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 교과서 제재에 대한 고등학생의 흥미 연구
윤준채 ( Yoon Juncha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5권 103~125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국어 교과서의 제재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 11편에 대한 고등학생의 흥미 정도와 흥미롭게, 혹은 흥미롭지 않게 생각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1명, 여학생 23명 총4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제재에 대한 흥미 정도는 4점 리커트 척도로, 흥미에 대한 이유는 서술형으로 응답하였으며, 서술형 응답은 관련 있는 반응을 묶어 범주화하고 주제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재에 대한 흥미의 평균은 2.46으로 나타나 흥미롭지 않다는 결과를 보였고, 성별로는 남학생 2.57, 여학생이 2.35로 남학생의 흥미가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흥미의 이유에 대한 응답 197건을 분석한 ...
TAG 국어 교과서, 제재, 흥미, 새로움, 동일시, 이해의 어려움, Korean Language Textbook, Text, Interest, Novelty, Identification, Difficulty to understand
남북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차이와 쟁점 분석
정혜현 ( Jeong Hye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5권 127~15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통일 시대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을 마련하기 위한 선행 작업의 차원에서 남북한 사이시옷 표기의 차이를 면밀히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궁극적인 목적은 남북한 사이시옷 표기를 통일하기 위한 쟁점를 정리하고 추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2장에서는 표기법의 원리를 중심으로 사이시옷 표기의 특징을 검토하였으며, 남한과 북한의 현행 사이시옷 표기 규정을 비교하여 장단점을 살폈다. 이후 3장에서는 ‘표기 조건’과 ‘표기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변천 과정을 분단 이전과 분단 이후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남북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한에서는 사이시옷에 대한 음운론적 표기 조건과 형태론적 표기 조건이 점차 세부적으로 제시되었다. 반면 북한에서는 ‘절음부(사이표)’를 사용하여 표기 방법 차원에서 남한과 큰 차...
TAG 통일안, 철자법, 맞춤법, 어문 규정, 사이시옷, Unified draft, Spelling rules, Orthography, Linguistic norms, Saisiot
김경주「폭설, 민박, 편지1」의 상호텍스트적 분석과 교육적 의의
강주현 ( Kang Joohy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5권 159~184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김경주의 시에 대한 면밀한 논구의 한 방법으로, 상호텍스트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의 시를 상호텍스트적으로 탐구하는 첫 시작으로, 「폭설, 민박, 편지1」이라는 시를 아놀드 뵈클린(Arnold Böcklin)의 「죽음의 섬(Die Toteninsel)」(1886)이라는 회화와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속에서 면밀하게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그의 시에 전반적으로 흐르는 정서인 ‘고독’이 회화에 형상화된 ‘죽음의 섬’처럼 엄숙함을 배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물 위에 떠있는 ‘섬’과 사이프러스 숲을 통해 죽음의 분위기를 시각화한 뵈클린의 회화를 김경주는 시적 화자의 내면과 행동의 묘사를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차원으로 언어화하고 있었다. 김경주가 뵈클린의 회화를 시로...
TAG 김경주, 「폭설, 민박, 편지1」, 아놀드 뵈클린, 「죽음의 섬」, 상호텍스트, 통합교육, 범교과, 학습 제재, Kim Kyung Ju, Heavy Snow, Home Stay, and A Letter 1, Arnold Böcklin, The Isle of The Dead (Die Toteninsel), Intertext, Integrated education, Cross-curricular, Learning mater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원 활용 연구
이동석 ( Lee Dong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245~271페이지(총27페이지)
중학교 국어 교과서 14종 중 13종에서 60개 이상의 어원을 다루고 있다. 이는 국어 교육에서 어원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용 영역별로 보면, 문법, 문학, 쓰기, 듣기ㆍ말하기의 네 영역에서 어원을 다루었다. 이 중 활용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문법 영역이고 활용도가 가장 낮은 영역은 듣기ㆍ말하기 영역이다. 구성 단위별로 보면, 거의 모든 구성에서 어원이 활용되었으며, 이 중 ‘더 읽을거리’에서의 활용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교과서 본문에서의 활용도는 아직 낮은 상태여서 아직은 어원이 본격적인 학습 내용이라기보다는 보조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AG 어원, 교과서, 동의중복어, 겹말, -쟁이, Etymology, Textbook, Repeating of same meaning, Pleonasm, -jaeŋi
초등교사의 도입단계 교수화법 양상과 인식
김주영 ( Kim Joo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93~127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대화분석과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도입단계 교수화법의 양상을 살피고 교사의 인식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입단계 교수화법의 일반적인 구조는 ‘수업 준비하기, 수업 시작하기, 전시학습 상기하기, 동기유발하기, 학습목표 확인하기, 학습활동 안내하기’이다. 이 구조는 학교급, 교과, 교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추가, 수정, 대체, 통합, 생략되기도 한다. 도입단계 교수화법의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학습 상기는 수업 간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학생의 선수학습 정도를 파악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동기유발하기를 통한 학습목표 확인하기는 수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 내용과 활동을 학생들에게 각인시키는 기능을 한다. 셋째, 수업 도입단계와 정리단계를 수미상관의 구조로 파악할 수 있다. 수업 준비하기와 개별 질문받기...
TAG 교수화법, 수업대화, 도입단계의 교수화법, Teacher`s conversation, Classroom conversation, Teacher`s conversation during the introduction phase
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본 고전소설의 '우연성과 초현실성' - <최척전>의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필 ( Lee Jongpi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385~406페이지(총22페이지)
본고는 고전소설의 일반적 특징으로 언급되고 있는 ‘우연성과 초현실성’이 고전소설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조장하는 주된 요소임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그리고 이상의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최척전>을 수록하고 있는 문학 교과서의 교사용 지도서 내용을 점검하였다. 점검 결과, 우선 <최척전>은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전쟁(정유재란)이 서사 전개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소설에 비해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이라는 점을 문학사적 의의로 강조하고 있었다. 한편 우연성과 초현실성을 드러내는 화소도 여전히 존재함을 부각하면서, 이를 ‘고전소설의 일반적 특징’ 차원에서 분석·정리하였다. 문제는 <최척전>에서 보이는 ‘우연성과 초현실성’을 곧바로 조선 후기에 유행한 영웅 소설의 그것과 동질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나아가 그러한 요소가...
TAG 문학 교육, 고전소설, 우연성, 초현실성, 최척전, Literature education, Classic stories, Happenstance, Surreality, The Tale of Choi Cheok
구어와 문어 환경의 동사 사용 양상 비교 연구
안찬원 ( An Chanw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213~243페이지(총31페이지)
이 글은 말뭉치를 중심으로 동사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구어와 문어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어 말뭉치에서 빈도 순위 100위 안에 드는 동사 중에서 문어 말뭉치에서의 빈도 순위와 100 이상의 차이가 나는 어휘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구어와 문어 말뭉치의 동사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구어와 문어 중 한쪽에서의 사용을 선호하는 동사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높임을 나타내는 특수 어휘 ‘드리다’, 접미사보다 동사로의 사용을 선호하는 ‘시키다’, 지시어 또는 대용어 등으로 사용되는 ‘이러다’가 그것이다. 이밖에도 ‘웃기다’, ‘깨다’와 같이 구어에서는 주로 자동사로, 문어에서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사용되어 격틀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빼다’, ‘넘어가다’와 같이 구어와 문어에서 선호하는 의미가 구분되기도 하고, ‘찍다, 빼다...
TAG 구어, 문어, 동사, 공기 관계, 말뭉치, Spoken Language, Written Language, Verbs, Co-occurrence, Corpus
『초등국어어전(1909)』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김서경 ( Kim Seok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273~305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근대 문법 교과서에 대한 국어교육학적 검토를 통해 근대 문법 학술서와 교과서를 구분하고, 근대 문법 교과서의 국어교육학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근대 교육은 체계화된 교육과정에 근거하지 못하고 있고, 시대적 특수성을 배경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근대 교육을 조망하기 위해 교수학적 변환 이론을 도입하였다. 실질적 검토를 위해 총 다섯 기준을 마련하였으니, ‘교과서 저자가 교수학적 인식을 지니고 있는가?’, ‘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밝히고 있는가?’, ‘교육 대상의 설정이 이루어졌는가?’, ‘교육할 내용에 대한 선정과 위계화 작업이 이루어졌는가?’, ‘교육 상황을 고려한 체계가 마련되어 있는가?’가 그것이다. 이에 따라 김희상의 _초등국어어전_을 검토한 결과 교수학적 인식을 지닌 김희상의 국어교육학자적 ...
TAG 『초등국어어전』, 김희상, 교수학적 변환, Chodeunggugeoeojeon(1909), Kim Hee-sang, Didactical transposition theory
학습자의 문장 구조 이해력 신장을 위한 구문도해 활용 방안 연구 - 관형사절을 중심으로
노하늘 ( Noh Hanue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161~187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정보 시각화의 관점에서 상자식 구문도해 방법을 활용하여 문장 구조에 대한 문법적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문헌 검토를 통해 구문도해를 ‘문장 구조를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 교육적 도구’로 정의하고,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6종 교과서 및 중학교 『국어』 14종 교과서에 나타난 구문도해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문법 교과서에서는 상자식 및 종합식 도해와 수형도를 활용하는 도해, 3가지 방법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여전히 구문도해의 방식이 문장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가정하에, 관형사절에 대한 구문도해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관형사절에 대한 예문을 모두 추출하여 이를 동격절과 관계절로 분...
TAG 정보 시각화, 구문도해, 관형사절, 동격절, 관계절, Information visualization, Syntactic diagram, Determiner clauses, Relative clauses, Appositional clauses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감정형용사 선정과 분류
이숙진 ( Lee Sookj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479~511페이지(총33페이지)
의사소통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감정 표현 어휘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들이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 표현 어휘를 익히고 이를 적절히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학습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를 학습하고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국어 교육용 감정형용사를 정리하여 제시해야 한다. 또한 선정된 감정형용사를 의미에 따라 세분화한 의미망으로 제시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감정형용사의 의미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관련 어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어휘 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감정형용사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국어 교육용 감정형용사 선정과 의미 항목별 분류를 통해 한국어 감정형...
TAG 한국어 교육 어휘, 감정 표현 어휘, 감정형용사, 감정형용사 선정, 감정형용사 범주화,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for emotion expression, emotion adjectives, selection of emotion adjectives, categorization of emotion adjective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