sexuality, Genealogy, Emotion, Community
20세기 초반 두 도시 영화 관객들의 이야기 : 정충실,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 현실문화연구, 2018
김승구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9] 제69권 389~399페이지(총11페이지)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
‘주체’ 개념으로 다시 읽는 임화 : 와타나베 나오키, 『임화문학 비평-프롤레타리아문학과 식민지적 주체』, 소명출판, 2018
강용훈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9] 제69권 401~410페이지(총10페이지)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
권리의 논리 : <식민지/ 근대 초극>연구회 기획, 홍종욱 편,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초극론』, 서울대 출판문화원, 2017
장지영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9] 제69권 411~435페이지(총25페이지)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
어떤 전환기의 풍경
정주아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8] 제68권 3~6페이지(총4페이지)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
김수영의 문학과 초현실주의
김진희 ( Kim Jin-h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8] 제68권 9~45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는 김수영의 문학과 삶에 미친 초현실주의의 영향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논의하는 글이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서구의 미적 제도도 역시 근대 이성의 체계 속에서 정상화된 것이므로 이를 철저하게 해체하는 것이 예술의 혁명이라고 생각했고, 이런 틀을 부수는 일은 당대 미학적 규범이나 사회적 제도에 대한 저항, 즉 혁명을 의미했다. 김수영은 4·19혁명을 계기로 정치적 혁명의 불완전성과 마주해야 했고, 자신의 문학을 통해 미완의 혁명을 어떻게 완성시켜나갈 것인가 고민하는 과정에서 초현실주의를 발견했다. 그는 브르통, 바타이유, 모리스 블랑쇼, 앙리 미쇼, 사르트르 등의 초현실주의를 수용하면서 1960년대 정치적 혁명과 시의 혁명을 함께 사유할 수 있었다. 그는 초현실주의에 대한 풍부한 학습과 사유를 통해 무의식과 실존, 정치 이념을 연결시킨, 독자적인 시학인...
TAG 김수영, 초현실주의, 4·19 혁명, 참여시, 자유, 브르통, 초현실주의 선언, 바타이유, 모리스 블랑쇼, 앙리 미쇼, 사르트르, 김기림, 무라노 시로, 즉물주의, 일본 초현실주의, 1930년대 모더니즘, Kim Soo-young, Surrealism, 4·19 Revolution, Participatory Poetry, Liberty, Manifeste du Surrealisme, Breton, Bataille, Maurice Blanchot, Henri Michaux, Sartre, Murano Siro, Sachlichkeit, Kim Ki-rim, Modernism, Japanese Surrealism, 1930s Modernism
문학교육을 통한 김수영의 정전화와 장르 이데올로기
오연경 ( Oh Youn-k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8] 제68권 47~70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은 비평 담론과 문학교육의 장에서 ‘김수영’이라는 상상적 총체로서의 정전이 형성되어 온 과정을 살피고, 문학교육을 통한 김수영 정전화에 작동한 해석의 권력과 한국현대시의 장르 이데올로기를 분석한다. 김수영 사후 ‘김수영 만들기’에 참여한 비평 담론은 김수영에 대한 해석의 투쟁 과정을 보여주며, 한국 현대시의 성취와 한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김수영의 자리를 증명한다. 이와 달리 문학교육을 통한 김수영의 정전화는 시 장르의 전통적 관습과 이데올로기에 따라 ‘하나의 김수영’을 가공해내는 과정을 보여준다. 김수영의 정전화 과정에서 작동한 선정과 배제의 기준, 가공과 배치의 논리를 분석하는 것은 문학교육이 무엇을 한국시의 현대성으로 확립하고 승인해 왔는가를 밝히는 일이 될 수 있다. 김수영의 어떤 시가 교과서에 선정되고, 그렇게 선정된 시가 어떻게 해석·배치...
TAG 김수영, 정전, 정전화, 비평, 문학교육, 해석, 장르, 현대성, Kim Soo-young, Canon, Canonization, Literature Criticism, Literature Education, Interpretation, Genre, Modernity
김수영 문학에서 ‘시인’과 ‘시쓰기’의 의미 문학적 견유주의를 위한 시론
고봉준 ( Ko Bong-j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8] 제68권 71~89페이지(총19페이지)
김수영에게 ‘시’는 단순한 ‘작품’만이 아니었다. 주로 산문에서 분명하게 드러나 듯이, 그는 당대의 누구보다도 ‘시’에 엄청난 가치를 부여했고, 같은 맥락에서 ‘시인’의 존재가 갖는 문명사적·정치적 의미를 강조한 시인이다. 그에게는 문자 행위만이 아니라 ‘언어’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문화’의 후진성을 극복하기 위해, 그리고 일체의 이데올로기적 속박에서 벗어나기 위해 싸우는 일체의 행위가 모두 문학이었다. 실제로 그는 이 모든 것들을 ‘시’와 ‘시인’의 이름으로 주장했다. 서구미학사에서 문학은 크게 두 가지 계보 속에서 이해된다. 아리스토텔레스로 대표되는 ‘포이에시스(제작)로서의 예술’이라는 시각과, 견유주의 철학에서 시작되는 ‘프락시스(실천적 행위)로서의 예술’이라는 시각이 그것들이다. 김수영에게 문학은 후자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가 산문에서 펼친 ‘...
TAG 프락시스, 포이에시스, 파레시아, 예술가의 삶, , 시인, Praxis, Poiesis, Parrhesia, Life as an Artist, Poem, Poet
일본을 대하는 김수영의 시선
김응교 ( Kim Eung-gy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8] 제68권 91~128페이지(총38페이지)
이 글에서 일본을 대하는 김수영의 몇 가지 시각을 살펴 보았다. 첫째, 일본어, 언어의 디아스포라에서 김수영은 일상언어에서 일본어 투를 벗어나지 못했고, 일기나 시작노트도 먼저 일본어로 쓰고 있는 상황을 보았다. 그것은 그의 동년배들이 겪고 있는 현실이었다. 그는 그 현실을 애써 피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인정하려 했다. 아울러 일본어는 김수영에게 비애와 슬픔과 자기비하를 일으킬 때 쓰는 용어였다. 둘째, 시인 무라노 시로를 예로 들어 김수영이 일본문학을 어떻게 생각했을지 생각해보았다. 김수영은 답답한 전통서정시에서 벗어나려 애썼고, 사물을 대상으로 즉물시를 썼던 무라이 시로를 왜 긍정적으로 평가했을까 생각해 보았다. 셋째, 역사를 보는 제3의 시각으로 일본을 예로 드는 경우를 보았다. 김수영은 역사를 볼 때 일본의 여러 사례를 비교하며 보곤 했다. 일본...
TAG 시인 김수영, 일본 식민지, 일본어, 포스트 식민지, 혼종성, 무라노 시로, Poet Kim Soo-young, Japanese Colonial, Japanese, Postcolonial, Hybridity, Murano Shiro
조작되는 하위/하위주체들 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정환국 ( Jung Hwan-ku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2018] 제68권 131~158페이지(총28페이지)
이 글은 고전문학에서 하위, 또는 하위주체를 다루는 시각과 그에 대한 접근의 방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기획되었으며, 그 일단을 조선후기 한문단편 가운데 한 유형인 횡재 소재 표류서사와 일부 표해 관련 기록물을 통해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 횡재담은 사행단 일원으로 참여했던 하위층이 외딴 섬에 낙오되었다가 일확천금하여 나라의 갑부가 된다는 이야기 유형으로, 『어우야담(於于野談)』에서부터 『동야휘집(東野彙輯)』까지 버전을 조금씩 달리하며 꾸준히 이어졌다. 여기에는 하위의 인물, 바다와 섬, 이무기 등 현실의 위치나 지역적, 인식적으로 하위에 해당하는 대상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사의 구현에 동원되고 있다. 이들 하위 및 하위주체는 ‘횡재’라는 주제에 부응하기 위해 서술자의 입맛에 맞게, 때로는 무책임하거나 과도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자기 현실과 맞지 않...
TAG 하위/하위주체, 표류서사, 횡재담, 해양과 섬, 변이와 조작, 『표해록』, 「김복수전」, Llower Class / Subaltern, Narration of Drift, Story of Getting a Windfall Fortune, The Sea and Islands, Adjustment and Modification, Pyohaerok, 「Kimboksujeon」, 金福壽傳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