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AND 간행물명 : 동양예술6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용적 차(茶)인식에 관한 연구
한윤숙 ( Han Yoonsook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3권 265~289페이지(총25페이지)
본 논문은 다산이 남긴 茶와 관련된 글과 茶詩에 나타나있는 다산의 실용적 茶인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茶山丁若鏞(1762~1836)은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유학자이며, 대표적인 茶人이다. 다산은 강진에서의 18년간의 유배생활 중 兒菴惠藏선사(1772~1811), 草衣禪師(1786~1866) 등과의 인연으로 茶에 깊이 심취하였다. 두 사람과의 교유를 통해 다산은 자신만의 製茶法을 완성하였으며, 이것은 대둔사와 백련사의 승려들에게 전해지게 된다. 그 후 茶聖으로 일컬어지는 초의선사가 김정희 · 신위· 홍현주 등의 유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조선후기 茶문화는 다시 일어난다. 다산은 명실공히 조선 茶문화의 中興祖이다. 다산의 경세관은 실용적 茶인식의 기저로서 작용한다. 다산은 修己治人이라는 全人的人間像을 통해 새로운 윤리적 實踐人으로서의 인간의 ...
TAG 다산 정약용, 실용적 경세관, 경제자원화, 藥治기능, 心治기능, Dasan Jeong Yakyong, Pragmatic views of managing society, Tea, resourceing, Medicinal function, Psychotherapy function
교힐(絞纈)기법에 관한 연구 -바느질, 감아 묶기 기초제작방법을 중심으로-
한주연 ( Han Ju-yeon ) , 이동아 ( Lee Dong-a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3권 291~322페이지(총32페이지)
교힐(絞纈)은 우리나라에서 거의 잊혀진 방염기법(防染技法)이나 고대부터 전세계적으로 사용된 대표적 문양표현 중 하나로 그 기원 및 전파과정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바 없으며, 현재 일본, 인도,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전승 및 발전 되어오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섬유예술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일본에서는 패션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응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힐(絞纈)에 관한 기록 및 회화는 삼국시대부터 확인되어지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집을 통해서만 확인되어지나 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고, 유물 역시 확인되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에 들어서 교힐(絞纈)은 점차 사라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교힐(絞纈)에 대한 현재 구체적 도안이나 기법이 전승되지 않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 시보리(絞リshibor...
TAG 교힐, 絞纈, 아리마쯔시보리, 有松絞り, 바느질, 감아 묶기, Tie-Dyeing, Arimatsu shibori, Sewing(tritik), Bound Resist(Plangi)
八大山人作品體現出孤獨感的藝術語言表現硏究
이기 ( Li Qi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3권 323~347페이지(총25페이지)
八大山人은 明代에서 가장 대표적인 화가 중 한 사람이며 淸代초기 회화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늘 그림을 통해 자신의 身世에 대한 느낌과 나라에 대한 한, 그리고 울적한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사회 현실의 갈등과 내면의 괴로움으로 인해 그의 작품은 다른 작가들과 매우 다른 양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팔대산인은 늘 능숙한 기법으로 전통 철학을 회화 속에 그려 넣고자 과장된 기법으로 인생, 운명 나아가 우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여 청대“유민화가(遺民畵家)”중 으뜸이 되었다. 팔대산인의 작품을 감상하면 언제나 고독을 느낄 수 있다. 그것은 그의 회화 속에 고독 정신이 있고 이 정신은 운명에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고독을 느끼는 담담한 즐거움, 생명의 존엄에 대한 탐색과 인생 가치에 대한 깨달음으로 표현된다. 그는 고독을 개인적 느낌에서 인류 ...
TAG 팔대산인, 고독, 고독 정신, 선학, 생명의 존엄, 八大山人、孤獨、孤獨精神、禅學、生命尊嚴
國家品牌形象與産品設計競爭力對消費者購買意愿的影
朱奕璇· ( Zhu Yixuan ) , 李光春· ( Lee Guangchun ) , 劉子陽 ( Liu Ziyang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3권 349~362페이지(총14페이지)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디자인 경쟁력이 소비자 구매의향에 대해서 명확히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소비자의 소비행위는 구매의향과 추천의도를 두 층으로 분류가 되었다.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디자인 경쟁력을 자 변량으로 지정하며 소비자 구매의도와 추천의도를 종속변수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 방법으로 사용해 SPSS23.0을 통해서 신뢰도분석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AMOS통계페키지를 사용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국가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디자인경쟁력이 소비자 구매의향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얻었다
TAG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품디자인, 제품경쟁력, 구매의향, 추천의향, 国家品牌形象, 产品设计, 产品竞争力, 购买意愿, 推荐意图
조선시대 산수화(山水畵)에 나타난 정좌(靜坐)에 대한 연구
고혜림 ( Koh Hye-rim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2권 5~28페이지(총24페이지)
조선시대 산수화는 그 시대적 배경이 유교의 靜坐와 맞물려 있다. 바로 여기서 필자는 성리학에 기반을 둔 조선시대에는 산수화 속에서 유교의 정좌가 어떠한 형상으로 나타났을까? 에 관심을 가졌다. 그렇다면 왜 하필 ‘유교의 정좌’일까?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나는 유교의 정좌는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수양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산수화 속에 나타나는 유교의 정좌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일반적으로 정좌는 ‘조용히 앉아 있다’는 한정된 자세의 제한이 있는데 유교의 정좌는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나고 있기에 산수화 속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되고 있는 유교의 정좌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 글의 목적을 조선시대 산수화 속에 나타난 유교의 정좌를 사상과 자세적인 면에서 다음과 같이 고찰한다. 첫째로 정좌와 유교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TAG 정좌, 유교의 정좌, 조선시대 산수화, 거경, 사대부, Jeongjwa 靜坐, Jeongjwa in Confucianism, Landscape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Geogyeong (巨敬), the Scholar-gentry Class (士大夫)
겸재 정선의 <산천재도(山天齋圖)> 연구
김용권 ( Kim Yong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2권 29~57페이지(총29페이지)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은 우리나라 회화사에 가장 큰 획을 그은 화가답게 많은 작품을 남겼다. 지금까지 파악되는 정선의 현존 작품은 372점이지만, 학자들 조사를 종합해 보면 적어도 500여 점 정도는 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도 여러 점의 정선 작품이 발견되어 학계에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중에서도 이번에 발견된 정선의 〈산천재도〉는 그가 즐겨 그려 왔던 제재, 기법과는 사뭇 다른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특별한 관심을 가지게 된다. 첫째, 전승되는 정선의 작품에는 논과 밭을 담은 ‘전원풍경’이 거의 없었기에 ‘제재’부터 차별된다. 물론 정선의 〈산천재도〉는 현장에서 화폭을 펼쳐놓고 사생하지는 않았으나, 현장에서 사생한 듯한 법도(法度)와 의태(意態)를 갖추고 있다. 이른바 정선의 〈산천재도〉에서...
TAG 산천재, 논과 밭, 묵색, 화제, 조식, Sancheonjae, paddy field and dry field, ink color, painting topics, carvings
강유위(康有爲) 서예사상의 태극음양론적 고찰
김응학 ( Kim Eung Hak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2권 59~80페이지(총22페이지)
본 논문은 康有爲서예사상의 핵심인 變法을 태극음양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康有爲는 唐代의 서예를 낮추고 魏碑를 존숭하면서, 重碑抑帖이나 尊魏卑唐의 개혁론을 주장한다. 康有爲 서예사상의 핵심은 ‘變’이다. 變은 天道이며 陰陽의 변화이다. 그것은 『周易』의 이치이다. 康有爲는 ‘배운 자는 때를 잘 살펴 변화에 통해야 한다.’는 점을 자신의 서예이론에 적용하였다. 그가 추구한 서예는 新意妙理나 新體異態이다. 康有爲는 서예의 변화가 비록 小道이지만, 여기에는 우주의 大道가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方圓幷用의 中和美를 강조하였다. 康有爲 『廣藝舟雙楫』의 變法사상은 『周易』의 영향을 받아 정치뿐만 아니라, 서예에 그대로 적용시켰다. 따라서 이 책은 魏碑의 아름다움을 한 층 더 끌어 올렸다는 점에서 서예사적 의의가 있다.
TAG 康有爲, 『廣藝舟雙楫』, 變法, 태극음양, 中和美, Kang Youwei, 『Gwangyizhoushuangji』, Law of Change, the Great Ultimate and Yin and Yang, Equilibrium-Harmony Beauty
김수자의 <보따리> 연작에 관한 연구 : 한국미학에서의 ‘자연주의’와 도가사상의 ‘도’(道)와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김정희 ( Kim Jung Hee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2권 81~103페이지(총23페이지)
글로벌 아티스트인 김수자는 한국과 범아시아적인 소재와 주제로 서구와 다른 문화권의 영향아래서 활동하고 있다. 김수자의 예술작업은 특정한 서양의 철학과 미술사를 기반으로 한 시점, 예를 들면 디아스포라(diaspora), 노마디즘(nomadism), 페미니즘(feminism), 글로칼리티(glocality)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선행연구 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서양미학의 시각을 중심으로 한 연구방법론에서 탈피하여, 한국과 동양의 미학적 측면에서의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김수자의 작품세계에 대한 다양한 접근의 일환으로 한국미학에서의 ‘자연주의’와 도가미학의 ‘도’(道)와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보따리’는 전통적인 사각형의 천으로 에워 싼 물건의 뭉치라는 뜻이다. 본문에서는 첫째...
TAG 김수자, 현대예술, 한국미학, 도가미학, 로칼리티와 글로발리티, Soo-ja Kim, Contemporary Art, Korean Aesthetics, Taoist Aesthetics, Locality and Globality
『회남자(淮南子)』에 나타난 ‘상(象)’에 대한 미학적 해석
김현미 ( Kim Hyunmi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2권 105~126페이지(총22페이지)
이 글은 중국 미학의 주요 범주인 ‘상(象)’이 갖는 의미를 『회남자』를 통해 살펴보고, 중국 문화에 깃든 특별한 아름다움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회남자』는 한 대 초기에 유안을 비롯한 수많은 지식인이 모여 집단지성의 힘으로 저술한 것으로 유가와 도가, 기화 우주 등 선진 시대로부터 시작된 다양한 중국 전통 사유가 통합적으로 담겨있는 문헌이다. 특히 기화 우주론은 형이상학과 형이하학을 융합하고 내면과 외면을 연결하는 중국적 사고의 특수성을 뒷받침하고, 중국 미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사상으로 『회남자』를 통해 집대성되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회남자』가 저술된 한 대 초기는 다양한 문자가 형성되었으며, 문자의 사용이 이전에 비해 매우 안정되었다. 다양한 의미로 가차되던 ‘상(象)’자도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여러 문자로 쓰임이 분리되기 시작하였는데, ‘...
TAG , , 『회남자』, 기상, 氣象, 신명, 神明, 의상, 意象, Xiang, 『Huainanzi(淮南子)』, Qixiang, Shenming, Yixiang
동관적(洞觀的) 합일성(合一性)의 관점에서 본 시서화수행론(詩書畵修行論)
신현경 ( Shin Hyunkyoung )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2019] 제42권 127~149페이지(총23페이지)
동아시아 文人들의 詩書畵는 그들의 대표철학인 儒佛道를 바탕으로 하여 사상을 표현한 形象言語이다. 그 작업 과정은 몸과 마음의 합일 하에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는 자기표현과 예술적으로 수련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를 시서화수행으로 보았다. 본고는 詩書畵수행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기 위하여 合一性의 표상으로서 시서화론을 중심으로 찾았다. 詩書畵論은 첫째 書畵同原論과 一律論에서 글쓰기와 그리기의 合一과 자기 표현적 기능의 몸과 마음의 합일성. 둘째 意象論과 寫意論에서 形像을 통하여 문인들의 意를 드러내는 상징성의 역할에서 可視世界와 非可視世界를 연결하는 합일성, 세째 一劃論과 氣韻生動論에서 마음으로부터 시작하는 一劃이 이미지를 생성하면서 그림의 氣運이 生動하고 자연과 인간, 물질을 통관하며 총체적으로 모든 것을 아우르는 洞觀的合一性을 특성으로 한다. 이러한 시서화...
TAG 合一性, 象徵性, 일획론, 詩書畵 修行, Figurative Language, Symbolic Meaning, Shihushwa Contemplative Practice, Un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