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151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 지원사업 담당 보육전문요원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김경미 ( Kim Kyoung-mi ) , 정혜욱 ( Chung Hoe-w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23~38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가정양육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담당자를 중심으로 사업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분석하고, 향후 가정양육 지원사업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울산 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가정양육 지원사업 담당 보육전문요원 10인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전문요원들은 사업 담당 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업무 가중, 사업 운영을 위한 시설 및 공간 부족, 프로그램내용의 다양성 미흡, 지역 내 자원연계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보육전문요원들은 사업 전담 인력의 배치 및 수급 체계 마련, 이용 가정의 접근성을 고려한 시설 설치 및 공간 확보, 지역 특성과 수요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유관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TAG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 지원사업, 보육전문요원, 어려움, 지원요구,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Projects of Supporting Home Childcare, Agents, Difficulties, Support Needs
학업성취에 대한 피드백 효과의 메타분석
이정화 ( Lee Jeong-hwa ) ,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39~6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학업성취에 대한 피드백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학업성취의 차이는 주효과로서 평균효과크기, 조절변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의 차이를 포함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0년 이후의 학위논문 116편, 학술지 64편, 총 180편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를 활용하였다. 총 180편의 논문으로부터 402개의 표본수준 효과크기와 991개의 변수수준 효과크기가 추출되었다. 효과크기의 분석모형은 무선모형을 선택하였으며, 분석의 수준은 표본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591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조절변수별 평균효과크기는 논문 특성, 개인 특성, 과목, 피드백 처치 특성, 피드백 제공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
TAG 학업성취, 피드백, 메타분석, academic achievement, feedback, Meta-Analysis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율성,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랑 ( Kim Rang ) , 문혁준 ( Moon Hyuk-jun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67~82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율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아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율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자율성,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은 진로결정자율성의 부과된 조절로 23%의 설명력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사회적지지의 가족지지 22%, 중요한 타인지지 17%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진로지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TAG 예비유아교사, 진로결정자율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Prospective Infant Teacher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ocial support,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맞춤형 보육정책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영아반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비교 연구: 민간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김유진 ( Kim You-jin ) , 김용미 ( Kim Young-mi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83~98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맞춤형 보육정책 시행 이후 보육 현장의 어린이집 원장, 영아반 교사와 학부모들이 느끼는 인식의 수준과 만족도를 비교하고 향후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어린이집 원장, 영아반 교사와 학부모 262명을 선정하여 2018년 9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맞춤형 보육정책에 대한 원장의 인식수준이 교사와 학부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맞춤형 보육의 차별성에 대한 이해 수준은 ‘차별’이라는 본래의 정의에 대한 집단별입장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맞춤형 보육의 정책목표와 세부기준 등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원장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넷째, 맞춤형 보육정책 운영 및...
TAG 맞춤형 보육정책, 어린이집 원장, 영아반 교사, 학부모, 만족도, 인식, Customized child care policy, Nursery director, Teacher, Parents, Satisfaction, Recognition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김유현 ( Kim Yu-hyun ) , 김지용 ( Kim Ji-yong ) , 김유미 ( Kim You-me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99~111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315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구하고, 이어서 측정모형과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초등교사의 소명의식에서 직무몰입으로 가는 직접경로와 소명의식이 향상초점을 매개로 하여 직무몰입으로 가는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AG 소명의식, 직무몰입, 향상초점, 초등교사, calling, job engagement, promotion focus, elementary school teachers
아동의 학업성취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부의 양육태도, 언어능력, 사교육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명희 ( Park Myung-hee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113~13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아동패널 8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가정배경, 어휘능력,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이 중에서 어휘능력이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배경과 부의 양육태도가 어휘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부의 양육태도는 사교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또한 사교육이 어휘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셋째, 어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의 양육태도는 가정배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염두에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계층간 학업격차 개선을 위한 방안들에 대해 논...
TAG 가정배경, 부의 양육태도, 사교육, 어휘능력, 학업성취,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yles of Father, Private Education, Vocabulary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경험에 관한 연구
이경민 ( Lee Kyung-min ) , 윤혜경 ( Yoon Hye-kyung ) , 임미정 ( Lim Mi-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131~14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활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B시의 H 어린이집 교사 7명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연구 참여자가 총 4회 모임을 통해 선택하고 제시한 사진자료와 사진이미지를 기술한 녹음 전사자료 등이다. 수집된 자료는 Braun과 Clarke(2006)의 주제 분석법에 따라 유아교육전문가 3인(유아교육과 교수, 대학강사. 유아교육박사과정의 어린이집 원장)이 5회의 협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포토보이스(photo-voice) 모임에서 나타난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에 대한 경험 양상은 마음을 비워내는 시간, 일을 벗어난 즐거움, 내 삶의 주인공은 나야! 나, 비타민 같은 사람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교사의 일상생활의 경험 속 행...
TAG 포토보이스, 어린이집 교사, 행복, 주제 분석법, Photo-Voice, Early Childhood Teacher, Happiness, Thematic Analysis
부모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 Lee Jeong-eun ) , 김경숙 ( Kim Kyu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149~165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의사소통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39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였다. 유아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각각 가정에서 행하는 자신의 의사소통과 정서표현성을 평정하였으며 어머니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평정하였다. 부모가 평정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개방적 의사소통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방적 의사소통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의사소통유형별 사용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차이검증에서도 확인되었다. 둘째, 아...
TAG 부모 의사소통, 부모 정서표현성, 유아 자아탄력성,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 resiliency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또래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장성화 ( Jang Sung-hwa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2호, 167~179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 스마트폰 중독, 자기통제력의 하위변인들 간의 상관계수가 있는지 살펴보고, 또래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과정에서 자기통제력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지만, 불성실한 설문지 25부를 제외한 265명의 자료로 SPSS 20.0 Win 프로그램과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첫째, 또래관계, 스마트폰 중독, 자기통제력의 모든 하위변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래관계,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중독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한 것으...
TAG 또래관계,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중독, 매개효과, peer relationships, smart phone addiction, self-control, mediating variable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적용 및 타당화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김병만 ( Kim Byung-man ) , 김미진 ( Kim Mi-jin ) , 김정주 ( Kim Jung-ju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9] 제28권 제1호, 5~23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을 적용하여 선행적으로 개발된 평가척도의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부모 2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김병만(2018)이 개발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SPSS 23.0과 AMOS 8.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가 정도, 내용단일성, 문항변별도, 척도양호도를 확인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의 평가 정도는 2.84∼3.66의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단일성의 범위는 .71∼.90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문항변별도는 모든 평가지표 상위 집단의 평균이 하위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TAG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유아교육정책, 학부모, 평가척도, 타당화,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parents, evaluation scale, valida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